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19 stress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5초

코로나19 불안과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 인구학적 특성 및 거주지역 만족도를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COVID-19 Anxiety and Stress: Focus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eighborhood Satisfaction)

  • 이래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1-80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불안과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 A지역에서 실시된 지역사회 복지욕구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81명의 응답자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36.9%가 코로나19 불안을 경험하였고, 51.5%가 코로나19 스트레스의 정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 분석의 결과, 여성인 경우, 청년이나 노년에 비해 중장년인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자가가 아닌 경우, 거주지역 만족도가 낮을수록 코로나19 불안을 경험할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노년에 비해 청년이거나 중장년인 경우, 자가가 아닌 경우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높은 범주에 속할 위험성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사람들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전략에 대해 다양한 제언을 하였다.

Analysis of Covid-19, Tourism, Stress Keywords Using Social Network Big Data_Semantic Network Analysis

  • Yun, Su-Hyun;Moon, Seok-Jae;Ryu, K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04-210
    • /
    • 2022
  •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the number of new infectious diseases such as SARS, Ebola virus, and MERS has steadily increased. The new infectious disease, COVID-19, which began in Wuhan, Hubei Province, China, has pushed the world into a pandemic era. As a result, Countries imposed restrictions on entry to foreign countries due to concerns over the spread of COVID-19, which led to a decrease in the movement of tourists. Due to the restriction of travel, keywords such as "Corona blue" have soared and depression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ess meaning network of the COVID-19 era to derive keywords and come up with a plan for a travel-related platform of the Post-COVID 19 era.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travel and stress caused by COVID-19 using TEXTOM, a big data analysis tool, and conduc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UCINET6. We also conducted a CONCOR analysis to classify keywords for clustering of words with similarities. However, since we have collected travel and stress-oriented data from the start to the present, we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analysis data and analyze more data in the fut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urkish Version of the COVID Stress Scale

  • Demirgoz Bal, Meltem;Dissiz, Melike;Bayri Bingol, Fadime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525-536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Turkish adaptation of the COVID Stress Scale (CSS) on the basis of determining the stress caused by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and to tes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The English CSS was translated into Turkish using forward and backward translation.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360 participants. Construct validity was evaluat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tent validity.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ronbach's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and test-retest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reliability. Results: The Turkish version of the CSS has 36 items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and has five factors: COVID danger and contamination, socioeconomic consequences of COVID, COVID xenophobia, traumatic stress due to COVID, and compulsive checking for COVI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urkish version of the CSS was verified by the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 .85, and comparative fit index > .95. The content validity index of each item was 91%. The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s of the scale ranged from .51 to .89. Internal consistency was reliable, with a Cronbach's α of .93. Conclusion: The Turkish version of the CSS is valid and reliable. It can be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the assessment of COVID-related stress.

간호대학생을 위한 COVID-19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COVID-19 Stress Scale for Nursing Students)

  • 우진주;최혜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63-769
    • /
    • 2023
  • 본 연구는 Baghcheghi 등이 개발한 COVID-19 스트레스 측정도구(COVID-19 related healthcare student stress scale, CHSSS)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경상권에 위치한 2개 대학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3요인, 21문항이 도출되었으며 도구의 설명력은 67.4%, 신뢰도는 .93으로 확인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이 수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한국어판 CHSSS는 사용가능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한국어판 CHSSS를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COVID-19 스트레스를 평가하고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일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임파워먼트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tress related to COVID-19, Emotional labor and Empowerment on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working at a infectious disease-specialized hospital)

  • 김하늘;양승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5-47
    • /
    • 2022
  • 본 연구는 일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COVID-19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임파워먼트 및 재직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COVID-19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임파워먼트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S시 소재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21년 8월 27일부터 2021년 9월 17일까지 실시하였고, SPSS/WIN 25.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피어슨상관계수,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재직의도는 근무부서 및 근무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재직의도와 COVID-19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임파워먼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직의도는COVID-19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0.215, p=0.006)를 나타냈고 임파워먼트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0.343, p<0.001)를 보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근무만족도, COVID-19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가 확인되었으며(F=23.751, p<0.001) 설명력은 30.0%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전략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코로나19에 의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ress of Undergraduate due to COVID-19)

  • 김갑순;박윤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44-651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대학생들의 주관적 인식 및 경험을 중심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집중면담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Y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2명이었으며, 질문지는 '코로나19로 인해 본인의 일상생활은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코로나19로 인해 본인의 주변 환경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코로나19로 인해 어떠한 편안함/불편함을 경험하셨습니까?' 와 같은 개방형으로 구성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대한 분석결과,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학업의 질 저하 우려, 사회적 관계 단절 불안, 일자리(아르바이트)감소에 따른 부담, 건강 및 안전 불안 총 4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의 온라인수업 최적화를 위한 노력, 비대면을 통한 사회적 관계 방식 모색, 대학생 대상 일자리 창출 정책 마련, 코로나19에 따른 식생활로 인한 건강관리 방안 등이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stress caused by the epidemic of COVID-19,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김송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423-431
    • /
    • 2020
  • 본 연구는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성인 180명이며, 자료는 2020년 4월 9일부터 4월 15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긍정심리자본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로 인해 낮아진 삶의 질을 중재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대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Coping with Premenstrual syndrome )

  • 안나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62-475
    • /
    • 2023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과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C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11일에서 11월 30일까지 20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61부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r=.383, p<.001), 우울(r=.436,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월경전증후군 대처는 월경전증후군에서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190, p=.016).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사이의 우울 및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β=4.907, p=.002), 우울(β=6.780, p<.001)에 대한 직접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우울은 월경전증후군에(β=.383, p=<.001), 월경전증후군 대처는 월경전증후군(β=4.292, p=.030)에 각각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의 관계에서 매개작용을 검증하기 위한 간접효과에서는 우울을 경유하는 경로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95% CI, 1.282-4.140). 따라서 코로나19 등의 신종 전염병 유행 및 팬데믹 상황을 대비하여 코로나19 스트레스와 같은 관련 스트레스를 관리하여 우울을 감소시키고 월경전증후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COVID-19로 인해 발생한 업무의 피로도와 직무소진의 상관관계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회귀분석 연구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Correlation Between Work Fatigue Caused by COVID-19 and Occupational Burnout -Regressio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in Physiotherapists-)

  • 이상열;최수홍;김인균;오강오;윤성영;석힘;허재석
    • PNF and Movement
    • /
    • 제19권2호
    • /
    • pp.225-23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ype of physical therapist response work and its intensity, along with the prolonged prevalence of COVID-19, to determine the impact on physical therapists' occupational stress and occupational burnout.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18 physiotherapists and collected the participants' gender,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clinical work experience, workplace type, additional workload, and fatigue associated with COVID-19. After excluding one participant who submitted an incomplete questionnaire, 117 respon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 Results: Additional COVID-19-related workloads and response reliability for fatigue, occupational burnout, and occupational stress were shown to have Cronbach's alpha measures of 0.76, 0.89, and 0.87, respectively. Groups who had experienced a new epidemic in the past showed higher fatigue levels (3.06±0.94) than those groups who had no such experience (2.49±0.84; p < 0.05). Correlation analysis of COVID-19 work fatigue and occupational burnout scal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 = 0.19; p < 0.05). The regression of occupational burnout and occupational stress showed a regression model of Y = 20.00+0.43X1 (X1: job stress; p< 0.05) and an explanatory power of 24.8% with an adj.R2 = 0.2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medical institu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hysiotherapists' associations, should seek ways to manage and alleviate physiotherapists' stress.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외상 후 스트레스, 간호근무환경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elated Post-traumatic Stress, Nursing Work Environments, and the Resilience of nurses in Tertiary General Hospitals )

  • 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37-4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간호근무환경과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D광역시 K학교 D병원에 근무하는 COVID-19 환자를 직접 간호한 간호사 15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는 간호근무환경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r=-.17, p<.001) 나타났고, 간호근무환경은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r=.20, p<.001)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COVID-19 상황에서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간호근무환경 개선, 적정 간호 인력 확보를 위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