• 제목/요약/키워드: Crosslinking

검색결과 901건 처리시간 0.028초

Polyamide-epichlorohydrin 지력 증강제 함유 폴리비닐알코올의 물성 연구 (Physical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 with Polyamide-epichlorohydrin as a Wet Strength Additive for Paper)

  • 장윤재;이활종;강호종
    • 폴리머
    • /
    • 제37권6호
    • /
    • pp.730-735
    • /
    • 2013
  • 제지 공정에 있어서 지력 증강제로 사용되는 polyamide-epichlorohydrin(PAE)를 함유한 폴리비닐알코올(PVA)의 물성을 살펴보았다. PAE 첨가로 인하여 PVA의 용융과 결정화 열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X-ray 결정 피크의 면적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PAE에 의하여 PVA 가교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가수화도가 높은 PVA의 경우 더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열처리에 의하여 PVA의 결정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PAE에 의한 PVA의 가교는 화학적 가교보다는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약한 물리적 가교임을 알 수 있었다. PAE에 의한 PVA의 가교 및 결정화는 PVA의 열안정성,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켜 이를 제지 공정의 지력 증강제로 사용할 경우, 종이의 건조 및 젖음 지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화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Rubber (CSM)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mulsified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Rubber (CSM))

  • 최세영;이은경;최교창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1호
    • /
    • pp.12-2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CSM 에멀젼의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금속성 가교제인 magnesium carbonate 및 calcium hydroxide를 첨가하여 가교밀도, 열적특성, 표면자유에너지 그리고 인장강도, 파단신율 및 인열강도 특성을 고찰하였다, 금속성 가교제인 magnesium carbonate 및 calcium hyroxide 양이 증가함에 따라 CSM 에멀젼 필름은 가교밀도는 증가하였고, 이에 내수성과 $T_g$ 값도 증가하였다. 금속성 가교제로 magnesium carbonate를 첨가하였을 때 calcium hydroxide에 비해서 다소 높은 가교밀도와 $T_g$ 값을 보였다. 하지만 CSM 에멀젼 필름의 표면에너지 및 기계적 특성들은 다소 다른 거동을 보였다. Magnesium carbonate 0.75% 그리고 calcium hydroxide 1.0% 첨가한 경우가 가장 높은 표면 자유에너지 값과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보였으나, 그 이상의 양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오히려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CSM 에멀젼의 물성을 향상시키는데 적용되는 금속성 가교제로서 calcium hydroxide 보다 magnesium carbonate가 더 적당하며, 0.75% 첨가하였을 때 보다 향상된 물성을 얻을 수 있었다.

가교결합 감자 전분의 호화특성과 형태학적 변화 (Influence of Crosslinking on Gelatinization Behavior and Morphological Change of Potato Starch)

  • 김향숙;이영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80-586
    • /
    • 1996
  • 감자 전분을 epichlorohydrin과 반응시적 제조한 가교결합 감자 전분(가교파도 2,300, 2,100, 1,900 AGU/CL)의 호화 특성과 호화 중 전분 입자의 형태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천연 감자 전분은 한 단계의 급격한 팽윤 양상을 보이나, 동부 전분은 두 단계, 가교결합 전분은 가교화도에 따라 각각 다른 평윤 양상을 나타내었다. 가교화도가 증가할수록 팽윤력과 용해도는 입자의 팽윤이 억제되어 크게 감소하였다. 광투과도는 가교파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가교결합 전분 입자의 팽윤이 동부 전분에 비해 억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55{\sim}95^{\circ}C$ 온도 법위와 2.5%까지 의 농도 범위에서는 동부 전분보다 더 투병하였다.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초기 호화온도는 가교화도가 증가할수록 입자의 팽윤이 지연되어 올라갔으며, 최고점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매우 지인되었다 가교화도 2,300과 2,100 AGU/CL 가교 전분은 어느정도 팽윤이 억제되며 동시에 팽윤된 전분 입자가 내열성과 내전단성을 갖게되어 서서히 점도가 증가하여 천연 감자 전분보다 더 높은 최고 점도에 도달하는 반면에, 1.900AGU/CL 가교 번분은 너무 강하게 팽윤이 억제되어 최고 점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가교 결합 전분의 setback과 consistency 정도는 천연 감자 전분과는 달리 생각하면 젤 형성도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가교화도가 낮을 때는 사방으로의 접선방향의 팽윤이 가능하였으나, 가교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밀전분과 같은 일차원적인 접선방향의 팽윤이 우세해졌다. 가열 중 전분입자의 형태학적인 미세구조의 변화는 가교화도에 따른 호화특성들의 차이를 잘 설명하여 주었다.

  • PDF

편광필름용 아크릴 점착제의 합성에서 커플링제와 가교제의 효과 (The Effects of Coupling Agent and Crosslinking Agent in the Synthesis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Polarizer Film)

  • 임창혁;류훈;조을룡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319-325
    • /
    • 2009
  • 편광필름용 점착제를 합성하기 위해 아크릴 단량체를 사용하여 용액중합이 수행되었다. 사용된 아크릴 단량체는 2-ethylhexylacrylate, butylacrylate, acrylic acid였으며, 비율은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 $-40^{\circ}C$에 맞추어 2-ethylhexylacrylate: butylacrylate: acrylic acid=25:50:3.5로 하였다. 중합된 점착제에 커플링제를 1 wt% 첨가하였을 때 점착제의 광투과율이 매우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커플링제의 Si-O 결합이 액정셀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킨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가교제를 단량체 대비 0.5, 1.0, 1.5 wt% 첨가하였을 매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점착력은 감소하고 응집력은 증가하였다. 접촉각 분석에서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표면에너지가 커져 접촉각이 감소하였다. 내열성 측정에서 가교제의 증가나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아크릴 점착제는 우수한 내열성을 보였으며 절단면의 관찰에서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절단면이 매끄럽고 깨끗하였다. 종합적으로 점착제의 초기점착력, 응집력, 표면에너지, 절단면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정 가교제의 투입량을 1.0 wt%로 확정하였다.

비닐화 실란이 도입된 메조포러스 실리카와 재생 폴리에틸렌의 가교결합을 이용한 컴파운드의 물성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Compound Using the Crosslinking of Vinylized-mesoporous Silica and Regenerated Polyethylene)

  • 김태윤;박현호;이창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6호
    • /
    • pp.420-428
    • /
    • 2023
  • 비닐화된 메조포러스 실리카와 재생 폴리에틸렌 사이에 가교결합을 도입하여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였다. 메조포러스 실리카에 비닐기를 도입함으로써 비극성인 폴리에틸렌과의 가교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된다. 비닐화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합성하고 재생 폴리에틸렌과의 가교결합을 유도하여, 기존 재생 폴리에틸렌이 가지는 물성보다 더욱 향상된 재생 폴리에틸렌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또한 비닐화 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이용하였을 때, 재생 폴리에틸렌의 등급에 따라 소량 첨가하여도 가교반응이 진행되어 컴파운드의 모든 물리적 특성이 향상되었다. 비닐화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사용하여 4종의 컴파운드를 합성하였으며, 형태와 미세 구조 및 작용기는 TEM, FT-IR 및 XRD로 분석하였다. 비닐화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이용하여 재생 폴리에틸렌과 가교반응으로 3종류의 컴파운드를 배합하였다. 가교결합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 XPS, FT-IR 및 가교도 측정법으로 분석하였으며,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인장강도, 신장율, 굴곡강도 및 굴곡 탄성율 같은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닐화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다양한 등급의 재생 폴리에틸렌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재생 폴리에틸렌이 가지는 취약한 물성을 극복하였다. 비닐화된 메조포러스 실리카-재생폴리에틸렌 복합물질을 신재 폴리에틸렌에 적용한 결과, 복합 컴파운드는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최선의 물성 지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결과는 향후 재생 폴리에틸렌의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자원의 재순환화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폴리(아크릴산 포타슘-co-아크릴아마이드) 고흡수성 입자의 제조 및 팽윤 특성 (Preparation and Swelling Properties of Poly(potassium acrylate-co-acrylamide) Superabsorbent Particles)

  • 손오건;심상준;이동현;이영관;김지홍;김덕준
    • 폴리머
    • /
    • 제28권1호
    • /
    • pp.18-23
    • /
    • 2004
  • 역상 현탁중합법을 이용하여 폴리(아크릴산 포타슘-co-아크릴아마이드) 고흡수성 수지를 입자형태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분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50~300 $\mu\textrm{m}$ 범위 내에서 계면활성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중량측정법을 이용하여 흡수 및 증발 과정에서의 동적, 평형 팽윤 특성을 살펴보았다. 수용액 내에서의 흡수에 따른 입자의 팽윤도는 가교밀도뿐만 아니라 입자의 크기, 외부수용액의 염 농도, 공중합체 조성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 크기, 첨가된 가교제의 농도, 그리고 외부의 이온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흡수되는 물의 양이 증가하였다. 수분증발거동은 흡수거동과는 달리 입자의 크기나 공중합체의 조성, 가교제 양 등에 많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Chitosan-Polyurethane 혼합용액으로 처리된 직물의 태 연구 -Epichlorohydrin에 의한 가교가 도입되는 경우- (Hand of the Fabrics treated with Chitosan-Polyurethane Mixture Solution - Case of Crosslinking by Epichlorohydrin -)

  • 곽정기;김종준;전동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45-451
    • /
    • 2005
  • Up to the present, fabric finishing methods have been mainly employed for the application of chitosan. However, the coated chitosan acid salt is prone to be detached from the fabric during the laundering process. In order to improve the wash fastness, chitosan treated fabrics are being subjected to thermal curing. In this study, chemical crosslinking reaction by epichlorohydrin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thermal curing. An improvement of the wash fastness is expected since the coated chitosan component on the fabric become insoluble by the introduction of the crosslinking. The demerit of the single chitosan treatment (inferior handle due to the excessive stiffness, etc.) was supplemented by the application of chitosan-polyurethane mixture solution. The mixture ratios were adjusted to 1 : 0, 1 : 0.25, 1 : 0.5, 1 : 1, and 1 : 2 for the chitosan/PU mixtur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nished fabric specimens were measured using the Kawabata Evaluation System(KES), and hand values were calculated accordingly based on the translational formulas.

Effect of Co-agent on Cure, Mechanical Properties of NBR Compounds in Peroxide System

  • Seo, Eun Ho;Kim, Gi Hong;Kim, Do Young;Lee, Dong Won;Seo, Kwan Ho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2권3호
    • /
    • pp.187-193
    • /
    • 2017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cure, mechanical properties, and oil resistance of N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peroxid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for various co-agents. NBR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using a swelling test, a rheometer (MDR), and a compression set test. Mechanical properties were tested with original compounds, heated in air and exposed to the ASTM No.1, IRM 903 oil. NBR compounds were prepared using peroxide as the crosslinking agent.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MPTMA), triallyl isocyanurate (TAIC), and 1,2-polybutadiene (HVPBD) were used as co-agents. The NBR compounds containing TMPTMA and HVPBD lowered the scorch time, while the addition of TAIC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scorch time. NBR compounds containing TMPTMA increased the crosslinking density, while the addition of TAIC and HVPBD lowered the crosslinking density. Moreover, the addition of TMPTMA improved the oil resistance of the NBR compound.

Poly(phenylene sulfide sulfone)의 경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ing of Poly(phenylene sulfide sulfone))

  • 서관호;박이순;오대희
    • 공업화학
    • /
    • 제4권3호
    • /
    • pp.544-548
    • /
    • 1993
  • Poly(phenylene sulfide sulfone)[PPSS]를 시간과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열처리를 하였을 때 이들의 유리전이 온도($T_g$)를 DSC로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PPSS의 $T_g$는 열처리온도가 $230^{\circ}C$까지는 열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다가 평형에 도달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245^{\circ}C$ 이상에서는 열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T_g$가 증가하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되면 감소한 뒤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현상을 경화가 진행됨에 따른 chain extension반응과 oxidative crosslinking 및 thermal crosslinking으로 설명하였다.

  • PDF

치자엑스 가수분해물 제제의 피부투과 및 생체 피부조직과의 교차결합에 관한 연구 (Skin Permeation and Crosslinking with Biological Tissue of the Hydrolyzed Products of Gardeniae Fructus Extract)

  • 양재헌;이남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1호
    • /
    • pp.7-16
    • /
    • 2005
  • Gardeniae Fructus is consisted of geniposide and it's derivatives.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of skin disease, geniposide and hydrolyzed products (HP) of Gardeniae Fructus were studied on skin permeation and cross1inking with biological tissue. The hydrolyzed products (HP) and active ingredients of Gardeniae Fructus were identified and investigated about skin permeability. Genipin has provided low cytotoxic cross1inking reagents and formed stable and biocompatible crosslinked products. The permeation enhancing effects of geniposide and genipin under the hydrolyzed products of cream and hydrogel preparations were tested using Franz type diffusion cell and the skin of hairless mouse. The remaining proportions of geniposide and genipin were measured in the hydrolyzed products of cream and hydrogel preparations. The crosslinking of epidermic and endodermic tissue with genipin under the hydrolyzed prodcuts of cream and hydrogel preparation was observed using light microscopy. Increased absorption ratio of the skin of hairless mouse about genipin was higher than that of geniposide. Loads at break, tensile strengths and skin permeation rate of the hydrolyzed products (HP) of cream and hydrogel preparations were higher than the nonhydrolyzed products (NHP). The hydrolyzed products (HP) of cream and hydrogel of Gardeniae Fructus Extracts were proper preparations and crosslinking agents to increase the transdermal absorption with epidermic and endodermic t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