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terion Binding Constan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Salt Effects on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nd Counterion Binding of Cetylpyridinium Bromide Micelles

  • Jong Jae Chung;Sang Wook Lee;Joon Ho Cho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2권4호
    • /
    • pp.411-413
    • /
    • 1991
  • The effects of electrolyte on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and bromide counterion binding in the micelles of cetylpyridinium bromide (CPB) have been investigated by UV spectroscopy and conductance measurements. Salts used in this study decreased cmc in the order $Cl^-\;<\;Br^-\;<\;NO3^-$ (which parallels the lyotropic series for the inorganic anions) and the effects on cmc followed the equation proposed by Shinoda: log cmc = A - B log (cmc + [NaX]). In the equation, constant B represents the counterion binding to the micelles at cmc and for the micelle of CPB at $25^{\circ}C$, B=80.76%. The association constant for the binding of counterions to long chain cations within micelles was also derived from the cmc values and counterion binding constant to the micelles.

DPC와 CDEAB의 혼합마이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의 효과 (Effect of n-Butanol on the Mixed Micellization of DPC with CDEAB)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6-242
    • /
    • 2004
  • 25$^{\circ}C$의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에서 Dodecylpyridinium chloride(DPC)와 Cet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CDEAB)의 혼합계면활성제가 나타내는 임계마이셀농도(CMC)와 반대이온결합상수(B)값을 DPC의 겉보기몰분율(${\alpha}_1$)에 따른 변화를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와같이 측정한 CMC값에 비이상적 혼합마이셀화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_i,\;{\gamma}_i,\;C_i,\;a^M_i,\;{\beta},\;and\;{\Delta}H_{mix})$들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DPC/CDEAB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n-부탄올의 농도에 따른 열역학 함수값(CMC, B 및 ${\Delta}G_o\;^m$)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Sodium n-Octanoate(SOC)와 n-Octylammonium Chloride(OAC)의 혼합마이셀화에 관한 연구 (Mixed Micellar Properties of Sodium n-Octanoate(SOC) with n-Octylammonium Chloride(OAC) in Aqueous Solution)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95-501
    • /
    • 2002
  • Sodium n-Octanoate(SOC)와 n-Octylammonium Chloride(OAC)의 혼합마이셀화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임계마이셀농도(CMC)와 반대이온 결합상수(B)값을 SOC의 겉보기 몰분율($\alpha_1$)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SOC/OAC 혼합시스템의 마이셀화에 대한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_i$, $Y_i$, $C_i$, ${\alpha}_i^M$${\Delta}H_{mix}$)을 비이상적 혼합마이셀화 모델에 의하여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는 이상적 거동으로부터 큰 음의 벗어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SOC,OAC 및 그들 혼합체($\alpha_1$=0.5)의 마이셀화에 대한 열역학적 함수값(${\Delta}G^0_m$, ${\Delta}H^0_m$${\Delta}S^0_m$)을 계산하기 위하여 온도에 따른 CMC 및 B 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변화로부터 계산한 열역학적 함수값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순수 및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의 미셀화 현상에 미치는 온도 효과 및 n-알코올(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및 헥산올) 효과 (Effects of Temperature and n-Alcohols (Propanol, Butanol, Pentanol and Hexanol) on the Micellization of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539-546
    • /
    • 1994
  • 몇 가지 n-알코올들을 포함하는 수용액에서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의 임계 미셀농도(CMC) 및 미셀 상태에서 반대이온의 결합상수$(\beta)$값을 $17^{\circ}C{\sim}41^{\circ}C$까지의 온도범위 내에서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으며, CTAB 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한 열역학 함수값($({\Delta}G^o_m,\;{\Delta}H^o_m,\;{\Delta}S^o_m,\;{\Delta}C_p)$)들을 온도에 따른 CMC 및 $\beta값$의 변화로부터 계산하였다. 또한 CTAB 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한 n-알코올(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및 헥산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n-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CMC 및 $\beta$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알코올을 작은 양으로 첨가하였을 때 CMC값과 $\beta$값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과량의 n-알코올을 첨가하였을 때 CMC값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들을 n-알코올 분자들의 미셀속으로의 가용화 및 n-알코올 분자들의 가용화로 인한 미셀의 표면전하값의 변화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 PDF

n-부탄올 수용액에서 TTAB/Brij 35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Micellization of TTAB/Brij 35 Mixed Systems in Aqueous Solutions of n-Butanol)

  • 길한내;이병환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67-272
    • /
    • 2007
  • $25^{\circ}C$의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0.1 M, 0.2 M 및 0.3 M)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trimethyltetradecylammonium bromide (TTAB)와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 (23) lauryl ether (Brij 35)의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 (CMC)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값(B)을 TTAB의 겉보기 몰분율(${\alpha}_1$)의 함수로서 전도도법과 표면장력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한 CMC 값에 비이상적 혼합미셀화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_i$, ${\gamma}_i$, $C_i$, ${a_i}^M$, ${\beta}$${\Delta}H_{mix}$)들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TTAB/Brij 35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의 농도에 따른 열역학 함수값들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DBS/Brij 35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 효과 (Effect of n-Butanol on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5 Mixed Surfactant Systems)

  • 이병환;박인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55-361
    • /
    • 2006
  •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0.1M, 0.2M, 0.3M)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 benzenesulfonate(DBS)와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dodecyl polyoxyethylene(23) lauryl ether(Brij 35)의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CMC)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값(B)을 DBS의 겉보기 몰분율(1)의 함수로서 전도도법과 표면장력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한 CMC값에 비이상적 혼합미셀화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i, i, Ci, aiM, 및 Hmix)들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DBS/Brij 35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의 농도에 따른 열역학 함수값들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粘性度 및 密度測定에 依한 Dodecyle Pyridinium Chloride 水溶液의 第二 CMC에 關한 硏究 (Viscosity and Density Studies on the Second CMC of the Aqueous Solution of Dodecyl Pyridinium Chloride)

  • 윤영원;이근무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289-293
    • /
    • 1975
  • Dodecyl pyridinium chloride(DPC) 水溶液의 粘性度 및 密度硏究로 이 溶液에는 第一 cmc 外에 第二 cmc가 存在함을 알 수 있었다. 水化된 미셀의 부피分率${\phi}_m$은 다음 式에 따라 算出하였다. ${\Pi}_{rm}=1+2.5{\phi}_m+14.1{\phi}_m^2{\cdot}{\phi}_m-C_m$ 曲線에서 ${\phi}_m$m의 增加率은 第二 cmc 近處에서 減少되고 또 密度測定으로부터 얻은 partial specific volume($\={v}$)도 第二 cmc 近處에서 급격히 減少되고 그以上의 濃度에서는 一定値를 維持함을 알았다. 이것은 미셀의 集合型의 變化 및 미셀과 結合하고 있는 반대이온의 減少로 因한 第二 cmc에서의 미셀構造變化에 依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DPC와 다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DTAB, TTAB 및 CDEAB)와의 혼합마이셀화에 관한 연구 (Mixed Micellar Properties of DPC with Other Cationic Surfactants (DTAB, TTAB, and CDEAB))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19-525
    • /
    • 1998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DPC(dodecylpyridinium chloride)와 다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DTAB(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TTAB(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및 CDEAB(cet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와의 혼합마이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전도도법을 이용하였다. DPC/DTAB, DPC/TTAB 및 DPC/CDEAB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대한 임계마이셀농도$(CMC^{\ast})$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값(B)을 각각 ${\alpha}$1(DPC의 몰분율)의 함수로서 25$^{\circ}C$에서 측정하였으며, 이와같이 측정한 $CMC^{\ast}$와 B 값으로부터 유사상태분리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_{i},\;{\gamma}_{I},\;C_{i},\;a^{M}_{i},\;\beta,\;{\Delta}H_{mix},\;and\;{\Delta}G^{o}_{m})$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DPC/CDEAB 혼합계면활성제가 이상적 혼합마이셀모델에서 가장 큰 벗어남을 나타내었으며 DPC/DTAB 혼합계면활성제는 가장 작은 벗어남을 보였다.

  • PDF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DPC와 TTAB의 혼합마이셀화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 (Thermodynamic Study on the Mixed Micellization of Cationic Surfactants DPC and TTAB)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14-620
    • /
    • 1999
  •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Dodecylpyridinium chloride(DPC)와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TTAB)로 구성된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마이셀농도(CMC)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beta}$)를 $4^{\circ}C$에서 $36^{\circ}C$까지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CMC와 ${\beta}$값의 온도에 따른 변화로부터 DPC/TTAB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대한 여러 가지 열역학 함수값(${\Delta}C_p$, ${\Delta}G^o_m$, ${\Delta}H^o_m$${\Delta}S^o_m$)을 계산하였다. ${\Delta}C_p$${\Delta}G^o_m$은 측정한 온도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Delta}S^o_m$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Delta}H^o_m$은 낮은 온도에서는 양의 값을 그리고 높은 온도에서는 음의 값을 띠었다. 또한 이러한 열역학 함수값은 온도와 몰분율 조성 (${\alpha}_DPC$)에 따라 큰 변화를 보였다.

  • PDF

순수 물에서 Sodium Dodecylsulfate(SD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 (Thermodynamics on the Mixed Micellization of Sodium Dodecylsulfate(SDS) with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 in Pure Water)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20-426
    • /
    • 1996
  • 순수 물에서 Sodium dodecylsulfate(SD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로 구성된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CMC) 및 반대이온의 결합상수(${\beta}$)값을 15$^{\circ}C$에서 35$^{\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CMC 및 ${\beta}$값의 온도에 따른 변화로부터 SDS/DBS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한 여러가지 열역학 함수값(${\Delta}C_p,\;{\Delta}G_m^{\circ},\;{\Delta}H_m^{\circ}$${\Delta}S_m^{\circ}$)들을 계산하였다. 측정한 온도범위 내에서 SDS/DBS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로 인한 ${\Delta}G_m^{\circ}$${\Delta}C_p$의 값들은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Delta}S_m^{\circ}$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열역학 함수값들의 온도 및 몰분율조성(${\alpha}_{SDS}$)에 따른 변화를 이용하여 SDS/DBS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