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me Mapping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Crime Mapping Based on Experts' and Residents' Assessmen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 Kim, Jaecheol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13-220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rime mapping that relies mainly on reported crime data, suggests a crime mapping method based on experts' and users' assessments of a neighborhood environment as an alternative approach, and conducts a case study on a real-world site by applying the suggested approac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while the areas adjoining arterial roads with heavy pedestrian traffic were shown as high crime risk areas in the crime map based on actual reported crime data, the areas adjoining local roads with low pedestrian traffic were high-risk areas in the crime risk area map based on experts' and residents' evaluations.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field in that it demonstrates the detailed application process of crime risk area mapping according experts' and residents' evaluations, compares the results with those of an existing crime map, and finally shows that the former can function as a complement to the la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Distribution of Immigrants and Crime in South Korea

  • Park, Yoonhwan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7호
    • /
    • pp.47-56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not only investigate spatial pattern of immigrants' residence and crime occurrences in South Korea, but shed light on how geographic distribution of immigrants and immigrant segregation affect crime rat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 unit of analysis is Si-Gun-Gu municipal level entities of South Korea. The crime data was obtained by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and two major types(violence and property) of crime were measured. Most demographic, social, and economic variables were derived from Korean Census Data in 2015. In order to examine spatial patterns of immigrants' distribution and crime rates in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utilized GIS mapping technique and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tools. The causal linkage was investigated by a series of regression models using STATA. Results - Spatial inequality between urban metropolitan vs rural areas was visualized by mapping. Assuming large Moran's I value, spatial autocorrelation appeared to be quite strong. Several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such as residential stability and economic prosperity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leading to crime rate change. Residential distribution and segregation for immigrants were negatively significant in the regression models. Conclusions - Unlike the traditional arguments of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immigrant segregation appeared to reduce violent crime rate and the high proportion of immigrants also turned out to be a crime prevention factor.

범죄분석 지리정보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rime Analysis GIS)

  • 박기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213-232
    • /
    • 2000
  • 범죄발생 자료는 본질적으로 지리적인 속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범죄분석에 있어서 공간적 패턴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의 지도화 기능과 공간통계 기법을 접목하여 범죄발생의 공간적 양상을 규명할 수 있는 ¨범죄분석 지리정보시스템¨의 원형(prototype)을 제작하였다. 이 시스템은 DBMS와 GIS를 연동하는 구조로서 점 자료(point data)의 공간분포 탐색, 범죄다발지역(hot-spot)의 지도화, 범죄발생의 군집성 분석 그리고 면(area)단위 집계자료 분석 등의 기능들로 구성된다.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과정은 객체지향 방법론에 의거하였으며, 본 시스템 이외에도 현재 개발 중에 있는 웹 기반 3-Tier 구조의 시스템은 범죄분석과 인터넷 지리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범죄공간정보 위치추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me Mapping and Monitoring System Development)

  • 이준석;황철수;김태훈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1호
    • /
    • pp.139-150
    • /
    • 2014
  • 최근 강력 범죄의 증가는 중요한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의 범죄 예방은 단순한 치안 유지만이 아니라, 국민 복지의 문제로 살펴야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하여 범죄공간정보의 특성과 분석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오픈플랫폼인 브이월드(Vworld)를 사용한 시범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시범지역의 범죄공간정보 DB 링크시스템 및 분석 데이터를 주제도 이미지 지도 위에 Mesh-Up으로 표출한 우범지역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순찰차 CCTV 최적 배치 등의 가상 시뮬레이션 모형을 제시하였다.

멘탈 맵을 이용한 범죄발생 우려 지역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riving of Areas of Concern for Crime using the Mental Map)

  • 박수정;신동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7-188
    • /
    • 2019
  • 최근 '묻지마 범죄'가 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민 삶의 질이 저하되고 범죄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의 정도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범죄발생 현황 외 범죄관련 여러 변수를 바탕으로 시민이 심리적으로 느끼는 범죄발생 우려 장소(점 선 면)를 멘탈 맵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작성하고, 커널(kernel) 밀도 추정 분석을 활용한 공간중첩분석을 통해 범죄발생 우려 지역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민원요청 지점과 범죄발생 우려 지역이 서로 중복되어 나타났다. 또한, 범죄 두려움을 나타내는 멘탈 맵은 주로 시설간의 점이지역, 좁은 골목, 방범 CCTV 및 가로등 보안등 미설치 지역, 시간대별 유동인구가 적은 지역을 중심으로 지도화하여 구축되었다. 본 연구는 범죄 관련 기존 선행연구와는 달리, 멘탈 맵이라는 방법론을 사용하여 범죄발생 우려 지역을 도출하는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멘탈 맵 등 본 연구의 결과물은 범죄취약지도 구축, 범죄예방 환경설계의 가이드라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GIS와 범죄예방환경설계 기반의 범죄취약지도 작성 (Crime Mapping using GIS an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박동현;강인준;최현;김상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7
    • /
    • 2015
  • 최근 5대 범죄(살인, 강도, 강간, 절도, 폭력) 발생은 장기적인 경기침체와 불황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분석된 5대 범죄의 발생특성을 살펴보면, 그 발생지가 치안환경에 열악한 우범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어, 우범 지역에서의 범죄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 CPTED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PTED 감시요소와 기존의 범죄발생자료를 활용하여, 범죄취약지등급도 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감시요소 중 치안센터를 요점 순찰과 정선순찰 등으로 나누어 CCTV, 가로등과 함께 3단계의 감시등급으로 나누어 시각화하였다. 또한, 연구지역에서 발생한 범죄발생통계자료를 통해 용도지역별 범죄율을 확인하고 범죄발생 현황도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감시요소와 발생지의 용도지역에 대한 AHP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산정하고, 각각의 요소를 중첩하여 감시단계별 범죄치약지도를 작성한 결과 범죄로부터 취약한 1등급지가 감시 3단계에서 1단계에 비해 절도 약 60%, 폭력 약 52%, 강간 약 33%가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성들의 동네만족도와 동네애착, 이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 충청남도 아산시를 대상으로 -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Women's Neighborhood Satisfaction, Neighborhood Attachment and Housing Mobility - An Empirical Study of Asan City in the South Chungcheong Province -)

  • 박효숙;이경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호
    • /
    • pp.71-8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ighborhood assessment tools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in order to evaluate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suggest better policies and planning practices for women-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To do so, we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women's quality of life and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Specifically, we gave female participants a mapping survey, interview, and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targeting women living in Onyang 2-dong and 5-dong in Asan city. First, we developed a neighborhood assessment tool derived from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particular case studies. The mapping and interview surveys indicated that specific aspects neighborhood life needed to be improved in a similar area. In particular, women complained about Onyangoncheon station, a commercial area, and detached house area. Second, analysis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women's neighborhood satisfaction, crime safety, traffic and walking environment, accessibility of living facilities, green and public spaces and childcare environ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these, the inclusion of green and public space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ird, the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women's neighborhood attachment, crime safety, traffic and walking environment, accessibility of living facilities, green and public spaces and childcare environ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these, accessibility of living facilities appear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urth, the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women's housing mobility decisions, crime safety, traffic and walking environment, accessibility of living facilities, green and public spaces and childcare environ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these, childcare environ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지리적 프로파일링을 활용한 해양 범죄 및 해양사고 대응력 강화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enhance the reinforcement of marine crime and accident using geographical profiling)

  • 순길태
    • 시큐리티연구
    • /
    • 제48호
    • /
    • pp.147-176
    • /
    • 2016
  • 한반도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지정학적 특성으로 인해 수출입 물동량의 97% 이상을 해양을 통하여 교류하고 있으며, 세계화 국제화 추세에 따라 외국적 선박 및 국제 여객선을 통한 외국여행객들의 출입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국민소득 향상과 해양에 대한 관심도 높아짐에 따라 해양 레저객이 급증하고 있어 해양에서의 사건, 사고가 연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해양에서 치안을 담당하는 해양경비안전본부의 관할 면적은 국토의 약4.5배에 달하며, 해안선의 길이는 도서지역 포함하여 14,963km, 안전센터 1개소 당 94km를 관장하고 있으며, 경비함정 1척당 $24,068km^2$를 담당하고 있어 효율적인 순찰 및 방범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인식아래 해양경비안전본부에서 취급하는 해양 범죄의 현황과 추세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순찰, 방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증가하는 해양 범죄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1900년대 초 미국에서 개발되어 활용하고 있는 지리적 프로파일링 기법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지리적 프로파일링은 공간분석과 지도화를 응용하여 범죄 위험 지역을 예측하고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 특별관리 하는 핫스팟 분석 등 다양한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경찰청에서 2008년부터 도입하여 죄종별, 시간대별, 지역별, 범죄 다발지, 범죄 발생 우려지 등으로 구분하여 일상화된 순찰 개념이 아닌 고도화된 분석에 의한 순찰과 방범활동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프로파일링을 해양에서도 도입하여 해양 범죄를 유형별, 장소별, 시기별, 기간별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 "해양 범죄 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살인, 강도, 절도, 실종, 변사, 충돌 등 중요범죄에 대한 위험발생 지역을 "범죄 지점" 일명, 크리미널 포인트(Criminal Point)로 지정 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시기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경비함정을 배치하고 정기 또는 수시 경비활동과 방범활동 등을 전개한다면 해양 범죄 및 해양 사고 대응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군산 범죄예방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unsan crime mapping system)

  • 한동엽;온병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638-1641
    • /
    • 2015
  • 최근 다양한 공공 데이터가 속속 개방되고 있지만, 지역 내의 범죄 데이터는 통계 데이터 이외에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공공 데이터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해당 지역 내의 범죄 관련 모든 온라인 뉴스 기사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범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맵(map)에 시각화 하여 보여주는 프레임워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워크 개발에 필요한 주요 알고리즘들과 효과적인 시각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이미 공개된 군산시의 범죄 발생 통계 자료를 비교하여 제안 시스템의 효용성을 평가한다.

여성전용 셰어하우스의 지역 분포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운영사 관리형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 (Reg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Women-only Shared Housings - A Case Study of Agency-managed Shared Housings in Seoul -)

  • 김나성;박소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3-1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agency-managed shared housings in Seoul and draw the possible implications from it. The needed data for the study was obtained from an on-line shared housing portal service which provides housing information from various shared housing management agencies. By mapping out the locations and other related data into a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gram, this study shows that shared housings in Seoul can be sorted into four large clusters. Each cluster has a different ratio of housing types and room capacities reflecting each regional circumstance and common causes. Women-only shared housing takes up 79% of the overall shared housing ratio and, while multi-family housing type has the most count, the apartment type has a noticeably high ratio in women-only housing compared to the apartment type ratio among the other gender-specific housings. Given the high crime rate against the single-person household of young adult women, the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shared-apartment housing among young women can be deduced. However, the potential tenants' practical choices and their concern for safety are not the only causes that drive the current shared housing market. The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choose to live in popular places where they can engage social activities. A new tier of shared housing market has also appeared in places where young adults could not have afforded if they lived alone. Choosing where we live is no longer about just meeting the requirements for a house based on what she/he needs but also about satisfying the preferences for a living based on what she/he desires. This paper indicates that although there is an undeniable premise that 'sharing a house' revolves around the realm of housing welfare and is not a typical topic for the upper-income households, the way we live and how we choose our place to live is shif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