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linking agent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5초

가교도가 조절된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응용: Part I. 전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of Pore-filled Ion-exchange Membranes with Well-adjusted Cross-linking Degrees: Part I. All Vanadium Redox Flow Battery)

  • 이지은;박예린;김도형;강문성
    • 멤브레인
    • /
    • 제27권5호
    • /
    • pp.406-4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얇은 폴리에틸렌 계 다공성 필름(두께 = $25{\mu}m$)에 이오노머를 충진시킨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전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분자 크기가 다른 가교제를 혼합함으로써 이온교환막의 가교도 및 자유체적을 적절히 제어하여 저저항 및 저 바나듐 투과도를 나타내는 이온교환막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제조된 세공충진 이온교환막은 상용막 대비하여 동등 수준의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바나듐 이온 투과도 및 전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 성능 평가 실험을 통해 얇은 막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용막 대비하여 낮은 바나듐 이온 투과도와 높은 충방전 효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가교제 종류가 PVA-PAN 복합 중공사 분리막의 초산 탈수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oss-linking Agents on the Acetic Acid Dehydration Behaviors of PVA-PAN 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s)

  • 강수연;김지선;조은혜;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4권4호
    • /
    • pp.311-316
    • /
    • 2014
  • 고농도의 초산수용액을 분리 농축하기 위해 polyacrylonitrile (PAN) 중공사 복합막을 제조한 후 투과증발 분리실험을 통해 제조된 복합막의 분리성능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중공사 복합막의 코팅여부를 알아보고자 SEM 사진을 측정하였으며 코팅두께가 $3.85{\mu}m$로 균일하게 코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막의 투과성능평가 실험을 수행한 결과 가교제의 농도와 가교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도는 감소하고 선택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대표적인 결과로 가교제인 glutaraldehyde 농도 13 wt%, 가교온도 $140^{\circ}C$에서 투과도 $250g/m^2{\cdot}hr$, 선택도 13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또 다른 가교제로서 poly (acrylic acid) 농도 9 wt%, 가교온도 $140^{\circ}C$일 때 투과도 $330g/m^2{\cdot}hr$, 선택도 9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Partially Hydrolyzed Crosslinked Alginate-graft-Polymethacrylamide as a Novel Biopolymer-Based Superabsorbent Hydrogel Having pH - Responsive Properties

  • Pourjavadi A.;Amini-Fazi M. S.;Hosseinzadeh H.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45-53
    • /
    • 2005
  • In this study, a series of highly swelling hydrogels based on sodium alginate (NaAlg) and polymethacryl­amide (PMAM) was prepared through free radical polymerization. The graft copolymer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in a homogeneous medium and in the presence of ammonium persulfate (APS) as an initiator and N,N'-methylenebis­acrylamide (MBA) as a crosslinker. The crosslinked graft copolymer, alginate-graft-polymethacrylamide (Alg-g­PMAM), was then partially hydrolyzed by NaOH solution to yield a hydrogel, hydrolyzed alginate-graft-poly­methacrylamide (H-Alg-g-PMAM). During alkaline hydrolysis, the carboxamide groups of Alg-g-PMAM were converted into hydrophilic carboxylate anions. Either the Alg-g-PMAM or the H-Alg-g-PMAM was characterized by FTIR spectroscopy. The effects of the grafting variables (i.e., concentration of MBA, MAM, and APS) and the alkaline hydrolysis conditions (i.e., NaOH concentration, hydrolysis time, and temperature) were optimized systematically to achieve a hydrogel having the maximum swelling capacity. Measurements of the absorbency in various aqueous salt solutions indicated that the swelling capacity decreased upon increasing the ionic strength of the swelling medium. This behavior could be attributed to a charge screening effect for monovalent cations, as well as ionic cross-linking for multivalent cations. Because of the high swelling capacity in salt solutions, however, the hydrogels might be considered as anti-salt superabsorbents. The swelling behavior of the superabsorbing hydrogels was also measured in solutions having values of pH ranging from 1 to 13. Furthermore, the pH reversibility and on/off switching behavior, measured at pH 2.0 and 8.0, suggested that the synthesized hydrogels were excellent candidates for the controlled delivery of bioactive agents. Finally, we performed preliminary investigations of the swelling kinetics of the synthesized hydrogels at various particle sizes.

천연항생제로서 봉독의 기원 및 지표성분 설정 (Origin and effective ingredient standards of honeybee venom as natural antibiotic ingredients)

  • 한상미;김정민;한상훈;여주홍;홍인표;우순옥;이광길;권해용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3-129
    • /
    • 2014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rigin, standard compound, and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honeybee venom which used as natural antibiotic ingredients to animal. We compared the nucleotide sequence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gene (COI) of honeybees were collected from Gangwon, Gyeonggi, Chungnam, Gyeongbuk, Gyeongnam province and Suwon. As major constituent of honeybee venom, melittin was assayed by liquid chromatography. X-ra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were utilized to examine the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honeybee venom. Based on the 627bp sequence of COI, Apis mellifera ligustica was determinated honeybees collected from all six regions. Melittin content varied from 50.7 to 68.6 and averaged 59.8%. According to XRD analysis, honeybee venom showed regular crystal structure peaks at $2{\Theta}=8.5^{\circ}$ and $21.5^{\circ}$. DSC showed that the maximum degration temperature of powder was around $230^{\circ}C$. Through FT-IR analysis, we could identify cross-linking by the presence of peptide peak at 1,500~1,600 $cm^{-1}$. In conclusion, the origin of honeybee venom was Apis mellifera ligustica and effective ingredient standards was melittin content varied from 50.7 to 68.6 as natural antibiotic ingredients.

Effects of Peroxides on the Properties of Reclaimed Polypropylene/Waste Ground Rubber Tire Composites Prepared by a Twin Screw Extrusion

  • Kim, Seonggil;Lee, Minji;Lee, Hyeongsu;Jeong, Hobin;Park, Yuri;Jhee, Kwang-Hwan;Bang, Daesuk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1권1호
    • /
    • pp.17-23
    • /
    • 2016
  • In this study, the reclaimed polypropylene (RPP) and waste ground rubber tire (WGRT) were used to simulate the thermoplastic vulcanizate (TPV) for cost reduction and resources recycling. Also,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cumyl peroxide (DCP) and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 (DTBPH) as peroxide type cross-linking agents to enhance the properties of TPV's. The components of RPP and WGRT were fixed at 30 and 70 wt%, and DCP and DTBPH were added in the concentrations from 0.5 to 1.5 phr, respectively. RPP/WGRT composites with different contents of DCP and DTBPH were prepared by a modular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 The Young's modulus of composite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peroxides contents. On the other hand,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and impact strength of the composites were increased with peroxide contents. We also confirmed that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RPP and WGRT was considerably improved by adding the peroxides. Taken together, DTBPH added RPP/WGRT composites exhibited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rather than those of DCP added composites.

$\beta$-glucosidase의 고정화와 효소 반응특성 (Immobilization of $\beta$-glucosidase and properties of Immobilized Enzyme)

  • 정의준;이상호이용현
    • KSBB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41-149
    • /
    • 1990
  • Aspergillus niger유래의 $\beta$-glucosidase를 (1)glutarald-ehyde를 가교제로 한 chitin과 chitosan담체에 covalent linkage (2)Amberite IRA93과 DEAE-cellulose담체에 succinylation시킨 후 흡착, 그리고 (3)alginarte, polyacry-lamide를 각종 가교제를 이용 entrapment등의 방법으로 고정화 하였다. Glutaraldehyde를 가교제로써 chitosan을 활성화시킨후 $\beta$-glucosidase를 고정화 시켰을때 효소활성 회수율이 31.5%로 가장 높았고, 또한 column형 반응기에서의 15일 경과 후 효소활성 유지도도 69%로서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succinylation시킨 효소를 Amberite IRA93 담체에 흡착시켰을 때 효소활성 회수율은 24.7%였고 효소 활성유지도는 62%였다. 반면에 entra-pment 방법에 의한 $\beta$-glucosidase의 고정화는 효소의 계속적인 용출로 $\beta$-glucosidase의 고정화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Chitosan담체에서의 고정화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가교제인 glutaraldehyde의 최적농도는 0.4%였고, glutaraldehyde의 최적 반응 pH는 4.8이었다. 또한 column형 반응기를 이용하여 cellobiose로부터 glucose로의 전환율을 조사하여 고정화 효소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편광필름용 아크릴 점착제의 합성에서 커플링제와 가교제의 효과 (The Effects of Coupling Agent and Crosslinking Agent in the Synthesis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Polarizer Film)

  • 임창혁;류훈;조을룡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319-325
    • /
    • 2009
  • 편광필름용 점착제를 합성하기 위해 아크릴 단량체를 사용하여 용액중합이 수행되었다. 사용된 아크릴 단량체는 2-ethylhexylacrylate, butylacrylate, acrylic acid였으며, 비율은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 $-40^{\circ}C$에 맞추어 2-ethylhexylacrylate: butylacrylate: acrylic acid=25:50:3.5로 하였다. 중합된 점착제에 커플링제를 1 wt% 첨가하였을 때 점착제의 광투과율이 매우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커플링제의 Si-O 결합이 액정셀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킨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가교제를 단량체 대비 0.5, 1.0, 1.5 wt% 첨가하였을 매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점착력은 감소하고 응집력은 증가하였다. 접촉각 분석에서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표면에너지가 커져 접촉각이 감소하였다. 내열성 측정에서 가교제의 증가나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아크릴 점착제는 우수한 내열성을 보였으며 절단면의 관찰에서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절단면이 매끄럽고 깨끗하였다. 종합적으로 점착제의 초기점착력, 응집력, 표면에너지, 절단면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정 가교제의 투입량을 1.0 wt%로 확정하였다.

자연 고분자 : 상처 치료 재료로 활용 (Natural Origin Polymers: Applications as Wound Care Materials)

  • 파티 카라데니즈;성혜경;김한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82-393
    • /
    • 2019
  • 상처 치료는 전세계 인류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 산업계의 관심사다. 당뇨병과 같은 대사증후군 유병률 증가로 상처에 의한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지고 상처치유의 복잡함 때문에 상처의 치료와 관리가 어렵다. 전통적 상처 드레싱은 제한된 보호기능을 제공하며, 상처 드레싱의 치료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체고분자 기반의 드레싱들이 개발되고있다. 생체고분자는 생분해성이 뛰어나고 생체적합성이 좋으며 효과적인 상처 관리에 중요한 항균, 항염증, 지혈, 세포증식, 혈관성 활동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키토산, 셀룰로오스, 콜라겐, 히알루론산, 알긴산 등의 여러 생체고분자가 이미 상처치유제로 활용되고 있으며 생체고분자를 다른 고분자, 생체활성 분자 및 약물과 결합하여 생리학적 문제 없이 흉터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상처 드레싱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의 연구와 활용을 위한 현재의 생체고분자의 상처처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열처리가 Lysine 손상에 의한 단백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Protein Quality as Lysine Damage)

  • 이경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16-828
    • /
    • 1995
  • 식품의 가공처리나 저장 중에 단백질에 결합된 아미노산의 side chain이 상호간 또는 식품내 다른 분자들과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이 반응으로 아미노산의 구조적 파괴, recemization, 단백질의 상호작용들, 또한 환원성 당과, 산화제 및 polyphenol류와의 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Maillard 반응 (예 ; fructoselysinel과 아미노산 간의 cross-linking(예 ; lysinoalanine)에 의한 반응이 주를 이룬다. 이때 가장 영향을 받는 아미노산이 lysine으로, 이는 lysine이 기능성 유리 ${\varepsilon}-amino$ group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아미노산의 derivatives나 polypeptides내 cross-links는 단백질의 체내 이용율과 소화율을 감소시켜 단백질 식품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본 논문에서는 식품낸의 lysinoalanine과 fructoselysine의 형성과 관련된 기술적, 분석적, 영양적 그리고 생리적인 문제들에 관하여 문헌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식품내 이들의 존재가 여러가지 영향을 체내에서 미칠 수 있으나 정상 성인에게는 전혀 위험한 물질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한된 formular foods를 주로 먹는 유아에게는 성장에 lysine이 필수적이므로 lysine 손상을 통한 단백질의 질 저하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유아식의 가공처리와 저장에 주의를 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PDF

트리메틸올멜라민의 세리신 정착에 있어 정착제와 유연제의 영향 (The Effect of Fixing Agents and Softner on Sericin Fixation of Trimethylolmelamine)

  • 박건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93-98
    • /
    • 2017
  • 트리메틸올멜라민에 의한 세리신 정착 거동을 고찰하기 위해 멜라민과 포름알데하이드를 몰 비 1:3으로 세리신정착액을 조성하여 실크 생사를 정착시켰고, 정련에 의해 세리신 정착 거동을 살펴보았다. 정착 과정에서 세리신의 정착이 일어나는 동시에 열수에 의해 세리신 I의 일부가 제거되었다. 정착 중의 감량과 정련에 의한 연감율은 멜라민과 포름알데하이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했다. 0.011몰 멜라민과 0.033몰 포름알데하이드로 정착한 실크 생사는 불충분한 정착과 탄산나트륨에 의한 세리신의 알칼리 가수분해로 인해 많은 정련이 일어났다. 그러나 0.055몰 멜라민과 0.165몰 포름알데하이드로 정착한 실크 생사는 강한 세리신 정착으로 인해 3-8%의 매우 적은 연감율을 보였는데 이는 트리메틸올멜라민에 의해 세리신 I 분자 간에 많은 가교결합이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15% owf 유연제의 정착액으로 처리한 경우 정착에 의한 감량과 정련에 의한 연감율이 가장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연제의 양이온이 세리신 중의 아스파르트산의 음이온과 이온결합을 형성하고 유연제의 소수부와 세리신의 소수성 영역 간에 반데르바알스력이 형성되어 세리신 I의 제거가 다소 억제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