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tical Social Welfare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9초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복지국가의 발전 :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 비교 (Democratic Consolidation and Welfare State Development : A Comparison of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and the Kim Dae Jung Government)

  • 성경륭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6권
    • /
    • pp.145-177
    • /
    • 2001
  • This paper seeks to analyze how the welfare state has developed both in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and in the Kim Dae Jung government. Among other things, the two governments share some similarities: compared to the previous authoritarian governments, both of them enjoyed a high level of democratic legitimacy; the two were under pressure to win the elections to acquire and remain in power; and finally, the two tried to strengthen welfare system. But there exist more critical differences. The Kim Dae Jung government was a minority government, while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was a majority one. Compared to the latter one, the former came to power in an extremely bad economic condition. Fortunately, however, the Kim Dae Jung government was able to enjoy a relatively high level of state autonomy resulting from an exceptional situation of foreign currency crisis. In addition, it was more reformist in policy orientation and had a more open cooperative network with civil society. All these differences added up to produce remarkable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improvement in welfare development.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Kim Dae Jung government was very successful in several respects: provision of national minimum, integration of national medical insurance, development of productive welfare system, and final1y increase in welfare spending. Recently, criticisms from the opposition party, the press, and middle and upper class people mount against the Kim Dae Jung government which has made significant mistakes in instituting the separation of medical and pharmaceutical businesses. However, the important improvements in welfare institutions and programs by the Kim Dae Jung government need to be maintained to deal with all the negative effects of a naked market economy. They must also be sustained to keep alive democracy that Korean people have fought for nearly half a century.

  • PDF

17개 시·도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lderly Welfare Budget among 17 metropolises and provinces in Korea Using Fs/QCA)

  • 장은하;홍석호;김헌진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127-147
    • /
    • 2021
  • 노인복지증진을 위한 지방정부의 안정적인 재원확보 및 효율적 재정운영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 방법론(Fs/QCA)을 적용하여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의 원인조건을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원인변수를 사회경제적 요인(고령인구비율,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 재정적 요인(재정자주도), 정치행정적 요인(노인복지조례 수)으로 선정하였고, 결과변수는 노인 1인당 복지예산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복지예산을 결정하는 원인변수의 조합은 세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첫째, 고령인구비율이 낮으며,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높고, 노인복지조례 수가 적은 경우였다. 둘째,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낮고, 재정자주도가 낮으며, 노인복지 조례 수가 많은 경우였다. 셋째, 고령인구비율이 높고,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높으며, 재정자주도가 낮은 요인이 결합되어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방정부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 재정적 요인, 정치행정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노인복지예산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아동기 및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와 세대 간 사회 이동이 성인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for the Impact of Adulthood and Childhood Socioeconomic Positions and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on Adulthood Health)

  • 서제희;김호;신영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38-150
    • /
    • 2010
  • Objectives: There are at least three conceptual models for the effects of the childhood social environment on adult health: the critical period model, the social mobility model, and the cumulative risk model.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all three different models within the same sett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childhood and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s and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over the life course on the health in adulthood based both on the critical period model and the social mobility model.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9583 adults aged between 25 and 64 years old and they were the respondents to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6).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critical period model and the social mobility model out of the life course approaches, to look into the impact of childhood and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s and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on the health status in adulthood. Results: Household income and occupation out of the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 indicators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the adulthood health status. The childhood socioeconomic position indicators, except for the place of childhood residence, affected the adulthood health status even after adjustment for the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 The effect of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 but it became insignificant when the childhood socioeconomic position was additionally adjusted for. Conclusions: Adulthood health is indeed affected by both the childhood and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s as well as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This result shows that a life course approach needs to be adopted when dealing with health issues.

대학생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피부미용 융·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 라이프케어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onvergence Skin Care Education Program to Foster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life care -)

  • 박정연;강수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39-44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교양강좌 운영을 목적으로 피부미용과 사회복지를 기반으로 융·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개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개발된 교과목명은 "미용복지와 지역사회 봉사"로 하고, 수업개요, 교과목 목표, 교재, 수업운영 방법, 과제, 평가에 관한 내용을 개발하였다. 교과의 학습 목표는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융합인재로서 피부미용과 사회복지의 기초적 전공지식을 갖추고, 융합적 사고능력을 신장과 피부미용·사회복지의 융합적 관점에서 봉사학습 연계 교육을 통해 나눔과 배려심을 갖춰 인성을 함양으로 설정하였다. 교과목의 상세 내용은 교과목 소개와 융·복합 개념 이해, 피부미용과 사회복지의 개념 이해, 미용복지의 융합적 사고 학습 및 실습, 봉사학습과 성과 공유회에 대해 학습하도록 구성하였다. 봉사학습은 사회적 약자·배려 대상인 아동과 노인을 대상으로 3시간씩 2회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는 중간고사(30%), 기말고사(30%), 레포트 (20%), 출석 (20%)로 산출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융·복합 교육의 확산 속에서 아직까지 미개발 상태인 피부미용과 사회복지의 융·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으며, 본 연구를 시작으로 미용 분야에서 다양한 융·복합 교육의 접근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정신보건법 개정 담론에 근거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주요 쟁점 분석 (Discourses on Mental Health Act Revision and Critical Analysis on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Service Support Act)

  • 김문근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3호
    • /
    • pp.85-111
    • /
    • 2016
  • 본 연구는 정신보건법의 전면 개정 법률인 정신건강복지지원법(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그 함의가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첫째, 정신보건법 개정과 관련한 주요 담론인 인권담론, 사회복지담론, 예방담론의 구체적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둘째, 정신건강복지지원법의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함의를 논의하였다. 정신건강복지지원법 주요 쟁점 분석결과 이 법률은 정신질환자 개념이 축소되어 장애인복지법의 정신장애인 개념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입원규정은 비자발적 입원요건을 강화했으나 정신질환자의 주체성을 강화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서비스는 도입하였으나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핵심 가치인 장애인의 당사자주의와 같은 핵심적 가치는 부정하고 있었다. 정신건강증진은 예방, 치료, 재활, 복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되어 정부 정신건강정책을 포장하는 상징적 성격이 강하고, 예방에 관한 초점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보건법과 정신장애인복지지원법의 기계적 결합으로 내적 가치, 원리, 개념의 불일치라는 한계가 있었다.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Deinstitutionalization News Article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JungHyu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36-43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rive discourse's linguistic meaning, production method, and social practice implications by analyzing news reports on de-fac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discourse was analyzed by applying Fairclough's framework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subject of analysis is a news article on the de-facility of the disabled on the N portal site, and the analysis period is one year,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22. Fir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rface meaning of the news discourse on the de-facility for disabled people was ideological through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for disabled people, the poor environment, and the policy of de-facility for disabled people separated from reality. Second, the social meaning of the de-facility news discourse for disabled people appeared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such as the structural cause of the problem for disabled people and the need for sensible government policies and measures to practice de-facility for disabled people. Finally, the socio-cultural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e-facility news discours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roposed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and realistic de-facility management manual for the disabled, practical government policy support, and changes in self-support perception for disabled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find an alternative direction to reduce the gap between actual policies for de-facility for disabled people and practice in the field in the future.

장기요양기관 노인들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mpacts of Depression Among the Aged in the Long-Term Care)

  • 김경우;최건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79-188
    • /
    • 2012
  • 본 논문은 노인 장기 요양기관에서 노인들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서울시에 소재하며 노인 장기요인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360여 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노인복지학회의 통계에 의하면 65세 이상 노인 우울증환자의 수는 13%에 이른다고 보고한 바 있다. 여기에 사회적 지지가 이러한 정서적 불안을 해소하는데 주요한 관건으로 보고 있다. 그 결과 인지된 사회적 지지와 우울증과의 관계가 강한 정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건강상태와 우울증이정(+)의 관계였다. 그리고 높은 건강상태는 낮은 정도의 우울증을 유발하고 네트워크의 크기나 접근의 빈도는 노인우울증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사회사업실천에 있어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어떻게 실천하여야 하는가를 암시하고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자 가족의 보호부담에 관한 연구 (Burden of COPD among Family Caregivers)

  • 김정화;김은경;박선형;이경애;황용일;김은지;장승훈;박성훈;이창률;이명구;이지연;김동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6호
    • /
    • pp.434-441
    • /
    • 2010
  • Backgrou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a major health problem resulting in significant burden for patients and families. However, family caregivers' burden has not been well recogniz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level of caregivers' burden and to explore the related factors based on family, patient, and social support factors. Methods: A face-to-face interview with 86 family caregivers who had been taking care of COPD patients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answer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level of family caregivers' burden, health status and the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functional limitation of patients perceived by family caregivers and the social support. Results: The level of caregivers' burden among participants was considerably high. Risk factors for caregivers' burden included low educational level of family caregivers, low family income, hours of caregiving, and functional limitation of the patients. Protective factors for caregivers' burden were good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and support from other family members or friends. Conclusion: It is proved that family caregivers are facing significant burden in taking care of COPD patients. To reduce family caregivers' burden, it is necessary to address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to provide various community resources including financial support and nursing services.

가족부양 쟁점에 관한 일고찰: 노인과 이혼가족 아동을 중심으로 (A Critical Approach on Family Support, Social Security, and its Direction: Focusing on Old Parents and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143-164
    • /
    • 2005
  • 본 연구는 가족복지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가운데 주요한 의제가 되고 있는 노인과 이혼가족 아동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제반 부양관련 쟁점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와 이혼율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사적 부양과 공적 부양간 영역 및 경계, 부양관계, 부양의무자 역할 등에 대한 쟁점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양 부양체계의 범위와 역할은 물론 가족부양의 성격, 방법, 기간, 성립요건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 현행 가족구조와 인구구조의 변화로 고려해볼 때 가족을 통한 부양보다는 사회적 부양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가족부양 및 사회부양에 대한 내용을 규율하는 현행 민법과 사회복지법은 여전히 가족부양의 정책기조를 강하게 유지하고 있었으며 사적-공적 부양체계 간 관계정립이나 부양방식에 대한 미흡한 규정으로 많은 논란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구성원의 기본적인 생활안정과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법의 취지에도 불구하고 부양과 관련하여 사회보험법은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가족부양 원칙을, 공공부조법은 강한 가족부양의무를 부과하는 이중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다. 결론에서는 급변하는 사회와 경제불안의 일상적 위협 속에서 노인과 이혼가족 아동부양에 대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Social Capital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강종수;박은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47-256
    • /
    • 2013
  • 조직문화와 사회자본은 조직효과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인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으로,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2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에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자본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의 세 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조직문화는 Kimberly and Quinn의 경쟁가치모형(competing value model)을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 및 사회자본은 모두 중간값 이상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직문화 유형 중에서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가 사회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단문화는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인 신뢰, 규범, 네트워크 모두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사회자본이 형성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성과중심의 합리문화보다는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집단문화적인 조직문화를 촉진시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