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fts Industry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2초

일본 '오지야치지미·에치고죠후(小千谷縮·越後上布)'의 사례를 통해 본 전통 직물공예의 지속 가능성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Traditional Weaving Crafts through the Case of Ojiya-Chijimi and Echigo-Jofu in Japan)

  • 이채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104-113
    • /
    • 2012
  • 전통 직물공예는 소재한 지역의 역사와 환경, 생활양식을 반영하여 전승되어 왔다. 일정 지역에서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오면서 지역적 대표성을 얻었으며, 이를 통해서 지역산업으로서 기능해 왔다. 그러나 생활양식의 변화 등 사회 경제 문화적 요인으로 전통 직물공예는 위기의 상황에 처하였고, 이에 따라 정부차원의 보호조치가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보호조치가 문화재 지정을 통한 '전통'에 대한 보전으로, 이는 전통 직물공예를 만드는 제작 기술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문화재 지정은 급속히 변화되는 전통 직물공예의 환경 변화에 있어서 해당 기술을 보호하고 다음 세대로 전승시켜나가는데 중요한 보호조치로서 기능하였다. 그렇지만 전통 직물공예는 문화재이기 이전에 지역산업으로서 오래전부터 지역경제에 이바지해왔다. 이 같은 점에서 문화재 지정을 통한 보호만으로는 대처하기 힘든 부분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공예기술의 특성상 제조기술과 재료, 도구의 발달은 불가피하므로 이에 맞춰 '전통' 이라는 요건을 제시하고 이를 준수할 필요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글에서는 일본 오지야치지미 에치고죠후의 사례를 통해서 현 시점에서 전통 직물공예가 문화재 지정과 전통 공예산업으로서 어떻게 지속 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 종이접기 공예품에 대한 역사적 고찰 (Historical Review on the Korean Paper Folding Crafts)

  • 전철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4호
    • /
    • pp.168-176
    • /
    • 2015
  • The history of paper folding had continued before that the paper manufacturing technique was spread in the 3rd century and it was used for witchcrafts and rituals. Fold means as was used with the word Cheop and Jeopji.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conical hat with fabric spread as customs, then it was made of the paper that led the popularization of paper folding form the early Joseon Dynasty. Paper crafts and living things with paper are mostly derived from fabrics except the paper written for saint's name related God. In the period of the tribe nation, witchcrafts and rituals brought to Japan via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Kami which means God in Japanese that becomes the paper. The first folding fan was made to develop from the fan, Baekseopsun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It was an outstanding application of paper folding crafts.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paper flower folding has considered as the virtue of savings and has developed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arts. Paper folding has also developed in the practical uses like the other Korean paper arts but paper folding that was developed as seasonal customs, playing or religious purpose showed a different trend from Korean paper arts.

전통공예기술의 현대적 활용 (Traditional Crafts for the use of Modern Technology)

  • 남궁선;정수경;김태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81-189
    • /
    • 2010
  • 우리나라에서 전통 공예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 보호되고 있기는 하지만 현대 생활에서는 그 활용도가 높지 않다. 그러나 현재 전통문화산업의 전략적 비중이 높아져가고, 문화적 요소가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또한 전통공예의 활성화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커지고 있으나, 전통공예는 그 특성상 여전히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따라서 전통공예의 기술보전과 산업적 활용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이 다각도로 모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요무형문화의 종류 중 전통공예기술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류하여 그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현대의 실생활에 활용도가 높은 공예기술을 찾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전통 공예기술이 전승이나 보존의 한계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기술로서의 발전 가능성과 다양한 산업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이 되고자한다.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에서 입사장(入絲匠)의 직무 유형과 역할 (Joined in the government-owned handicraft industry during the Joseon Dynasty Job type and role)

  • 김세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2호
    • /
    • pp.216-239
    • /
    • 2021
  • 공예품의 표면에 홈을 파고 금속 재료를 감입하는 시문 기법인 입사(入絲)는 조선시대 왕실의 일상 생활용품, 의례품, 관청의 공적 기물에 두루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은 중앙관청에 소속된 경공장(京工匠), 지방의 외공장(外工匠)으로 구성된 관장(官匠)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입사장은 경공장에 편입되어 왕실과 중앙관청의 공예품 입사시문을 담당했다. 현재 전해지는 조선시대 입사장에 대한 기록은 관영수공업에 집중되어 있다. 관영수공업에서의 입사장의 배속 관청은 공조와 상의원, 군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에 앞의 두 소속 장인의 도감 차출이 있다. 입사공예품을 사용하는 관청과 군영에 입사장을 배치하고, 제작 마감 기한이 촉박해 평소보다 세밀한 분업과 협업이 전개되었던 도감에서는 입사장을 입사장, 은입사장으로 나누어 공역에 투입했다. 이를 통해 제작 상황과 보유 기술을 고려해 유동적으로 장인을 배치해 공예품 제작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제작 체제의 운영은 장인의 손기술로 모든 공예품을 제작해야 했던 근대 이전 조선 사회에서는 필수적인 것이었다. 본 논문은 입사장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에서 장인의 역할과 직무 형태를 유형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직능의 특성과 재료, 인력 수급 등 세부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은 다르지만, 조선이 추구했던 기본적인 관영수공업 정책의 틀 안에서 장인의 기술을 통한 다양한 목적의 공예품 구현을 위한 여러 제도적 장치는 거의 공통적이었다. 앞으로 의궤에 기록된 재료와 도구, 소수이지만 문헌에 기록된 관장과 사장의 기록을 더해 기술 문화를 분석한다면 조선시대 공예를 보다 입체적으로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CNC M/C을 활용한 목제문화상품디자인개발 연구 (A study on design development for wooden cultural products by using CNC M/C)

  • 곽우섭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1-59
    • /
    • 2001
  • Opening 21th Century,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has been focusing on build up the founda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in a various way, since the awareness of importance for cultural design products has been turnover. On the other hand, our cultural crafts' industry has not escaped from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lagging behind conventional product system, and yet there is no complete system for mass production. The study is collaboration with Tourism Industry Innovation Center in Kwangju University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of wooden crafts by using cultural resources in Kwangju area and CNC M/C which is up-to-date digital technology. It aims to make possibility of mass production and discrimination on design for wooden crafts which is based on highly skilled technical manpower and creativities, and expects to develop and merchandise global wooden cultural products.

  • PDF

충북지역 관광문화상품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plan for the Culture Tourism Product of chungcheongbuk-do Area)

  • 안명수;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327-331
    • /
    • 2012
  • 충북지역의 공예산업은 청주국제비엔날레 등 우수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음에도 타 지역에 비하여 낙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현실을 직시하고 충북 관광문화상품의 활성화를 위한 충북공예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연구 분석하여 부가가치창출과 지역 공예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고자한다. 시장 조사를 통하여 현재 유통판매 되고 있는 관광문화 상품 대한 만족도와 잠재 고객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세부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 디자인 및 제작기술, 마케팅 능력 등 현실적인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해 본다.

공예문화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Status and Development Study of the craft industry)

  • 김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27-532
    • /
    • 2015
  • 공예산업은 예술적, 문화적 특징의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예술적 특징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지적 조형 활동으로 예술적 성격의 강한 미술의 한 분야로 본다. 공예문화산업의 문화적 특징은 "만들어 낸다."라는 인간의 본질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분야이며 문화, 산업 등 상품부분에 활용되고 있다.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공예문화상품은 전통적 문화와 민족 고유성을 표현하는 창의성이 가미된 공예산업은 생산은 현대인의 소득수준 및 문화생활을 조사하여 그 수요가 급증에 대한 부분을 연구하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예문화상품에 대한 산업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공예산업의 가능성과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연구하고 융 복합적인 연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예문화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craft)

  • 김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689-694
    • /
    • 2013
  • 공예문화산업은 '공예 문화로 이루어진 산업'의 의미보다는 '산업으로서의 공예 문화'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공예문화산업은 기능, 기술, 기법 또는 토속 원재료를 근간으로 하여, 생산되는 조형제품으로서 제조과정의 주요부분이 수공예적인 특성을 가진 제품을 제조하는 산업을 말한다. 오랜 세월을 걸쳐 역사적으로 전승하여 형성되어온 특정의 공예 문화 관련한 산업이다. 이를 살펴봄으로써 공예문화산업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과 가치를 이해하고 공예 활동이 더 이상 제작의 차원에만 머무르지 않고 제작, 유통, 개발 등 공예문화산업으로 한 국가와 민족의 전통성을 계승하고 표현하는 대표적인 공예 문화 산업분야로써 발전방안에 대한 시장성 연구를 통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예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인도 인더스트리 크래프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uccess Factors Analysis on Social Enterprise in the Field of Crafts: Focused on the Case of Industree Crafts in India)

  • 김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73-83
    • /
    • 2014
  • 이 논문은 인도의 공예분야 사회적기업 인더스트리 크래프트가 정부 보조금 의존에서 벗어나 지난 30년간 어떻게 수익을 창출하고 글로벌 사회적기업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했는지를 분석한 논문이다. 분석을 통해 도출한 성공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요인은 이해관계자들의 가치 창출로서 사회적 미션을 목표로 각 이해관계자들의 가치를 최우선 고려하였으며 가치를 상호간 공유했다는 점이다. 두 번째 요인은 독특한 내부경영방식으로서 더 많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조직체계에 독특한 비즈니스 모형과 4P전략을 도입하고 생산자집단의 자립을 돕는 경영방식을 도입했다는 것이다. 세 번째 요인은 학습 및 혁신문화 조성으로서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끊임 없이 새로운 디자인 전략을 세워 도전하고 시행착오를 조직학습으로 이끈 학습문화를 구축했다는 점이다. 마지막 네 번째 요인은 시의적절한 재정 및 자원의 확보로서 규모 확대 시기 때마다 민간기업과의 제휴 및 투자 유치, 충분한 기술인력자원 확보 등 적절한 재정 및 자원을 확보했던 점을 들 수 있다.

Free vibration analysis of FGM plates using an optimization methodology combi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third 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 Mohamed Janane Allah;Saad Hassouna;Rachid Aitbelale;Abdelaziz Timesli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9권6호
    • /
    • pp.633-643
    • /
    • 2023
  • In this study, the natural frequencies of Functional Graded Materials (FGM) plates are predicte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 model based on Third-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TSDT) and FEM is used to train the ANN model. Different training methods are tested to simulate input and output dependency. As this is a parametric model, several architectures and optimization algorithms were tested. The proposed model allows us to minimize the CPU time to evaluate candidate material properties for FGM plate material selection and demonstrate their influence on dynamic behavior. Consequently, the time required for the FGM design process (candidate materials for material selection) and the geometric optimization of the FGM structure would remain reasonable. The ANN model can help industries to produce FGM plates with goo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elected materials. I addition, this model can be used to directly predict vibration behavior by testing a large number of FGM plates, representing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metals and ceramics in today's industry, without having to solve any eigenvalue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