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on myth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1초

무의식의 창조성 관점으로 고찰한 창조신화: 흑암/혼돈, 천지개벽/분리, 섬/육지 창조 중심 (Psychological Meaning of Creation Myths: Focused on Darkness/Massa Confusa, Separation of World Parent and Creation of Land/Island)

  • 김진숙
    • 심성연구
    • /
    • 제38권2호
    • /
    • pp.269-304
    • /
    • 2023
  • 본 논문의 취지는 창조신화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흑암/혼돈 천지개벽/분리, 육지/산 창조 관련 신화의 심리학적 의미를 임상현장에서 관찰한 꿈, 적극적 상상 및 예술작업과 연관하여 무의식의 창조성과 치유적인 기능을 드러내는 것에 있다. 먼저 창조신화가 개인사나 인류사에서 혼돈에서 새로운 질서를 필요로 할 때 무의식의 창조성에 의하여 저절로 만들어지는 원형적인 투사 현상으로서 자아의 태도에 따라 새로운 의식의 도약(재건)의 조짐이 될 수도 있고 자아의식의 침범이 될 수 있음을 논하고, 융, 폰 프란츠, 노이만, 하딩, 에딘져 및 국내의 연구현황과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소개하면서 사례를 연관시켜서 연구하게 된 배경을 밝힌다. 창조신화의 흑암/원초적인 혼돈(massa confusa)'의 심리학적 의미에서 '흑암'은 어두워서 보지 못하는 무의식 상태로 보고 어둠속에서 기어다니는 에스키모의 창조자와 어둠속에 있거나 보는 것에 문제가 있는 꿈들과 상황을 소개하면서 연금술의 니그레도(nigredo)공정과 연관하였다. '원초적인 혼돈'은 하나 속에 모든 것이 들어있는 우로보로스, 플레로마, 유아기의 경험 또는 근원적인 자궁의 의미를 가지며 창조의 전조이기도 하지만 심연(abyss)에 갇힌 경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관련된다고 보는 꿈과 상황을 함께 논한다. '천지개벽(분리)'은 무의식적인 내용이 의식이 되기 전에 의식의 문턱을 건드릴 때 두 개로 쪼개지는 것과 관련되고 의식의 진보가 있을 때 나타난다고 보면서 관련신화로서 '천지에 간극이 생겨서 만들어지는 세상', '천상의 존재가 지상으로 내려와 만들어지는 세상', '산 이동 설화'를 소개하고 각 신화가 가지는 심리학적 의미를 관련 사례와 함께 논한다. 관련문헌을 토대로 천지분리가 자체적으로 일어난다는 것과 창조자의 외로움, 불안함 등 정서적인 부분이 개입한다는 것, 그리고 지연된 분리가 크레아투라(creatur 창조물)의 죽음이 되고 성급한 분리가 천재 혼돈의 죽음이 된다는 것이 임상에서 시사하는 바를 논한다. '천지개벽'을 연금술의 분리(separatio)공정과 연관하면서 흑암/혼돈/무의식에서 빛/의식성을 획득해 가는 과정과 동일하다고 보았다. '육지 창조'는 무의식의 내용물이 자아의 영역으로 구체화되는 의식성의 출현을 의미하며. 관련 신화로서 메르쿠리우스 영의 육화라고 볼 수 있는 '괴물/거신의 몸이 육지가 되는 신화', '흙을 가지고 오는 등 창조자의 부단한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육지'와 '저절로 만들어지는 육지'에 관련되는 신화와 관련 사례를 소개한다. '육지 창조'를 연금술의 땅처럼 구체화되는 응고(coagulatio)와 연관시키면서 적극적 상상 및 미술, 음악, 무용 등의 창조적인 작업이 추상적이라고 할 수 있는 심상을 자아영역으로 구체화한다는 점에서 무의식의 치유적 기능을 허용 내지 활성화하는 방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부각한다. 마지막으로 세계멸망 후 다시 떠오른 육지관련 신화를 '자아의 재구축'의 의미로 보고 관련 임상 자료를 소개하면서 분석가/치료사/임상감독자의 무의식이 임상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마감한다.

분석심리학적 관점으로 고찰한 창조신화 : '알(卵)'의 상징성 중심으로 (Jungian Interpretation of Creation Myths Focused on Egg Symbolism)

  • 김진숙
    • 심성연구
    • /
    • 제27권1_2호
    • /
    • pp.28-70
    • /
    • 2012
  • 본 논문은 창조신화들 중 특히 '알'이 출현하는 창조신화를 중심으로 그 상징성을 살피고, 이를 무의식적인 내용물에서 출현하는 '알'의 모티브와 비교하여 무의식적인 영역에 속하는 창조신화의 상징성을 의식적인 영역에서 이해하려는 것이 그 취지이다. 먼저 창조신화가 원형적인 투사현상으로서 무의식에서 자아가 탄생하는 것과 관련되며 인간의 의식적인 깨달음의 기원에 관한 것이라는 점을 부각하고, 개인사나 인류사에서 새로운 질서를 필요로 할 때 무의식에 의하여 저절로 만들어지는 현상으로서, 자아의 자세에 따라서 새로운 의식의 도약이나 재건의 조짐이 될 수도 있고 무의식이 자아의식으로 침범하게 될 수도 있음을 논한다. 관련문헌으로서 창조신화에서 출현하는 '우주 알'을 우주창생의 원 질료이자 자기의 상징으로 보는 융, 폰 프란츠, 노이만, 하딩, 에딘져의 연구를 소개한다. 창조신화의 분석심리학적인 의미에서 '태초의 혼돈(messa confusa)'은 고태적 동일시(무의식), 유아기의 경험, 혹은 하나 속에 모든 것이 들어있는 우로보로스적인 경험으로서 분리를 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장자의 우화에 등장하는 상제(上帝)로서의 혼돈이나, 연금술에서 검은 색의 단계인 니그레도(nigredo)가 가지는 의미에서 볼 때 너무 성급하게 분리해야 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사실이 임상에서 시사하는 바를 논한다. '천지개벽(분리)'는 객체로부터 주체를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자아가 출현하는 것과 관련이 있고, 의식의 진보가 있을 때 나타난다고 보면서 연금술의 분리과정(separatio)과 연관하였다. '빛'은 의식성의 획득으로 보았고, 자아의 자세에 따라 다른 경험이 될 수도 있음을 논하면서 창조신화의 전 과정이 의식성을 획득해 가는 과정과 동일하다는 것을 에스키모 창조신화를 통하여 소개한다. '알'이 출현하는 창조신화의 분석심리학적 의미에서 먼저 '알'에 대한 확충과, '알'이 출현하는 창조신화들, 그리고 시조 신들의 모체로서의 '알'을 소개하고 '알'이 자기의 상징과 다르지 않음을 논한다. '알'의 상징성을 알의 출현-품기-분리로 보고 '알 출현'의 심리학적인 의미를 창조론적인 싹인 시바점(Shiva bindu), 히라니야가르바(Hyranyagarba), 황금알(태)의 의미와 자궁 또는 '알'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불교의 여래장(如來藏)과 진여(眞如)와 연관하였고, '세계 알'이자 연금술의 용기로서의 메르쿠리우스이자 세계의 창조혼(Geist)의 의미를 가진다고 보았다. '알 품음'의 심리학적 의미는 스스로에게 리비도를 집중하는 타파스(tapas)로서, 발렌티우스(Valentinus) 문헌의 오토파터(autopater)와 그의 내면의 여성성인 엔노이아(ennoia)를 품음으로서 세상을 만드는 것과, 새가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인 주역(周易)의 61괘 중부(中孚)가 가지는 의미인 내적인 진실과, 원효의 지관(止觀)사상, 그리고 '밤의 항해'가 가지는 상징적인 의미와 연관하였고, 연금술적으로 메디타치오(meditatio)의 의미를 가지며, 알의 출현과 품음에 고뇌와 고통이 동반됨에 대해서 논한다. '알 분리'의 심리학적 의미는 미망의 껍질을 벗고 시공을 초월하는 태양적, 의식성의 획득으로서 알에서 출현한 초 개인적인 새의 의미를 새로운 인격의 출현으로 보았고, 연금술적으로 분리과정(separatio)와 상승과정(sublimatio)과 연관하였다. '알'과 관련된 임상 자료들을 통하여 '알의 상징성'(알 출현, 품음, 분리)이 피분석자들의 무의식의 자료에서도 같은 맥락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부각하면서 알의 상징성에서 보여주는 전 과정이 내(자아, 주체, 분화됨)가 나 아닌 것(무의식, 객체, 미분화됨)으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관련되며 인간정신의 전체성을 지향하는 자기실현과정과 다르지 않음을 논하는 것으로 마감한다.

한국복식에 표현된 쌍의 미적연구 (Aesthetic Study of a Pair Expressed in Korean Costume)

  • 김영자
    • 복식
    • /
    • 제40권
    • /
    • pp.51-65
    • /
    • 1998
  • In this study the features expressed by the Korean dresses and its ornaments have been examined through the objects of this thesis, the concept of the pair, under the basis of Korean myths, from which esthetic and spiritual values have been derived. At first, the beauty of the balance pursuing the neatness. Since the pair is made with two piecess, at the time of the placement, the sense of the balance is obtained by the arrangement acccording to the dichotomous principle such as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Sometimes, the pair could yield the natural pictorial composition, but almost of the time symmetrical composition. This kind of composition is made symmetrical like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and it is resulted in a neat beauty, which visually presents a harmony, stability and intimacy. At second, the beauty of the harmony in the spirit of the oneness. From the dualistic combination basing on Korean myths, the common featur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co-existence, obtain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pair of the pieces, could be found. By the oneness of the both elements, the creation principle, which is the basic one for a new life, could be established, and the mystery of the creation and the sense of the harmony could be found in it. At third, the wholeness of the completeness concept. The completeness could be felt rather by two than by one, and is provided with a room to be filled with the other one. Consequently, the outer dress is completed with the under dress, and its own beauty could only be made out when the two elements are harmonized. So, it is called as the pair. Like this, the concept about the pair taken roots in the ground of Korean emotions, is basing on the creation principle of the dualistic elements formed from the tradition of Korean myths, and the fact that the mental meaning pursuing the harmony dwells in Korean dress and its ornaments could be confirmed.

  • PDF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리스.로마 신화의 이미지와 상징 해석 - 뒤랑(G. Durand)의 '상상계 이미지들의 동위적 분류도'를 중심으로 - (Interpretation of Images and Symbols from Greek and Roman Mythology in Contemporary Fashion - Focused on Durand's Classification of the Imaginary -)

  • 류수현;김민자
    • 복식
    • /
    • 제61권2호
    • /
    • pp.131-151
    • /
    • 2011
  • The study alms to identify how the symbols and images of Greek Roman myths in contemporary fashion have been reflected in respects of meaning and forms, and to find out the organic course from meaning to forms by using Durand's classification. The results define the significance of Greek Roman myths in contemporary fashion, and systematically suggest a direction of imagination for more creative design. In the diurne regime, the symbolism of purity, heroism and fear appeared. In the nocturne regime, the symbolism of maternity and sensuality appeared. In the dramatic regime, the symbolism of androgyny appeare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s contained in each symbolism are common.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trace organic relationships in the creation of images through the verbal scheme. In addition, the verbal scheme creates archetypal images that lead to images and symbol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so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archetypal images and the format of garments. The study examined how the archetypal images that appeared in the mythical images were expressed in garments through the verbal system.

신화에서 인간출현과정의 교육적 의미 - 단군신화와 창세기 내용을 중심으로 - (Educational Meaning of Human Creation Process in Mythology)

  • 채휘균
    • 교육철학
    • /
    • 제63호
    • /
    • pp.105-131
    • /
    • 2017
  • The myth reflects the human way of thinking about the world. Therefore, an important part of myth is human creation and role.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human creation in myth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education. The subjects that can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status and role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ow to create or create humans, and the purpose and results of human creation. First, it is the position and role of the teacher. In myth, being like a teacher is a divine being that transcends human ability. In Dangun mythology, Hwanwoong or Shinwoong descended from heaven, and in the Genesis it is the Creator God. In Dangun mythology, the role of the teacher guides the way of becoming a human and provides necessary tasks. In Genesis, the image of the teacher is the Creator God. God plays the role of a teacher who prepares various environments in which learners can work. Second, the status and role of students in myths. In Dangun mythology, students are symbolized by bear and tiger. They go to the teacher with the desire to become human beings. In Dangun mythology, the student is not a passive existence but an autonomous and active image. In Genesis, the appearance of a student is a passive being created by a teacher. Third,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in myth can be seen in terms of educational process and method. In Dangun Myth, the beginning of education is the wish or expectation of learners. Learners eat mugwort and garlic and participate in human learning. In Genesis 1, however, there is no need for a special method, since human beings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Creator's command. Fourth, the purpose of education can be discussed through the purpose of human creation. In Dangun mythology, the purpose of education is not to live according to instinct but to become human with culture and personality. In Genesis 1, the purpose of human creation is the role of the Creator in creating and managing the world. Therefore, it is the aim of humans to manage the world in an orderly manner. The purpose of education in Genesis 2 is to enable humans to serve the world.

제주 무가 초공 이공 삼공 본풀이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소고(小考) (A Brief Study on the Meanings of Three Shamanic Rituals(Chokong/Euigong/Samgong Bonpuri) in Jeju Island from Jungian Perspectives)

  • 이나미
    • 심성연구
    • /
    • 제32권1호
    • /
    • pp.17-53
    • /
    • 2017
  • 인류와 세상의 기원을 무(무당)의 입을 통해 전한 제주도의 서사무가 초공, 이공, 삼공 본풀이를 융 분석심리학적 시각에서 개괄적으로 그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초공, 이공, 삼공 본풀이는 인간적인 측면과 성스러운 측면을 동시에 갖는 신들에 관한 신화이다. 세 신화를 성스러운 결혼, 부모 콤플렉스, 윤리적 측면, 신성성, 창조성, 기원으로의 회귀 등 다양한 심리적 화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런 화소들을 북아메리카의 샤머니즘이나 수피즘, 탄트라이즘 등 영성과 관련한 신비한 체험을 보여주는 종교제의와 비교했다. 이들 신화에 나타난 심리적 상징과 과정들을 이해하고 확충하는 작업은 고통과 슬픔에 빠져있을 때 인간 정신이 어떻게 의미를 찾고 새롭게 변화하느냐에 대한 영감을 주었다.

Mergers and Acquisitions i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Myths and Reality

  • Park, Myeong-Cheol;Yang, Dong-Hoon;Nam, Chan-Gi;Ha, Young-Wook
    • ETRI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56-64
    • /
    • 2002
  • This paper investigates how market participants react to mergers and acquisitions (M&As) involving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The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such activities convey bad news to the market. This is consistent with the synergy trap hypothesis and extant empirical findings of value-reducing diversification strategies in recent literature. The evidence also indicates that a cross-border, rather than a domestic M&A deal, is the main driver of the negative market reaction. Further, our evidence of negative impacts on the bidder's business after an M&A reinforces our main finding that market participants, on average, perceive M&A activities to be detrimental to shareholder value. This suggests that value creation or synergy through an M&A deal is not warranted even though it can generate an increase in size of the firm.

  • PDF

Teleology, Discontinuity and World History: Periodization and Some Creation Myths of Modernity

  • Pomeranz, Kenneth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1권2호
    • /
    • pp.189-226
    • /
    • 2013
  • Discussions of world history often focus on the pros and cons of thinking on large spatial scales. However, world history also tends to employ unusually large timescales, both for research and teaching; frequently it is framed around a teleology and a series of "revolutions" which mark milestones taking humans from a very distant past to "modernity". Moreover, world history usually rejects regionally specific period markers (e.g. Renaissance), making periodization within this long timespan especially difficult. This article surveys various approaches to these problems, and shows that any of them, if treated as sufficient by itself, introduces significant distortions. It argues for a world history that highlights this problem, rather than hiding it, and which uses the need to deploy multiple timescales simultaneously to clarify the distinctive intellectual contribution of historical thinking.

Formal Business Plans as Myth and Ceremony: Educ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 Mahdjoubi, Darius;Gibson, David V.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4권4호
    • /
    • pp.222-237
    • /
    • 2015
  • Business plan competitions and related education are common activities to regions that are, or desire to be, important innovative and start-up regions. The literature is contradictory regarding the value of formal business plans (FBPs) toward venture planning, capital acquisition, and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relevant literature and sample of 35 FBPs to assess these contradictions. We propose the theoretical constructs of "myth and ceremony" to explain the loose coupling of FBPs to real business environments, an observation consistent with theory that suggests organizations perpetuate the myths of their institutional environment to maintain their legitimacy. We offer Action Business Planning as an alternative to more accurately address the realities of venture creation and survival, and for education.

Madonna 패션이미지의 기호학적 분석과 신화연구 -2005~2011년 패션이미지 중심으로- (Semiotic Analysis and Myth Studies of Madonna Fashion Images -A View Fashion Image from the Year of 2005 to 2011-)

  • 박영진;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161-1174
    • /
    • 2011
  • An approach method of the semiotics theory is analyzing fashion: the look is that a sign represents one character and the image is interpreted as the destination of the changes. The fashion image interpretation by semiotics is possible because the fashion phenomenon by society has been accumulated in their abbreviation code.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contradictions of the human imagination coined solution. The myth relieved to people, allowanced a meaning in the world and explained it have been unable to explain and protect us. Today's role of the world myth becomes the star's future. Public resting star's fashion image analysis promote that we understand the inherent desire. Madonna probably is one of the world's most famous women. To Create Madonna's own mythology staged image in various attire reveals symbolism. In this study, Madonna's fashion images, the myth 8 analysis of semiotics represent publicity. Madonna's album jacket 8 analysis of the myth. The f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r and myths closely is obvious. The Madonna fashion image investigate that so forth implied myth into duality of feminine, upset of gender roles, upset of sexual roles, object of worship. In addition to the creation of these myths are based on sensuality heterosexual fashion images, body-conscious look, lingerie look, Androgynous Look, Dominatrix Look in the fashion style of the images, fashion items made to body suit, bra top, black panties, black boots, long gloves, pink, red, gold, satin, and leather; the addition, there are exaggerated props and accessories. These use such as the human body building wave blond hair. This study through Madonna's fashion image, semiotics analysis is acquainted with suitable means of my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