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ple counseling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9초

이마고 부부치료 모델 내용의 타당성과 적용 효과성 연구 (Validity of Imago Couple Therapy's Contents and Effects of Application of the Imago Couple Therapy)

  • 송정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87-99
    • /
    • 2006
  • This study focused on the validity of Imago couple therapy's contents and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the Imago couple therapy model. The participated subjects were 38 graduate students and their spous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couple relations that formed and sustained marital relations after growth could be predicted by the early childhood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jects when they were children and their parents. Second, the marital conflicts and frustrations could be healed by the 'parent-child dialogue' and 'guided imagery'. Third, Imago couple therapy was effective for couple counseling to improve the areas of marital relationships, especially marital intimacy, marit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kills for marital conflicts, mutual respect, gender role, sexual satisfaction, time together, and decision-making. Fourth, Couple's Dialogue was a powerful tool for coupl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as well as general counseling practices.

부부갈등과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용서의 중재효과 (Relationships Among Couple-Conflict, Forgiveness, Depression, and Anxiety: Moderating Effects of Forgiveness)

  • 김사라형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4호
    • /
    • pp.55-66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st couple conflict, forgiveness, depression, and anxiety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forgivenes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couple conflict, depression, and anxiety according to gender. The sample consisted of 263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couples reported their level in the Couple Conflict Inventory, Enright Forgiveness Inventory,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Anxiety only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husband and wife. 2) Couple conflict positively related to husband and wife depression and anxiety. Forgiveness is negatively related to couple conflict, anxiety, and depres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3) The moderating effects of forgiveness within couple conflict and depression only showed with the wife. 4) The moderating effect of forgiveness between couple conflict and anxiety was only displayed by the husb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orgiveness could function as a protective factor for couples who perceive couple conflict, depression, and anxiety. Thes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for couple conflict education and couple counseling according to gender.

가정폭력 가해자 교정상담 프로그램 효과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Corrective Counseling Programs for Domestic Violence Offenders and Its Content Analysis)

  • 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3호
    • /
    • pp.131-146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폭력 가해자들을 위한 가해자 교정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전국가정폭력 상담소 가해자 교육대상자와 전국 가정폭력 상담소 협의회, 한국여성의 전화 전화연합,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미 전국지부와 법원위탁 가정폭력 가해자 상담기관에서 상담 받은 가정폭력 가해자들이다. 연구결과는 부모로부터 받은 아동기 학대 경험이 적을수록 교육에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도시에 거주하는 가해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보와 교육수준이 높아 이해력이 높기 때문이다. 셋째, 교정상담 프로그램중에서 부부상담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정상담 적용 프로그램중 여성주의 모델이 가장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가정폭력 가해자 교육중에 여성주의 상담과 여성주의 모델은 교정상담에 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기혼 중년남녀의 성적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간 의사소통의 듣기와 말하기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 The Moderating Effect of Speaking and Listening in Couple Communication)

  • 손강숙;주영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4호
    • /
    • pp.697-718
    • /
    • 2015
  • 본 연구는 기혼 중년남녀의 성적친밀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간 의사소통(듣기와 말하기)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만 40세 이상의 기혼 중년남녀 370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친밀감과 결혼만족도와 의사소통 중 말하기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의사소통의 말하기와 듣기는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을 나타났다. 둘째, 성적친밀감은 결혼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부부 의사소통 중 말하기와 듣기는 결혼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적친밀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 중 말하기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적친밀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 중 듣기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기혼 중년남녀의 부부 상담과 부부 상담프로그램에서 성적친밀감과 조절변인인 듣기의 잠재적인 사용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원가족 애착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커플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Coupl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Family of Origin and Attachment)

  • 최연화;양명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59-57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upl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family of origin and attachment. Does based on Bowen's theory of differentiation of self, adult attachment, group counseling for this and establishes program goals according to systematic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and composed program. In order to attain like this research objective, six male and female couples attending colleges were divided into the participating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students were from H University in Daejeon, Korea, and they ha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comprehensive group program. The changes shown by the couples were studied, and the cases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minutes and reports, which supplement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howed the following. The case showed that goals of the individuals and couples,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self and partners by understanding the self-differentiation and adult attachment whil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understanding, acceptance, disclosure of self partner and couple relationship based on the social support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전자장치부착 성폭력범죄자의 부부상담이 의사소통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사티어 경험적 성장모델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in the Electronic device - Sexual offenders' Couple Counseling -Based on Satire's Empirical Growth Model-)

  • 이길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327-334
    • /
    • 2019
  • 본 연구는 ${\bigcirc}{\bigcirc}$준법지원센터에서 담당자에 의해 의뢰된 성폭력 전자장치 부착 대상자들로 의사소통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티어 경험적 성장모델을 적용한 부부상담 사례연구이다. 상담진행은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1회씩 총 5회에 걸쳐 120분씩 본 센터 상담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주관적인 평가로서 연구자와 관찰자 중심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폭력 전자장치 부착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 변화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교정시설 실천현장에서 부부상담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와 큰 성과가 있다고 하겠다.

연상녀-연하남 부부의 결혼결정 과정: 30-40대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Marital Decision Process of Older Women and Younger Men Couple: Focusing on 30-40 years old Women)

  • 이세란;김현주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4호
    • /
    • pp.107-15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상녀-연하남 부부의 결혼결정 경험과 과정을 알아보고, 연상녀-연하남 부부의 결혼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상녀-연하남 부부인 30-40대 여성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Strauss and Corbin, 1998; Corbin and Strauss, 2008).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연상녀-연하남 부부의 결혼결정 경험과 과정은 어떠한가?', '연상녀-연하남 부부의 결혼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결과 78개의 개념들과 31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으로 '친밀감과 불안의 양가감정'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연상녀-연하남 부부의 결혼결정 과정은 '조정단계', '수용단계', '행동화단계'로 나타났다. 연상녀-연하남 부부의 결혼결정 과정의 핵심범주는 '다름의 편견을 넘어 신뢰로운 친밀함에 안착함'이었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연상녀-연하남 부부를 위한 전문적 조력개입 방안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단기 심신일여 부부치료를 통한 관계 개선 증례 보고 (Psychotherapy for Couples based one Short-Term Body and Mind Korean Medicine: A Case Report)

  • 김병학;임정화;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9-140
    • /
    • 2021
  • Psychotherapy in Korean Medicine is characterized not only by management of mental issues, but also a holistic perspective of the mind and body, which includes physical treatment. In this case report, we describe the efficacy of Korean psychotherapy for couples with physical symptoms of heartache, emotional tension and marital relationships by addressing the challenges at the Mind and Body levels. For the physical treatment of the couple, the wife was treated with a Bunshimgi-Eum and the husband was administered a Cheonwangbosimdan, combined with a psychiatric interview based on Korean Medicine. It involves listening to the couple's story, YiJungBeongi therapy, understanding and learning about vases and defense mechanisms,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husband through self-understanding and expansion, and husband's understanding of the wife's position, self-interpretation and acceptance. Based on counseling, the couple'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pansion for self-growth, the progress and results of the couple's challenges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re presented. In response, we hope that the evidence based on Korean Psychotherapy supporting the counseling for couples will continue to accumulate. We would like to report and share a few opinions.

비대면 정서도식 커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관계갈등경험이 있는 미혼 커플의 정서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n-tact Emotional Schema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Ability of Unmarried Couples with Relationship Conflict Experiences)

  • 장성호;박재서;황분홍;신성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373-38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위기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커플 관계에서의 갈등을 다루기 위해 비대면 정서도식 커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미혼 커플의 정서인지 및 정서조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절차는 프로그램 개발 절차와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절차로 이루어졌고, 구체적으로 8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미혼 커플 11쌍(22명)으로 총 4개의 집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주 1회(2회기)씩 총 5주(10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은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참여자들의 이성관계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고, 커플들의 관계정서도식에 유의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소감문에 대한 질적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정서이해가 향상되고, 커플관계가 개선되었으며, 커플 집단상담만의 집단효과가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기혼 남녀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예측성 연구 : 부부폭력을 중심으로 (Predicting Resilience of Married Couples : Focused on the Couple Violence)

  • 방현주;윤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27-137
    • /
    • 200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identify how well the predictors of family resilience using selected ENRICH subscales measure couple resilience of spouse abusing couples; (2) to verify how predictors of family resilience differentiate abusive partners from non-abusive partners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nonviolent couples h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family resilience factors than violence experienced couples. The accuracy of discriminant analysis was as high as 85.7% for non-violent couples and 85.4% for violence experienced couples. Wherea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couple's flexibility had the highest discriminant power, socioeconomic resources and transcendence and spirituality had little contributed.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predictors of family resilience have high discriminant power for distinguishing violent groups from non-violent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linically utilized in identifying violent groups and designing coupl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