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erage index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6초

시계열(時系列) AVHRR 위성자료(衛星資料)를 이용한 한반도 식생분포(植生分布) 구분(區分) (Vegetation Cover Type Mapping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Multitemporal AVHRR Data)

  • 이규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441-449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目的)은 현재 한국에서 자료획득이 비교적 용이한 AVHRR 위성자료(衛星資料)를 이용하여, 한반도 전지역(全地域)을 대상으로 식물(植物)의 시기별(時期別) 변화유형(變化類型)을 분석하고, 이를 응용하여 주요식생(主要植生)의 분포를 구분하고자 한다. 1991년 1년동안 NOAA-11 위성에서 수신(受信)된 AVHRR 자료중 비교적 운량(雲量)이 적은 날을 택하여 총 27일분의 일별영상자료(日別映像資料)를 추출하였다. 일별영상자료는 먼저 광학적(光學的) 보정(補正)을 마친 후, 적색(赤色)파장대 및 근적외선(近赤外線)파장대에서의 반사특성(反射特性)을 조합한 식생지수(植生指數)(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로 변환되었다. 구름으로 덮혀있는 지역의 식생지수는 식물이 존재하는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므로, 구름제거를 위하여 4-5개의 일별식생지수자료(日別植生指數資料)를 중첩한 뒤 각 화소(畵素)지점의 식생지수중 최대치를 선택함으로써 구름의 영향이 최소화된 월별식생지수자료(月別植生指數資料)가 산출되었다. 월별식생지수자료는 식물 생장의 연중변화(年中變化)를 비교 분석하기에 용이하도록 비생장기간(非生長期間)까지 포함하여 2월, 3월, 5월, 8월, 9월, 그리고 11월까지 6개가 산출되었다. 식생별로 상이(相異)한 계절별 잎의 발달상태에 따라, 6개의 월별식생지수자료(月別植生指數資料)에 나타나는 식생지수의 변화특성을 이용하여 식생분류(植生分類)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자료의 광학적 해상력(解像力)을 고려하여 분류집단은 침엽수림, 활엽수림, 침활혼효림, 농지, 초지관목림, 그리고 도시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컴퓨터분류방식은 식생지수(植生指數)의 변화유형이 비슷한 집단끼리 스스로 규합(糾合)되게 하는 무감독류집분류법(無監督類集分類法)(unsupervised clustering)을 채택하였다. 컴퓨터분류 결과를 기존의 산림자원조사자료(山林資源調査資料)와 비교한 결과 상당히 근접한 통계치를 보여주었고, 산림지역내(內)에서도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의 구분 또한 만족할만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필요한 영상자료(映像資料)를 비교적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신(受信)할 수 있고, 타(他) 위성자료에 비교하여 자료의 양이나 가격 측면에서 유리한 AVHRR자료는 한반도 규모에 상응하는 넓은 지역의 식생현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에 적합한 위성자료로 판단된다.

  • PDF

Dosimetric Evaluation of Low-Dose Spillage Volumes for Head and Neck Cancer Using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and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Treatment Techniques

  • Kumar, Gourav;Bhushan, Manindra;Kumar, Lalit;Kishore, Vimal;Raman, Kothanda;Kumar, Pawan;Barik, Soumitra;Purohit, Sandeep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2권3호
    • /
    • pp.70-8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osimetric difference between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and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 in head and neck cancer (HNC). The study primarily focuses on low-dose spillage evaluation between these two technique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volved 45 patients with HNC. The treatment plans were generated using the IMRT and VMAT techniques for all patients. Dosimetric comparisons were performed in terms of target coverage, organ-at-risk (OAR) sparing, and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conformity index, uniformity index, homogeneity index, conformation number, low-dose volumes, and normal tissue integral dose (NTID). Results: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planning target volume coverage (D95%) was observed between IMRT and VMAT plans for supraglottic larynx, hard palate, and tongue cancers. A decrease in dose volumes ranging from 1 Gy to 30 Gy was observed for VMAT plans compared with those for IMRT plans, except for V1Gy and V30Gy for supraglottic larynx cancer and V1Gy for tongue cancer. Moreover, decreases (P<0.05) in NTID were observed for VMAT plans compared with that for IMRT plans in supraglottic larynx (4.50%), hard palate (12.80%), and tongue (7.76%) cancers. In contrast, a slight increase in monitor units for VMAT compared with those for IMRT in supraglottic larynx (0.46%), hard palate (2.54%), and tongue (7.56%) cancers. Conclusions: For advanced-stage HNC, both IMRT and VMAT offer satisfactory clinical plans. VMAT offers a conformal and homogeneous dose distribution with comparable OAR sparing and higher dose falloff outside the target volume than IMRT, which provides an edge to reduce the risk of secondary malignancies for HNC over IMRT.

해안녹화식물 선발을 위한 식생 피복도 모니터링 (Monitoring of Vegetation Coverage for Selecting Plants for Beach Revegetation)

  • 김동엽;임상준;권혁민;임재홍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5B호
    • /
    • pp.519-524
    • /
    • 2010
  • 본 연구는 식물의 비사저감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해안녹화에 적합한 식물을 선발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서 몇몇 초본식물을 현장식재한 후 식물 생장의 지표로서 시기별 식생 피복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24종의 해안녹화식생 후보군을 선정하여 식생포지에 생육한 후, 내염성실험을 실시하여 갯기름나물, 갯패랭이, 땅채송화, 섬기린초, 좁은잎해란초, 큰꿩의비름, 털머위, 해국 등 7종을 선정하였다. 현장식재실험은 내염성실험에서 선정된 7종과 일반 초화류인 꿀풀과 좁은잎해란초 등 2종을 추가한 총 9종에 대하여 경상북도 울진 오산항 부근 해안가에 식재 포장을 설치하여 실시되었다. 각 식물별로 약 1년 동안 정기적으로 촬영된 사진을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으로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피복도를 계산하여 시기별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섬기린초, 갯패랭이, 해국 등이 연중 높은 피복도를 나타낸 반면 꿀풀과 좁은잎해란초는 거의 모든 개체가 고사하여 매우 낮은 피복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섬기린초, 갯패랭이, 해국 등이 해안녹화에 적합한 종으로 판단되었다. 추후 본 연구에서 선정된 식물들의 비사저감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한 풍동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화학사고 후 주민복귀 및 피해복구 시점 결정을 위한 인체지표 개발 (Development of Human Indices to Determine Both Returning Point of Residents and Damage Restoration after the Chemical Accident)

  • 양준용;허정무;이현석;이준상;조용성;김호현;박상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88-598
    • /
    • 2020
  • Objectives: Human indices were developed to determine returning point of residents and damage restoration after the chemical accident Methods: To determine the returning point of residents after the chemical accident, a new concept, the standard man model was introduced as a human index, in which both H-code and its acute effects were main idea.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a hydrogen fluoride leakage accident in Gumi was applied. The returning point were suggested as the conservative remission period of acute effects among relevant hazard effects and compared with actual returning point. The coverage of each age group were considered with reflecting average daily dose expected for actual residents. In addition, a relief-index as a social-scientific approach was reflected as well to apply the damage restoration Results: Actual returning point of residents in Gumi was 88 days; and that of standard man model suggested was 84 days. The expected amount of exposure at aged 12 or under was at least 2.35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is model, 40s, theoretically. However, their population ratio was less than 1%, so 99% of residents could be applied when the standard man model was applied. The relief-index was as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y to apply the qualitative aspect. Conclusions: Although evaluated as a relatively positive result, there was a limitation such as the number of accident applied to the verification of standard man model. The relief index was also considered, bu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to find threshold level for the relief.

태안반도 하계 해조상 및 군집구조 (Summer Marine Algal Floras and Community Structures in Taean Peninsula, Korea)

  • 유현일;이지희;이기훈;백상흠;허영범;노형수;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0-219
    • /
    • 2007
  • The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examined at five sites of the Taean Peninsula, Korea, during July-August 2005. Ninety-six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4 green, 21 brown, and 60 red algae, and 1 marine plant. The common species that occurred at the five sites were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divaricatum, Caulacanthus okamurae, Gracilavia vermiculophylla, and Neorhodomela aculeata. Sthunbergii was the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coverage and biomass at ail of the study sites. The average biomass varied from $23.72g/m^2$ in dry weight at Chaeseokpo to $66.43g/m^2$ at Padori. The species could be divided into six functional groups in term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41 coarsely branched forms, 25 filamentous forms, 16 sheet forms, 7 thick leathery forms, including the marine plant Phyllospadix iwatensis, 4 crustose forms, and 3 Jointed calcareous forms. The seaweed communities at the five study sites were unstable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bad or very bad. Among the five study sites, the ecological evaluation index (EEI) and diversity index (H') were maximal at Padori at 2.29 and 1.98, respectively. By contrast, the dominance index (DI) was minimal at Padori (0.55) and maximal at Baramarae (0.96).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rocky shore at Padori has the best environment among the five study sites, although the species richness and biomass of seaweeds have declined continuously over the last 10 years.

콘크리트의 실제 공극구조 특성을 반영한 간격분포지수 제안 (Proposal of Spacing Distribution Index Reflected Actual Air Void Characteristics in Concrete)

  • 전성일;안지환;권수안;윤태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6A호
    • /
    • pp.449-456
    • /
    • 2011
  • Power에 의해 제안된 간격계수는 기하학적 모델을 바탕으로 구성된 공극 간격의 평균적 개념으로, 실제 콘크리트의 공극구조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격계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실제 공극구조 특성을 반영한 간격분포지수를 제안하였으며, 간격계수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 지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격계수는 AE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간격분포지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간격분포지수가 간격분포곡선의 면적 값을 이용한 것으로 간격별 빈도수가 높은 것이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간격계수 $300{\mu}m$이하의 범위에서 간격분포지수는 더 넓은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에 간격분포지수 사용 시 내구성지수 80% 이상이 되는 임계지점을 찾는데 좀 더 용이할 것으로 예상되며,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추정하는데 있어 좀 더 신뢰성 있는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격분포지수는 공극 간격분포의 면적 값으로 실제 콘크리트의 공극구조특성을 반영한 지수이다. 추후, 동결융해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추가적인 검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색위성 원격탐사를 이용한 부유성 녹조 모니터링 (Monitoring of Floating Green Algae Using Ocean Color Satellite Remote Sensing)

  • 이권호;이소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7-147
    • /
    • 2012
  • 최근 해양에서 부유성 녹조류(Floating Green Algae)의 확산이 보고되고 있으나, 기존의 현지 관측이나 실험실에서의 화학적 분석으로는 정확하고 주기적인 광역 감시에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녹조에 포함된 엽록소의 광학특성에 기인한 분광 반사도 측정은 부유성 녹조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빠르고 정확하게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서해에서 발생한 부유성 녹조류의 분광 반사도 특성을 알아보고, 인공위성 영상으로부터 부유성 녹조를 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파장별 반사도 비율을 이용한 부유성 녹조 지수(Floating Green Alage Index; FGAI)를 개발하는 것이다. 500m 공간 해상도를 가지는 MODIS와 천리안 GOCI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서해안의 녹조 현상이 발생하였던 기간을 대상으로 적색 밴드(660nm)와 근적외 밴드(860nm)의 비를 이용한 부유성 녹조지수를 분석한 결과는 녹조 현상에 대한 조류의 탐지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특히, 매 시간별 GOCI 관측 자료는 저궤도 위성보다 상세한 녹조의 감시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및 풍진 백신 접종 후 연령에 따른 항체양성율 변화 (The Change of IgG Antibody Titer to Measles, Mumps and Rubella According to Age)

  • 방성준;최경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2호
    • /
    • pp.117-123
    • /
    • 2011
  • 목 적: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및 풍진 예방접종 시행후 연령 증가에 따른 항체양성율의 변화를 조사한다. 방 법: 병원에 내원한 7-20세의 환아를 대상으로 잔여 혈청을 이용하여 IgG 항체를 검사하였다. 결 과: 총 408례 중 홍역은 275례로 67.4%, 유행성이하선염은 112례로 27.5%, 풍진은 367례로 90.0%의 양성율을 보였다. 양성자의 IgG 수치는 각각 $2.77{\pm}1.18$ Index, $2.08{\pm}1.29$ Index 및 $60.46{\pm}63.47$ IU/mL 이었다. 결 론: 홍역 67.4%, 유행성이하선염 27.5% 및 풍진 90.0%의 IgG 항체 양성율을 보였다.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및 풍진의 유행을 막기 위해서는 높은 접종율의 유지가 중요하며, 또한 보호자에 대한 접종기록 등의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천마산 동부릉선 남북사면의 삼림식생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Vegetation at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of the Eastern Ridge in Mt. Cheonma, Central Korea)

  • Lee, Nam-Ju;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4호
    • /
    • pp.213-225
    • /
    • 1988
  • The plant communities of the eastern ridge in Mt. Cheonma, Central Korea, Quercus mongolica, Q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and Q.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ies in the northern slope and Q. variabilis and Q. cutissima communities in the southern slope were detected by Zurich-Montpellier method. The undergrowth of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northern slope was dominated by Ainsliaea acerifolia, Carex siderostict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Heloniopsis orientalis, Pseudostellaria palibiniana, ranging 3.3 to 2.2 in dominance-sociability, while the those of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in the southern slope were dominated by Spodiopogon cotulifer, Artemisia keiskeana, Carex humilis, Atractylodes japonica, Lysimachia clethroides and Disporum smilacinum with similar degree in dominance-sociability to that of Q mongolica community. The two communities were considered as regenerating forest after severe disturbance judging by their age struc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nnon's diversity index (H') and Simpson's dominance index (i) was in reciprocal proportion in both two communities. The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communities were showed 13 and 12 m respectively. Seasonal changes of undergrowth coverage in the two communities were seemed to be affected especially with soil moisture amo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light intensity, relative humidity and organic matter.

  • PDF

비탈면 입지조건에 따른 녹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vgetation Character for Environment Factor of Slope)

  • 우경진;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47-5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revegetation character for environment factor of slope. Field test carried out for the man-made slope with three types(0.5cm no net, 3.0cm no net, 3.0cm net) revegetation methods in Hwaseong. Test revegetation plants were Festuca arundinacea, Lolium perenne,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oil hardness, the soil acidity, and the soil humidity of three types(0.5cm no net, 3.0cm no net, 3.0cm net) revegetation methods were at a suitable value for plants growth. 2. All plant growth index(seedling number, ground coverage, plant height, plant weight, etc) of south slope were better than north slope. But plant growth index of net plots were similar to no net plots. 3. For washout investigation, washout quantity of north slope was plentifully measured from south slope, and 1 amount of rainfall will be big was visible appears plenti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