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Analysis

검색결과 1,799건 처리시간 0.033초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창의·인성 활동 분석 (An Analysis of Creativity-Personality Activiies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 한화정;심규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99-611
    • /
    • 2014
  • 본 연구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창의 인성 교육을 실현하고,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창의 인성 활동들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창의 인성 활동 유형을 분석한 결과, 탐구의 비중이 가장 많았고, 읽기, 글쓰기,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 인성 활동을 창의적 사고와 인성 요소로 분석한 결과, 창의적 사고와 인성 요소의 구성은 다양하지 않았다. 창의적 사고는 주로 발산적 사고를 하고 수렴적 사고와 연관적 사고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성 요소는 배려가 가장 많았고, 정직성, 협동성과 책임감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하고 수준 높은 창의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개발이 필요하다. 의사 결정 요소로 창의 인성활동을 분석한 결과, 가치 준거를 설정하는 활동과 결과를 검토하는 과정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의사 결정 요소가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 함양을 위해서 구체적인 의사 결정 요소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 PDF

Public Sentiment Analysis and Topic Modeling Regarding COVID-19's Three Waves of Total Lockdown: A Case Study on Movement Control Order in Malaysia

  • Alamoodi, A.H.;Baker, Mohammed Rashad;Albahri, O.S.;Zaidan, B.B.;Zaidan, A.A.;Wong, Wing-Kwong;Garfan, Salem;Albahri, A.S.;Alonso, Miguel A.;Jasim, Ali Najm;Baqer, M.J.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7호
    • /
    • pp.2169-2190
    • /
    • 2022
  • The COVID-19 pandemic has affected many aspects of human life. The pandemic not only caused millions of fatalities and problems but also changed public sentiment and behavior. Owing to the magnitude of this pandemic, governments worldwide adopted full lockdown measures that attracted much discussion on social media platfor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lockdown measures, this study performed sentiment analysi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on textual data from Twitter published during the three lockdown waves in Malaysia between 2020 and 2021. Three lockdown measures were identified, the related data for the first two weeks of each lockdown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o understand the public sentiment. The changes between these lockdowns were identified, and the latent topics were highlighted. Most of the public sentiment focused on the first lockdown as reflected in the large number of latent topics generated during this period. The overall sentiment for each lockdown was mostly positive, followed by neutral and then negative. Topic modelling results identified staying at home, quarantine and lockdown as the main aspects of discussion for the first lockdown, whilst importance of health measures and government efforts were the main aspects for the second and third lockdowns. Governments may utilise these findings to understand public sentiment and to formulate precautionary measures that can assure the safety of their citizens and tend to their most pressing problems. These results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ositive messaging during difficult times, establishing digital interventions and formulating new policies to improve the reaction of the public to emergency situations.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창업성공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PLS와 fsQCA 활용 (Influencing Factors on the Likelihood of Start-up Success of Researchers in Public Research Institutes: Using PLS and fsQCA)

  • 황경연;성을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107-120
    • /
    • 2022
  •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 연구자 관점에서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의 순효과와 결합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을 기초로 연구자의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을 검토하고,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간의 개념적인 관계를 설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대덕연구 개발특구내 공공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114개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PLS 분석방법은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의 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fsQCA는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의 결합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PLS 분석결과에서 기술사업화가능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창업성공가능성에 독립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 기술사업화역량, 정보접근성 및 네트워크는 창업성공가능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한편, fsQCA결과에서 기술사업화가능성, 기술사업화역량 및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창업성공가능성이 높아지는 결합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창업성공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을 이해하는데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in Problem Posing Activities)

  • 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11-428
    • /
    • 2012
  • 미래 사회에 대비하고 적응하기 위하여 창의성에 대한 요구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학교 수학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문제 만들기는 수학적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문제 만들기 활동의 결과물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상 수준 5명, 중 수준 7명, 하 수준 4명을 포함한 16명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문제 만들기 활동을 하고, 학생들이 만든 문제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창의성 점수의 평균에서는 상, 중, 하의 성취 수준에 비례하여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만든 문제의 수에서는 상, 중, 하 수준의 학생들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생들은 세 수준 모두에서 조건을 변경하여 문제를 만드는 비율이 높았고, 이런 현상은 상, 중, 하 순으로 갈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trend analysis regarding the rice consumption of Korean adults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rom 1998, 2001 and 2005

  • Cha, Ho-Myoung;Han, Gyu-Sang;Chung, Hea-J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3호
    • /
    • pp.254-262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rends of rice consumption of Korean adults based on different meal types. Respondent reports 24-hour recall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to assess daily rice consumption and intake ratios of rice for different meal types and places of preparation. Rice intake had gradually decreased from 224.6 g in 1998 to 190 g in 2001 and to 179.4 g in 2005. The rice consumption of Korean adults decreased every year in all ages for all places of meal preparation in 2001 and 2005 compare to 1998. Analysis for each meal type showed that rice intake at breakfast had not considerably changed, but rice intake had decreased at lunch and dinner. While the rice consumption ratio at lunch and dinner decreased, it also decreased or did not change at snack times except for the 19-29 age groups. All the age groups revealed comparable change in the analysis for meal types. There was some diversity between all age divisions in daily rice intake depending on place of meal preparation. The rice consumption by place of meal preparation was generally highest at home, lowest at other places, but it decreased in all places. The rice consumption at home was highest in the over 50 age group, lowest in the 20-30 age group. These changes seem to be related to food intake patterns of rice and substitutional foods in the diets and development regarding socio-economic status. So the need for further study on differences in rice intake based on socioeconomic levels and age group are indicated.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창의성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Child and Creativity)

  • 장혜선;최보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59-7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child, and creativity. The study subjects were 120 5th and 6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in Gyeongbuk.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question sheets, Self-Efficacy Scale, and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Scale. For creative thinking tests, the Kim Yong-Chae version of TTCT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was used.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ile, Cronbach's $\alph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al analysis didn't yield significant and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and 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Nevertheless, children's self-efficacy was partly related to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al analysis didn't yield significant and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warmth vs. rejection altitude of father and 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Warmth vs. rejection attitudes of father was not related to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However,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al analysis yielded a number of significant and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self-control vs. regulation attitudes of father and the 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The self-control vs. regulation attitudes of father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the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Third, the warmth vs. rejection attitudes of mother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the 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However the warmth vs. rejection attitudes of mother was not related significantly to the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The self-control vs. regulation attitudes of mother was not related to the 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Moreover, self-control vs. regulation attitudes of mother was not related to the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보육교사의 직무소명의식과 직무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직무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s of Job Vocational Calling on Job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Job Attitude of Child Care Teachers)

  • 이재무;조경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74-586
    • /
    • 2019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의미가 크게 부각되고 있는 보육정책을 제일선에서 담당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관리에 관한 유의한 정보를 취득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직무와 관련하여 특정한 사고나 의식이 태도를 구축하고 태도가 근원이 되어 행동이 이루어진다는 인과관계를 염두에 두고 연구를 기획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소명의식과 직무열의 직무소진 등 직무태도, 창의적 행동 적극적 행동 윤리적 행동 등 직무행동을 변수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209명의 보육교사가 응답한 구조화된 설문지 내용을 기반으로 실시되었으며,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보육교사들은 근무시간이 초과될수록 직무소진이 심해졌으며, 직무소명의식은 직무태도 중 직무열의만, 직무행동 중 창의적 행동과 적극적 행동만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직무열의만이 직무소명의식과 적극적 행동 사이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칼 라거펠트 디렉팅의 샤넬과 펜디에 대한 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Chanel's and Fendi's Collections under the Direction of Karl Lagerfeld)

  • 배우리;김윤경;이경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09-725
    • /
    • 2021
  • The study focused on the design features of Chanel and Fendi, directed by Carl Lagerfeld, creative director of Chanel and Fendi until his recent death. The range of the study was from the 2017 S/S Collection to the 2019 F/W Collection, which collected a total of 767 fashion photographs, including 483 Chanel, 284 Fendi, with tops, bottoms and dresses at VOGUE (https://www.vogue.com).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criteria organiz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related literature, it was classified in the order of form, color, material, pattern, decoration, fashion image, item and coordination,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verall,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hanel collection, directed by Karl Lagerfeld, were rectangle form, tone in tone coloring, combination of identical materials, geometric patterns, and classical images as the main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hanel collecti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Fendi collection directed by Karl Lagerfeld were rectangle form, tone in tone coloration, hard material combination, abstract pattern, and total coordination. Comparing the design features of Chanel and Fendi, directed by Karl Lagerfeld, is as follows. Chanel and Fendi's designs show a lot of rectangle form, tone-in-tone colors, hard-materials and combination of the same material.

교수효능감과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교사들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Happiness - By Teachers' Perspectives)

  • 허무열;신혜경;전미란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53-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구글 온라인 설문을 제작하였고 교사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초·중·고 교사들 249명의 자료를 기술통계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2.0 과 Amos 21.0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과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직무만족이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지만,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행복감으로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교사효능감으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 간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공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관련 이슈 도출을 위한 국민청원 데이터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National Petition Data for Deriving Current Issues in Education)

  • 민정원;심재권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2호
    • /
    • pp.57-64
    • /
    • 2020
  • 정보사회가 고도화됨에 따라 의견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증대되어 이들로 부터 중요한 이슈를 도출해내고 문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대응하는 일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계에서는 기존의 담론과 쟁점 이외에도 변화되는 사회에 발맞추어 새롭게 등장하는 이슈를 발굴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민청원 게시판에 작성된 육아와 교육 카테고리의 글을 분석하여 교육계의 주된 이슈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방법 가운데 하나인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현재 교육 분야의 주요 이슈를 교육 관련법, 대학입시, 교육 관련 범죄, 교육환경, 유·초등교육, 교원처우, 교육정책, 고등교육, 중등교육 등의 9개 주제로 구분할 수 있었고, 이들을 주제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들의 여론을 수집한 후 주제별로 구분하여 중요 이슈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