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2초

대형자연시료를 이용한 지반교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ft Ground Distubance Characteristics by Large Block Sample)

  • 유성진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43호
    • /
    • pp.98-106
    • /
    • 2007
  • In this paper, a ground disturbance effects, strength and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soft clay through using the large block samples($\theta$:300mm, H:400mm) and the piston samples, f hose which had been gathered in west coast and south coast. Especially, we have assessed the coefficient of horizontal consolidation when penetrating the mandrel considering the variance of ratio between diameter and height in drainage sample through the experiment of the oedometer test and Rowecell and also investigated the disturbance area in smear zone by interior model test, the strength originated by disturbance, the variance in characteristics of the consolidation. As the result, the large block sample has been investigated that ihe uniaxial compression test(qu) was shown bigger than the piston sample by about 11-19%. Under the size of anistropy in consolidation, the coefficient ratio of consolidation(ch/cv,) perfomed by standard consolidation test(SC) was shown bigger than that of (Cro/Cv) by the Rowecell test. And the coefficient ratio of consolidation(Cro/Cv) perfomed by piston sample was evaluated bigger than that Of (Cro/Cv) by the large block sample by about 0.9-1.9. The coefficient ratio of consolidation along with the variance in ratio of between diameter and height when penetrating the mandrel was shown big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il of the specimen. In addition, ds/dw of smear zone at the marine clay in west-south was ranged from 1.6 to 4.2. The width of variance in rat io[(qud)/(quud)] of strength n the area between disturbance and undisturbance was shown big as about 72-91% but the principle was judged with the similiar range when the decrease of the strength in smear zone become the zone under 25% in unditurbance area.

  • PDF

퍼지 필터링 구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통계 사서함 시스템 (Multimedia Statistic Post-office Box System using Fuzzy Filtering Structures)

  • 이종득;김대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6호
    • /
    • pp.709-716
    • /
    • 2004
  • 최근에 인터넷과 통신망의 활성화로 인하여 특정 도메인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통계 사서함 구축을 위한 퍼지 필터링 객체 관련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S-cut을 이용하여 문서 객체들을 그룹화하기 위해 RelCRO( $D_{omain}$, Gi), RelSRO( $D_{omain}$, Gi), FAS를 이용한다. 또한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1600개의 멀티미디어 타입정보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랜덤 키, OGM, 그리고 제안된 방법을 비교 분석한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의 성능이 보다 효율적임을 보인다.

추백리 혈청검사 양성 산란계로부터 Salmonella속균 분리 (Isolation of Salmonella from the layer chickens reacting in pullorum-typhoid agglutination test)

  • 류재윤;전무형;장경수;손현수;곽학구;박경재;우용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1-237
    • /
    • 1999
  • To investigate the specificity of rapid slide agglutination test for pullorum-gallinarum diseases and to obtain a basic data for avian salmonellosis control, salmonella isolation was peformed for the layer chickens positively reacted in pullonlm-typhoid agglutination test. The biochemical, serologic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he isolat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Of 2,384 chickens tested by the agglutination test, 606 chickens (25.4%) were positive reactors. 154 of 606 reactors and 49 of the non-reacting chickens were investigated for salmonella isolation, resulting in isolation of 68 strains of salmonellae from 27 chickens. 2. By organs, the isolation frequency from liver, cecum, spleen, ovary and gall bladder showed 8.9% (18 strains), 8.9% (18 strains), 7.4% (15 strains), 4.4% (9 strains) and 3.9% (8 strains), respectively. 3. By culture medium the combination of selenite broth and MacConkey agar revealed the highest isolation rate and the enrichment culture by delayed secondary enrichment culture method was found the most effective for salmonella isolation. 4. The serotypes of 68 salmonella isolates were identified as 3 strains of S pullorum, 24 strains of S gallinarum, 15 strains of S typhimurium, 8 strains of S enteritidis, 7 strains of S paratyphi A, 5 strains of S typhimurium and 6 strains of the other salmonellae. 5. The serotypes of 8 salmonella strains isolated from 49 chickens non-reacting in pullorum-typhoid agglutination test were identified as 3 strains of S typhimurium and 5 strains of S infantis. 6. When 24 chickens of which 68 strains of salmonellae isolated were examined by microplate agglutination test, the average antibody titer for pullorum antigen was $2^{5.25}$. The chickens at antibody titer between $2^3$ and $2^5$ showed the higher frequency of isolation as compared with the chickens at the other titers. 7. When salmonella isolates were tested the antimicrobial drug sensitivity by disk diffusion method, S paratyphi A were highly sensitive by 100% to ATM and GM, S typhimurium, by 88% to AM, CIP, IMP and TN, S infantis, by 100% to AM, CRO, ENR and PIP, S enteritidis,by 100% to IMP and PIP, S pullorum, by 100% to ATM, CRO, ENR and PIP and S gallinarum, by 92% to CRO, CIP and PIP.

  • PDF

색소레이저의 국산화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Homemade Dye Laser)

  • 오철한;박덕규;이성만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56-62
    • /
    • 1985
  •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fundamental basis of dye laser technology in korea. Except the special wavelength mirrors, all parts of the dye laser were assembled using domestically available materials and the interior technology. The characteristics of pumping light of Ar discharge tube, fluorescence light of Rhodamine 6G and output pulses of the homemade dye laser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CRO and spectroscopic analysis.

  • PDF

Overall 패턴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제1보) (A Study on the Proper Pattern of Overall (I))

  • 서미아;조승혜
    • 복식문화연구
    • /
    • 제5권2호
    • /
    • pp.245-252
    • /
    • 1997
  • In this study, the comfortable as well as good-looking overall patterns were investigated. To measure the maximum vertical spaces caused by the body movements, basic foundation type of overall pattern was made. The vertical spaces, which were measured using the CRO-SS-CUT method. The Result was as followings : The Maximum vertical space was 19.7㎝. The Maximum vertical space was 4.2㎝. The vertical space increased as the leg-movement angle increased.

  • PDF

시판 건해산물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와 E. faecium의 미생물학적 특성 (E. faecalis and E. faecium Isolated in Dried Marine Products)

  • 함희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4-299
    • /
    • 2007
  • 서울시 가락동 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시판되는 건포류 164건에 대해 API strep kit를 사용하여 87주의 균주들을 분리하였고 이 가운데 28주에서 E. faecalis, and E. faecium가, 11주에서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가 분리되었다. 28주의 E. faecalis와 E. faecium에서는 내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이 streptomycin(95.6%), kanamycin(84.5%), gentamycin(66.7%), cephaloxin(97.8%), ampicillin/sulbactam(88.9%), ticarcillin(66.7%), amikacin(97.8%), sulfonamides(97.8%), ceftriaxone(75.6%), nalidixic acid(100.0%), 그리고 cefoxitin(100.0%) 등이었고, 감수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은 amoxicillin/clavulanic acid(97.8%), chloramphenicol(95.6%), solfamethoxazole/trimethoprim(97.8%), 그리고 tetracycline(71.1%)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다제내성 형태로는 10 균주의 E. faecalis에서 나타난 $S-K-GM-CF-SAM-TIC-An-S_3-CRO-NA-FOX$에 대한 것이었다. 결국, 건포류에서 분리한 E. faecalis 균주에서 항생제 다제내성이 분포함으로 나타나 probiotics로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결과가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서울지역 교육시설 및 공원 내 토양 중 분원성대장균군 오염실태 (Survey of fecal coliform contamination in sand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parks in Seoul)

  • 김혜라;김능희;박형숙;김두환;이주형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7-312
    • /
    • 2014
  • Fecal coliform bacteria are indicators of fecal contamination and of the potential presence of pathogens associated with animal excreta, wastewater, sludge.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fecal coliform in sand of the playground at educational facilities and parks in Seoul. Fecal coliform were detected from 61 (22.1%) places out of 276 playgrounds. Escherichia (E) coli (75.4%) was foun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Cronobacter (Cro) sakazakii (8.7%), Klebsiella (K) pneumoniae (7.2%) and Actinobacter baumannii (4.3%). We also tested the bacteria for their susceptibility to 16 antibiotics using disk diffusion method. All the isolates were highly susceptible to cefepime, gentamicin, tetracycline, ciprofloxacin, enrofloxacin, nalidixic acid and sulfamethoxazole/ trimethoprim, but resistant to apramycin and cephalothin. E. coli and Cro. sakazakii were highly resistant to apramycin (100% and 83.3%), followed by cephalothin (51.9% and 50%) and ampicillin (19.2% and 16.7%). K. pneumoniae was highly resistant to ampicillin and apramycin (100%, respectively) but the remaining antibiotics were susceptible.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과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자의 제품구매 및 취식 행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purchase and intake patterns of individuals consuming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or health/functional foods)

  • 원혜숙;이효진;곽진숙;김주희;김미경;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6호
    • /
    • pp.541-551
    • /
    • 2012
  • 본 연구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섭취하는 성인의 제품유형별 구매 및 취식행동과 제품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남자 28.6%, 여자 71.4%, 평균연령 $34.2{\pm}5.9$세, 대졸 71.9%, 기혼 65.8%로 나타났고, 월평균소득은 300만원 이상인 가정이 총 88.1%로 높게 나타났다. 제품 구입 시 고려하는 요인으로 '제품의 기대효과/효능'을 우선하였고, 구입 장소는 '인터넷 쇼핑몰'이 가장 많았고, 제품의 제형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은 '알약형태',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은 '바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p < 0.001). 제품을 구입 시 건강기능식품군은 평균 $2.3{\pm}1.3$개월분,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은 $1.7{\pm}0.8$개월분을 구입 (p < 0.001)하였고, 1일 평균취식빈도가 각 $1.7{\pm}0.7$회, $1.5{\pm}0.9$회 였다 (p < 0.05). 제품을 이용한 체중감량 목표기간은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2.1{\pm}1.1$개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은 $1.7{\pm}1.2$개월 (p < 0.05)였다. 제품만족도는 5점 기준으로 평균 $3.6{\pm}0.6$점으로 '만족하는 편'이였다. 향후 이용 체중감량방법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향후에도 '건강기능식품복용'이 44.5%,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은 '체중조절용 조제식품복용'이 47.2%로 현재 제품유형을 향후에도 사용하고자 하였다. 향후 건강기능식품 구입 시 취식예정 평균 개월은 건강기능식품군이 $3.8{\pm}3.7$개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 $3.0{\pm}2.4$개월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5). 효능/효과 관련 핵심 요소 분석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서 '체중감량에 도움을 줌', '체지방 축적 억제에 도움을 줌'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서는 '체중감량에 도움을 줌', '몸매개선에 도움을 줌'이 상대적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가장 중요하게 관리/대처해야 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원산지/원료 관련 핵심 요소 분석에서는 상대적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속성으로는 건강기능식품에서 '몸에 좋은 효과가 입증된 성분/소재를 사용함'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서는 '기능성 원료 외에 함께 들어가 있는 원료가 좋아 보임'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체중조절용 조제식 섭취군에 비해 체중감량 목표기간을 좀 더 길게 설정을 하여 체중조절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의 기능성과 소재 (원료)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중요하게 여기며 만족도도 높은 특성을 보였다.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은 비교적 단기간의 체중감량 목표기간을 설정하여 체중조절에 이용하며, 기능성원료 외에도 함께 첨가되는 원료를 중요하게 또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상업용 다이어트식품 시장 중 법적인 관리 하에 판매되고 있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시장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산업체들의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1c와 지방산 합성효소의 억제를 통한 폴리코사놀의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Policosanol Reduces Blood Cholesterol Levels by Inhibiting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1c and Fatty Acid Synthase)

  • 박민정;안병민;이동준;최지명;최영현;주보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5-324
    • /
    • 2023
  • 폴리코사놀의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에 대한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몇몇 연구들은 지방산 합성 경로를 통한 콜레스테롤 합성의 조절에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SREBP-1c)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SREBP-1c에 의해 조절되는 지방산 합성에서 폴리코사놀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표는 SREBP-1c에 의해 매개되는 지방산 합성이 폴리코사놀의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와 관계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7주령의 C57BL/6 수컷 생쥐를 7개군(군당 7마리)으로 나누고 8주간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1) 정상식이군(정상 대조군), 2) 고지방식이군(high-fat diet, HFD, 음성대조군), 3) 고지방식이+에탄올처리군(Pol-0), 4) 고지방식이+1 mg/kg 폴리코사놀처리군(Pol-1), 5) 고지방식이+2 mg/kg 폴리코사놀처리군(Pol-2), 6) 고지방식이+4 mg/kg 폴리코사놀처리군(Pol-4),7) 고지방식이+simvastatin 50 ㎍/kg 처리군(양성 대조군). 폴리코사놀과 simvastatin은 고지방식이를 유지하는 동안 매일 동일 시간에 처리하였으며 체중과 음식섭취량은 8주 동안 매주 측정하였다. 8주 후,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였으며, 간의 조직학적 분석과 SREBP-1c와 지방산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폴리코사놀은 농도-의존적으로 체중과 음식섭취량을 감소시켰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는 Pol-1과 Pol-4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SREBP-1c와 FAS의 발현 역시 Pol-4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폴리코사놀의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가 SREBP-1c와 FAS의 발현 억제에 기인하여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