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ation of Images and Symbols from Greek and Roman Mythology in Contemporary Fashion - Focused on Durand's Classification of the Imaginary -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리스.로마 신화의 이미지와 상징 해석 - 뒤랑(G. Durand)의 '상상계 이미지들의 동위적 분류도'를 중심으로 -

  • Rhew, Soo-Hyeon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류수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김민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11.04
  • Accepted : 2011.01.3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study alms to identify how the symbols and images of Greek Roman myths in contemporary fashion have been reflected in respects of meaning and forms, and to find out the organic course from meaning to forms by using Durand's classification. The results define the significance of Greek Roman myths in contemporary fashion, and systematically suggest a direction of imagination for more creative design. In the diurne regime, the symbolism of purity, heroism and fear appeared. In the nocturne regime, the symbolism of maternity and sensuality appeared. In the dramatic regime, the symbolism of androgyny appeare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s contained in each symbolism are common.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trace organic relationships in the creation of images through the verbal scheme. In addition, the verbal scheme creates archetypal images that lead to images and symbol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so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archetypal images and the format of garments. The study examined how the archetypal images that appeared in the mythical images were expressed in garments through the verbal system.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시

References

  1. Bowles, H. (2003. 3). mighty aphrodite. Vogue U.S.A, pp. 478-485.
  2. 알렉산더 맥퀸(A. McQueen)은 1997년 지방시(Givenchy) 를 위한 첫 컬렉션에서 '황금 양털을 찾아서'라는 주제 로 작품을 선보여 큰 이슈를 끌었다. (1997. 4).Vogue U.S.A, pp. 288-291.
  3. Durand, G. (1996). Introduction a La Mythodologie. 유평근 역 (1998). 신화비평과 신화분석: 심층사회학을 위하여. 서울: 살림, pp. 35-42.
  4. 안진태 (2004). 신화학강의. 서울: 열린책들, pp. 53-56.
  5. 김현자 (2004). 신화, 신들의 역사 인간의 이미지. 서울: 책세상, pp. 81-87.
  6. Durand, G. (1996). Introduction a La Mythodologie. 유평근 역 (1998). 신화비평과 신화분석: 심층사회학을 위하여. 서울: 살림, pp. 52-53.
  7. Durand, G. (1996). Introduction à La Mythodologie. 유평근 역 (1998). 신화비평과 신화분석: 심층사회학을 위하여. 서울: 살림, pp. 53.
  8. 이경희 (2003). 그리스.로마의 신화를 주제로 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한경혜, 최현숙 (2003). 그리스 신화를 모티브로 한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 개발. 디자인포럼21, 7, pp. 141-164
  10. 이현진.박은정 (2007). 신화를 motif로 한 Hair Art 연구.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5), pp. 90-99
  11. 서명자 (2005). 의상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영화 '스타워즈' 여자주인공 의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기천 (2004). 지아니 베르사체(Gianni Versace) 디자인에 나타난 그리스 신화적 이미지: 1980-90년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진형준 (1982). 상징해석 방법론에 대한 시론: 질베르 뒤랑을 중심으로. 홍익논총, 제14집, pp. 523-524.
  14.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670.
  15. 김치수, 김성도, 박인철, 박일우 (2002).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p. 39-43.
  16. Leroi-Gouhran. (1943). L'homme et la matiere et milieu et technique. Albin Michel.
  17.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53
  18. 유평근, 진형준 (2002). 이미지. 서울: 살림, p. 206.
  19. 유평근, 진형준 (2002). 이미지. 서울: 살림, p. 210.
  20. 진형준 (1982). 상징 해석 방법론에 대한 시론: 질베르 뒤랑을 중심으로. 홍익논총, 제14집, pp. 528.
  21.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58-59.
  22. 유평근, 진형준 (2002). 이미지. 서울: 살림, p. 211.
  23.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69.
  24. 유평근, 진형준 (2002). 이미지. 서울: 살림, p. 210-211.
  25.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63.
  26.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67-68.
  27. 진형준 (1992). 상상적인 것의 인간학: 질베르 뒤랑의 신화 방법론 연구. 서울: 문학과 지성사, p. 63.
  28. 유평근, 진형준 (2002). 이미지. 서울: 살림, p. 212.
  29. 진형준 (1992). 상상적인 것의 인간학: 질베르 뒤랑의 신화 방법론 연구. 서울: 문학과 지성사, p. 63-64.
  30. Jung, C. G. (1950). Les Types psychologiques. Geneve: Georg, p. 79.
  31.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68.
  32. 유평근, 진형준 (2002). 이미지. 서울: 살림, p. 215.
  33.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89-279
  34. 자료검색일 2010. 1. 10, 자료출처 www.naver.com
  35. 장영란 (2005). 그리스 신화: 상징과 이미지 읽기. 서울: 살림, p.100
  36. Carpenter, T. H. (1991). Art and Myth in Ancient Greece. 김숙 역 (1998). 고대 그리스의 미술과 신화. 서울: 시공사, p. 214.
  37.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283-325.
  38.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313-314.
  39. Durand,G. (1969).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진형준 역 (2008).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파주: 문학동네, p. 429-578
  40. Ovidius. Metamorphoses. 이윤기 역 (1994). 변신이야기: 신들의 전성시대. 서울: 민음사, p. 194.
  41.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3). Goddess: the classical mod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204.
  42. Mower, S. (2006. 12). goddess worship. Vogue U.S.A, p. 182.
  43. Goodman, T. (2007. 7). fade to back,Vogue U.S.A, p. 135.
  44. Posnick, P. (2008. 6). falling off the map, Vogue U.S.A, p. 187.
  45. Coddington, G. (2004. 12). frieze frame, Vogue U.S.A, pp. 358-359.
  46. Gattinoni, Milan collection 2002 S/S. 57. Book, p. 257.
  47. 남기은 (2008). 복식에 나타난 드레이퍼리 기법과 미적 가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윤숙, 신정원, 안미영, 김은애 (2001). 의류소재의 구조적 특성이 감각특성 및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8), p. 48.
  49. 최재경 (2005). 복식에 표현된 흰색의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0.
  50. 최재경 (2005). 복식에 표현된 흰색의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51. Heller, E. (2000). Wie Farben auf Gefuhl und Verstand Wirken. 이영희 역 (2002). 색의 유혹: 재미있는 열세가지 색깔 이야기. 서울: 예담, pp. 389-407.
  52. 김주연, 이효진 (2008).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금색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8(3), p. 130.
  53. Coddington, G. (2008. 11). field of dreams. Vogue U.S.A, p. 276.
  54. Coben, D. & Kotur, A. (1999. 1). sprites and nymphs. Vogue U.S.A, p.79
  55. Coddington, G. (2003.9). grand illusion. Vogue U.S.A, pp. 652-653
  56. Coddington, G. (2008.5). daring do. Vogue U.S.A, p. 233.
  57. Thierry Mugler Paris collection. 1997 F/W. 60. Collezioni, p. 246.
  58. 김정선, 김민자 (2001). 빅토리아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복식 운동에 나타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 복식, 51(22).
  59. 이경화, 한명숙 (1999). 현대복식에 나타난 에로티시즘(Eroticism)의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1), p. 138.
  60. 이경화, 한명숙 (1999). 현대복식에 나타난 에로티시즘(Eroticism)의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1), p. 134-135.
  61. Heller, E. (2000). Wie Farben auf Gefuhl und Verstand Wirken. 이영희 역 (2002). 색의 유혹: 재미있는 열세가지 색깔 이야기. 서울: 예담, pp. 431-435.
  62. Heller, E. (2000). Wie Farben auf Gefühl und Verstand Wirken. 이영희 역 (2002). 색의 유혹: 재미있는 열세가지 색깔 이야기. 서울: 예담, pp. 177-215.
  63. Mower, S. (2006. 3). revival spirit. Vogue U.S.A, p. 397.
  64. Reed, J. (1997. 4). leapin' lizards. Vogue U.S.A, p. 152.
  65. 임현주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팜므파탈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