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ngon affini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1초

자연산 자주새우(Crangon affinis)에서 흰반점바이러스(WSSV)의 neutralization을 위한 인위감염(experimental infection) (Experimental Infection for the Neutralization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n Wild Captured Sand Shrimp, Crangon affinis)

  • 공수정;김영진;최미란;김성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294-1298
    • /
    • 2010
  • 흰반점바이러스(WSSV)는 새우양식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가장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병 원인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인위적인 실험모델로서 WSSV에 대한 자주새우(Crangon affinis)의 감수성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WSSV가 희석된 수조 내에서 침지법으로 감염된 새우는 감염 후 7일째에 100% 누적폐사율을 보여 자주새우가 WSSV에 대해 매우 높은 감수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조합단백질인 rVP466에 대한 항혈청의 중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항혈청과 반응시킨 바이러스액($1{\times}10^4$ 배로 희석된 WSSV)을 이용하여 침지법으로 자주새우에 대해 공격실험(challenge test)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WSSV로 challenge한 감염대조구(positive control)의 새우들은 감염 후 5일째에 100% 폐사하였으며, WSSV와 rVP466 항혈청을 1:0.01, 1:0.1, 1:1로 혼합한 액으로 challenge한 새우들은 감염 후 14일째에 각각 100%, 68.8%, 68.8%의 누적폐사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연안서식종인 자주새우가 양식장으로부터 배출된 WSSV에 의해 자연상태에서 감염 될 수 있는 가능성과 함께 항혈청에 대한 중화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겨울철 저수온기에 WSSV 감염을 위한 대체 실험생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자주새우(Crangon affinis)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y of Sand Shrimp, Crangon affin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홍성윤;오철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51-362
    • /
    • 1989
  • Ecology of Crangon affinis was studie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fron June 1988 to May 1989. The growth rate of female was similar to that of male. Size differences, however, were apparent between female and male. Sex ratio varies with season. The major spawning season was from June 1988 to May 1989 except for November 1988. The number of eggs of the largest ovigerous female (35.55mm TL) was over 4,000, while that of the smallest ovigerous female (15.05mm TL) more than 120. The mean number of eggs was 1778. The size of winter eggs is larger than that of the summer eggs. The mean percentage of egg loss from brooding to hatching was $29.06\%$. The rate of egg loss decreases with increasing age. Major component of food organisms includes mysids and polycheates.

  • PDF

고리 주변 해역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Shrimp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 Kori, Korea)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84-790
    • /
    • 1999
  • 고리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6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형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새우류를 매월 소조기에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는 6과 11종이 었으며, 자주새우 (Crangon affinis)가 매우 높은 점유율로 연중 우점하였다. 출현량의 계절 변동을 살펴보면, 6$\~$7월과 11월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겨울과 초가을에 낮은 간을 보였다. 출현종수는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과 봄에 많았다. 종다양도지수는 1월$\~$3월에 높은 값을 보였고, 7$\~$8월과 11월에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 시기의 낮은 값은 자주새우의 극우점에 의해 초래되었다. 본 연구 해역에서 채집된 새우류는 출현 양상에 따라 주거종과 계절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 PDF

자주새우, Crangon affinis의 총대사에 미치는 기아의 영향 (Effect of Starvation on the Total Metabolism of Crangon affinis)

  • 진평;신윤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71-382
    • /
    • 1992
  • 자주새우, Crangon affinis 서식지의 동계$(7^{\circ}C$, 춘. 추계$(15^{\circ}C$ 및 하계$(25^{\circ}C$의 평균 수온대에서 일정기간 (0, 5, 11, 17, 25days) 절식시킨 후 체물질의 화학적조성, 산소소비 및 질소배설률을 측정하여 환경변화에 대한 생리적 적응의 일면을 조사하였다. 1. 자주새우의 체물질조성은 단백질 $68.6\%$, 지질 $7.0\%$, 탄수화물$4.1\%$, 키틴$6.3\%$, 그리고 회분은 $14.6\%$였다. 2. 기아상태 에 서도 고온일수록 탈피 빈도는 높았으며 동일 절식기간 동안 고온일수록 체중 및 체물질의 감소는 더욱 컸다. 3. 산소소비율은 기아가 계속됨에 따라 고온일수록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기아 25일 경과 후의 각 수온구별 산소소비율은 유사하였다. 4. 수온별 각 실험구간의 $Q_{10}$치는 실험온도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기아가 계속됨에 따라 상당히 감소하였다. 5. 총배설질소량은 고온일수록 증가하였으며 배설질소의 주성분은 암모니아였다 그리고 총배설질소량은 어느 실험수온구에서나 기아가 계속됨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6. 기아 25일 경과후 수온 7, 15 및 $25^{\circ}C$에서 이화된 단백질은 각각 체단백질의 1.8, 2.5 및 $3.3\%$였다. 7. 기아초기의 O:N 원자비는 22-25이고, 기아상태가 지속됨 에 따라 8이하로 낮아져 기아동안의 에너지원으로 단백질을 이용함을 보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새우류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Shrimp (Crustacea : Decapoda) Community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32-542
    • /
    • 1997
  • 광양만의 잘피밭에 서식하는 새우류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대도 주변의 잘피밭에서 새우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잘피밭에서 채집된 새우는 6과 26종이었다. 우점종은 Heptacarpus pandaloides, Crangon affinis, Eualus leptognathus, Latreutes acicularis, Heptacarpus rectirostris, Heptacarpus geniculatus, Latreutes laminirostris로 나타났다. 잘피밭에서 출현한 새우류의 대부분이 갑각장이 25mm 이하의 작은 크기였다. 출현량의 계절 변동을 살펴보면, 늦겨울과 봄에 많은 개체수와 높은 생체량을 보인 반면, 가을에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종다양도 지수는 8월$\~$10월에 높은 값을 보였고, 11월과 12월에 낮은 값을 보였다. 잘피밭에서 채집된 새우류는 출현 양상에 따라 주거종, 계절종 및 일시방문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주간 채집과 야간 채집을 비교한 결과, 야간에 더욱 다양하고 많은 새우류가 출현하였다.

  • PDF

해산동물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3. 자주새우, Crangon affinis의 성성숙 (Early Life History of the Marine Animals' 3. On the Maturity of Crangon affinis)

  • 이택열;안철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42-350
    • /
    • 1989
  • 낙동강 하구지역에 서식하는 자주새우를 대상으로 1988년 6월부터 1989년 5월까지 성성숙과 산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는 두흉부의 심장 하방에 위치하며 심장을 중심으로 전방은 촉각동맥 및 안동맥을 둘러싸고 둥글게 융합되어 있고, 후방은 1쌍의 관상으로 복부 2마디까지 뻗혀있다. 정소는 심장직하에 위치하며 심장을 중심으로 전방은 관상으로 곡정관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후방은 1쌍의 관상의 형태를 띠고 있고, 이곳으로부터 연결된 저정낭이 제5흉지에 개구되어 있다. 2. 난자 및 정자의 배우자형성은 계절과 관계없이 단기간에 반복되고 있으며, 생식소상피의 전 구역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완숙난의 장경은 $430{\mu}m$ 전후이고, 변태된 정자는 두부 핵질이 뚜렷한 타원형의 구조를 나타낸다. 3. 생식주기는 약 40일을 간격으로 단주기성이며, 11월을 전후한 동계를 제외하고는 주년 산란종이다. 4. 포란된 난의 부화기간은 수온 $21^{\circ}C\~24^{\circ}C$의 실내사육에서 $12\~14$일이 소요되었다. 5. 포란된 개체의 평균 부화유생수는 1,602마리였고, 전장 32mm에서 1,372마리, 38.2개개에서 1,650마리였다.

  • PDF

장봉도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갑각류 군집의 계절 변화 (Temporal Variation of the Macro-crustacean Assemblages on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 서인수;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21-531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community structure and temporal variation of the macro-crustaceans on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Macro-crustaceans on this tidal flat were collected using a modified otter trawl from November 1999 to January 2001. The macro-crustaceans comprised 32 species, 7,741 individuals, and 29,211.3 gWWt during the study period. The Jangbong tidal flat was dominated numerically by three shrimp (Palaemon carinicauda, Crangon affinis, and Metapenaeus joyneri) and two portunid crabs (Charybdis japonica and Portunus trituberculatus). The macro-crustacean assemblages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season and species groups based on the q-mode and r-mode clustering methods. In terms of q-mode, they consisted of a winter species group from December through April and a summer species group from May through November. The r-mode analysis showed that the species group visiting the tidal flat in winter was dominated numerically by palaemonid and crangonid shrimps, while a species group characterized by an abundance of portunid crabs and penaeid shrimps was more frequent in spring, summer, and autumn. In conclusion, our study revealed distinct temporal variation in the tidal flat use by macro-crustaceans around Jangbong Island, Incheon, Korea.

DNA 메타바코딩을 이용한 광양만 및 어시장 해양 생물 위 내용물 분석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of Marine Orgnaisms in Gwangyang Bay and Yeosu Fish Market Using DNA Metabarcoding)

  • 오건희;김용준;김원석;홍철;지창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368-375
    • /
    • 2022
  • 보구치는 어류와 요각류가 공통 먹이원으로 분석되었다. 광양만에서 채집한 보구치가 가장 많이 먹은 먹이원은 단각류로 ASV 빈도가 62.5%로 나타났으며 여수 어시장에서 구입한 보구치는 어류의 ASV 빈도가 16.6%로 가장 많았다. 광양만에서 채집한 참조기의 우점 먹이원은 십각류로 ASV 빈도가가 99.9%로 나타났으며 어시장의 참조기는 어류의 ASV 빈도가 51.2%로 조사되었다. 광양만과 어시장의 자주새우 우점 먹이원은 각각 요각류로 92.6%와 100%로 조사되었다. 광양만에서 채집한 꼴뚜기는 요각류(91.4%)를 가장 많이 먹었으나 어시장에서 구입한 갑오징어는 어류(96.6%)를 가장 많이 섭식하였다. 계층적 군집 분석 결과, 꼴뚜기 및 채집한 자주새우와 구입한 자주새우는 먹이원이 유사하였으며 보구치와 참조기, 갑오징어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요각류는 참조기를 제외한 모든 수서 생물과 연결되어 있어 가장 중요한 먹이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먹이원 폭 분석 결과 광양만에서 채집한 참조기의 먹이원 폭 값은 0.001로 낮았으나 어시장에서 구입한 참조기의 먹이원 폭 값은 0.886으로 먹이원 다양성이 가장 높았다. 영양단계 분석 결과, 어류를 주로 섭식했던 갑오징어가 3.98로 가장 높았으며, 광양만에서 채집한 보구치가 2.0으로 영양단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위 내용물의 DNA 메타바코딩을 활용한 먹이원 분석 연구는 육안을 통한 먹이원 분석 사이에서 상호보완하여 섭식생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서행 상괭이 (Neophocaena asiaeorientalis)의 먹이습성과 섭식량 (Feeding Habits and Consumption by Finless Porpoises (Neophocaena asiaeorientalis) in the Yellow Sea)

  • 박겸준;안용락;이영란;박지은;문대연;최석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8-84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stomach contents of finless porpoises collected in the Yellow Sea. Prey organisms in the stomachs of 109 finless porpoises were identified as 11 species of fish, 8 species of shrimp and 4 species of cephalopod.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rpoises fed mainly on the Japanese sand shrimp (Crangon affinis). The energy density of the prey was estimated to be 5.46 kJ. The daily energy requirement was estimated to be 18,051 kJ/day for a porpoise with an average weight of 32.49 kg. The estimated annual consumption by finless porpoises in the Yellow Sea was 25,454 tons. The average commercial catch in the Yellow Sea by Korean fisheries was 135,913 tons from 2005 to 2009. Assuming that the abundance of finless porpoises is stable, porpoises ate approximately 18.7% of the commercial catch. The fishery catch may be influenced by the consumption by finless porpoises, while fishery bycatch is a cause of porpoise mortality in the Yellow S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