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ter clockwise rota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최적의 모터 제어 및 겉표지 자동 투입 기능을 적용한 접착식 무선 제본기 설계 (Design of adhesive wireless bookbinding machine with optimal motor control and automatic cover insertion)

  • 송제호;이인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98-20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모든 지식산업분야에서 기록 및 발췌된 자료들을 모아 보관이 용이하도록 도서 제본을 목적으로 하는 최적의 모터 제어 및 겉표지 자동 투입 기능을 적용한 접착식 무선 제본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접착식 무선 제본기의 소음 개선을 위해 기기의 동력을 기존 컴프레셔 방식에서 AC 인덕션 모터 제어 방식으로 변경하였으며 작업 속도향상을 위해 겉표지 자동 투입 기능을 적용하였다. 또한, 모터 제어 시 가장 큰 문제점인 모터의 정 역회전 중에 발생하는 급제동과 급가속 반복으로 인한 모터 및 감속기 파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식 공간 위치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여 모터의 안정적 동작과 내구성을 보장하였다. 이 외에도 제본기 간소화를 위해 복잡한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피와 무게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기기 설계 후 실험값을 측정 한 결과 소음은 기존 135dB에서 71.7dB로 약 57% 감소되었으며 작업 시간은 기존 18sec에서 9.58sec로 약 57% 단축되었다. 그리고 겉표지 자동 투입구는 1회 공급 시 최대 130매까지 공급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악교정수술 후 조기 재수술 증례의 분석 (Clinical analysis of early reoperation cas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 이주환;이인우;서병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1호
    • /
    • pp.28-38
    • /
    • 2010
  •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lapse and recurrence of skeletal deformity after the orthognathic surgery include various factors such as condylar deviation, the amount of mandibular set-back, stretching force by the soft tissues and muscles around the facial skeleton.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recognize and analyze the possible factors of reoperation after orthognathic surgery, due to early relapses. Six patients underwent reoperation after the orthognathic surgeries out of 110 patients from 2006 to 200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 most cases, clincal signs of the insufficient occlusal stability, anterior open bite, and unilateral shifting of the mandible were founded within 2 weeks postoperatively. Although elastic traction was initiated in every case, inadequate correction made reoperation for these cases inevitable. The chief complaints of five cases were the protruded mandible combined with some degree of asymmetric face and in the other one case, it was asymmetric face only. Various factors were considered as a major cause of post-operative instability such as condylar sagging,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ular segment, soft tissue tension related with asymmetrical mandibular set-back, preoperatively exist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poor fabrication of the final wafer, and dual bite tendency of the patients.

비대칭 입출구를 갖는 장방형공간의 유동특성 (Flow Characteristics of Rectangular Space with Asymmetric Inlet and Outlet)

  • 이철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1-266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실제선박의 후드룸을 1/15로 축소한 비대칭 입출구를 갖는 장방형 모델을 대상으로 가시화 실험을 수행하고 내부의 유동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속도장의 계측은 CACTUS'2000을 이용한 2차원 PIV기법으로 하였으며 4개의 계측영역을 설정하여 계측한 결과 유동장의 환기구조를 지배하는 흐름은 유동장의 좌측 벽면의 흡기구로부터 대각방향의 우측상부로 흐르는 나선형의 'L'형 유동이었다. 또한 주 흐름의 영향으로 유동장의 중앙부분에 강제와류형태의 재순환 흐름이 존재하였다.

  • PDF

Angle씨 III급 부정교합 환자중 Activator사용 전후의 설골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ITIONAL CHANCE OF THE HYOID BONE BEFORE AND AFTER ACTIVATOR THERAPY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고상덕;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27-839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sitional changes of hyoid bone following the use of activator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functional factors. For this study, 40 Angle's class I patients and 40 Angle's class III patients, totally 80 subjects were used. They are all in Hellman's dental age IIIB-IIIC ranges. In lateral cephalogram to compare Angle's class I group and Angle's class III group, and the positional changes of the hyoid bone before and after the use of activator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Comparison of Angle's class I group and Angle's class III group. In comparison to Angle's class I group, hyoid bone is more anteriorly and superiorly positioned in Angle's class III group. The hyoid bone showed reverse inclination to the mandibular plane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2. Comparison of the hyoid positional change before and after use of Activator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 hyoid bone is displaced posteriorly and inferiorly in vertical relationship. The hyoid bone also showed counter-clockwise rotation. 3.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fter Activator use data of Angle's class m malocclusion group and Angle's class I group. It is concluded that the hyoid bone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changed its position, similar to Angle's class I malocclusion group.

  • PDF

제2형 세이퍼트 은하 Mrk 1의 [O III]와 H𝛽선의 시선 속도와 FWHM 공간 분포 연구 (Radial Velocity and FWHM Spatial Distribution of [OIII] and H𝛽 Lines of the Type II Seyfert Galaxy Mrk 1)

  • 형식;이성재;조지은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51-366
    • /
    • 2022
  • 우리는 CFHT에 부착된 OASIS 분광기, MR 1 그리즘으로 관측한 방출선 중, H𝛽와 [O III] 5007 방출선을 분석하여, 제 2형 세이퍼트 은하 Mrk 1의 운동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O III] 금지선의 가우시안 선 윤곽 분석을 통해 초과하는 청색 이동 성분의 방출 영역이 비대칭적으로 보이는데, (1) 은하 중심부 약 960 pc거리에서 플럭스는 최대를 보이고, (2) 은하 중심부에서 NS 방향으로 ~900 km s-1인 큰 선폭 지역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원소의 분광 영상에서 보이는 시선 속도의 특징은 NE 방향에서 접근하는 가스의 흐름이, SW 방향으로 적색 이동, 즉 멀어지는 가스의 흐름이 나타나 반시계 방향 은하의 회전 경향성을 보여준다. 시선 속도 자료로부터 은하 중심은 우리를 향해 접근하는 먼지 가스가 가리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정시안의 조절반응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ccommodative Response on Emmetropia)

  • 심현석;심문식;주석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7-192
    • /
    • 2006
  • 본 연구 목적은 조절반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양얀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auto-refractometer)를 이용하여 정시안의 실제 조절반응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안시력이 1.0 이상이며 등기구면굴절력이 ${\pm}0.50D$ 이하이고, 난시도수가 -0.75D 이하인, 10세부터 59세사이(평균 $25.8{\pm}12.4$) 377안(남 146안, 여 231안)을 10세 간격의 연령군으로 나누어 조절반응량, 원근거리 난시도수와 난시축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령별 조절반응량은 전체 평균은 1.47D, 10대 1.63D, 20대 1.57D, 30대 1.71D, 40대 0.97D, 50대 0.05D로 10대에서 30대까지는 약간 증가를 보였으나, 40대 이상에서 현저한 저하를 보이다가 50대에는 거의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차이는 남자는 평균 연령 $26.4{\pm}12.3$에 조절반응량은 1.56D, 여자는 $25.5{\pm}12.5$에 1.43D로 남자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원근거리에서 난시도수의 변화는 전체 평균은 +0.12D, 10대 +0.06D, 20대 +0.16D, 30대 +0.09D, 40대 +0.05D, 50대 +0.06D, 남자 +0.16D, 여자 +0.09D로 모든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지만, 원거리보다 근거리에서 모두 군에서 난시가 높게 나타났다. 난시축 변화는 원거리 난시축에 비해 ${\pm}10^{\circ}$ 미만으로 변한 경우가 103안(33%), 시계방향으로 $10^{\circ}$ 이상 회전이 108안(34.6%), 반사계방향으로 $10^{\circ}$ 이상 회전이 101안(32.4%)으로 나타나 근거리에서 난시축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postoperative stability between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and a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for skeletal class III correction

  • Mah, Deuk-Hyun;Kim, Su-Gwan;Oh, Ji-Su;You, Jae-Seek;Jung, Seo-Yun;Kim, Won-Gi;Yu, K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3권1호
    • /
    • pp.23-28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to a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20 patients who underwent BSSRO for skeletal class III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and 20 patients who underwent a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 Serial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to identify skeletal changes before surgery (T0), immediately after surgery (T1), and after surgery (T2, after 1 year or at debonding). Results: The amount of relapse of the mandible in the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group from T1 to T2 was $2.23{\pm}0.92mm$ (P<0.01) forward movement and $-0.87{\pm}0.57mm$ (non-significant, NS) upward movement on the basis of point B and $2.54{\pm}1.37mm$ (P<0.01) forward movement and $-1.18{\pm}0.79mm$ (NS) upward movement on the basis of the pogonion (Pog) point. The relapse amount of the mandible in the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 group from T1 to T2 was $3.49{\pm}1.71mm$ (P<0.01) forward movement and $-1.78{\pm}0.81mm$ (P<0.01) upward movement on the basis of the point B and $4.11{\pm}1.93mm$ (P<0.01) forward movement and $-2.40{\pm}0.98mm$ (P<0.01) upward movement on the basis of the Pog. Conclusion: The greater horizontal and vertical relapse may appear because of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le in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 Therefore, careful planning and skeletal sta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orthognathic surgery.

선천성 낭포성 선종양기형 -1례 보고-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 선경;백광제;이철세;채성수;김학제;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118-124
    • /
    • 1984
  • Congenital Cystic Adenomatiod Malformation (C.C.A.M.) is rare, but one of the most common congenital pulmonary anomalies that cause acute respiratory distress in the newborn infants. It is characterized and differentiated from the diffuse pulmonary cystic disease pathologically, i.e. adenomatoid appearance due to marked proliferation of the terminal respiratory components. An 2/12 year old male patient was suffered from respiratory distress and cyanosis on crying since birth, but no specific therapy was given. With progression of symptoms, he came to Korea University Hospital for further evaluation and then transfered to Dept. of Chest Surgery for operative correction under the impression of Congenital Obstructive Emphysema suggested by a pediatrician. On gestational and family history, there was nothing to be concerned such as congenital anomaly. Physical examinations showed; moderate nourishment and development (Wt. 5.5kg), cyanosis on crying, both intercostal and lower sternal retraction on inspiration, Lt. chest building with tympany, Rt. shifting of cardiac dullness, decreased breathing sound with expiratory wheezing on entire Lt. lung field, decreased breathing sound on Rt. upper lung filed, and tachycardia. The remainders were nonspecific. Laboratory findings were normal except WBC $14000/mm^3$ (lymphocyte 70%), Hgb 9.8m%, Hct 28%, negative Mantaux test, and sinus tachycardia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on EKG. Preoperative simple Chest PA revealed marked hyperlucent entire Lt. lung, herniation of Lt. upper lobe to Rt., collapsed Rt. upper lobe, tracheal deviation and mediastinal shifting to Rt., and no pleural reaction. At operation, after Lt. posterolateral thoracotomy, 4th rib was resected. Operative findings were severe emphysematous changes limited to both lingular segmentectomy was done. The resected specimen showed slight solidity, measuring $8{\times}4.5{\times}2cm$ in size, and small multiple cystic spaces filled with air. Microscopically, entire tissue structures were glandular in appearance, cyst were lined by ciliated columnar epithelium, and occasional cartilages were noted around the cystic spaces. Bronchial elements were dilated but normal pattern on histologically. The patient had a good postoperative courses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and discharged on POD 10th without event.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Co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C.C.A.M.)

  • PDF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 분석 (ANALYSIS OF FACIAL SOFT-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박희대;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87-108
    • /
    • 1996
  • 본원에서 하악지시상골 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9명 (남자 12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수술후, 장기관찰기간동안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후 하악은 반시계방향회전하면서 후방이동 하였으며 장기관찰시 B와 Pog에서 1.23mm, 1.28mm의 재발을 보였다. 이는 술후의 하악이동에 따른 순수한 효과(Net effect)가 81.7%, 82.2% 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발로 인하여 수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술전 치료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2. 하악 경조직의 수평변화에 대한 하악 연조직의 변화비율은 하순구에서 100%, 이부에서 99.1-102.1% 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경우 72.7-93.7% 로 나타났으며 상순의 경우 하악 전치 이동량의 5.7% 정도 후방 이동하게 되지만 통계적 상관관계는 미약했으나. 수직적으로 8.3-9.6% 정도 유의한 하방이동양상을 보였다. 3. 술수 상순과 하순의 관계가 개선되어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Ls)은 상대적으로 동출하고 하순(Li)은 후방이동하였으며, 상순구가 얕아지고 하순구가 깊어졌으며, 비순각이 개선되어 전반적 안모가 개선되었으나 턱부위의 전돌은 수술후에도 약간 남아있었다. 4. 하악 연조직점을 종속변수로, 하악 경조직점을 독립변수로한 회귀분석에서 경조직 변화와 연조직 변화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조직 두께와 수평이동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고해상도 다중빔음향측심 지형자료 분석을 통한 서필리핀분지의 진화 연구 (An Understanding the Opening Style of the West Philippine Basin Through Multibeam High-Resolution Bathymetry)

  • 최한진;신현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43-654
    • /
    • 2023
  • 서필리핀분지는 필리핀해판 서쪽 그리고 유라시아판에 위치한 한반도의 남쪽에 위치하여 류큐해구를 경계로 두고 있는 해양 분지이다. 이 분지는 전체 필리핀 판의 절반정도의 크기이며 류큐해구, 필리핀해구를 경계로 유라시아판 하부로 섭입 중이다. 이 분지의 25-50%가 이미 섭입되었고, 분지 남쪽의 경우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까지 분지의 진화과정 해석에 대하여 크게 논란 중에 있다. 이러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서필리핀분지의 진화과정을 고해상도 다중빔음향측심자료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판의 확장과정에서 생성되는 비변환불연속 구조(Non-Transform Discontinuity)는 일반적으로 중앙해령과 수직한 방향으로 생성되는 변환단층 경계와 유사하지만 지각아래 맨틀대류 변화에 의한 마그마공급 불균형으로 해령분절에 변위가 생기며 만들어진다. 고해상도 해저지형도를 제작하여 분석한 결과, 해령전파에 의한 비변환불연속 구조가 크게 발달한 것과 전반적인 심해언덕의 주향이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E-W방향에서 NNW-SSE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지 확장 초기에 아마미-산카쿠 분지가 현재의 위치에서 9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팔라우분지와 인접해 있다가 분지의 확장이 시작되면서 민다나오 파쇄대를 경계로 팔라우분지와 분리되어 반시계 방향의 회전열개로 확장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분지 내 비변환불연속 구조는 ENE-WSW 방향에서 N-S 방향으로 급격한 확장방향의 변화와 동시에 필리핀해판의 드리프트(drift)로 인한 갑작스러운 마그마 공급 변화로 형성될 수 있음을 지시한다. 팔라우분지는 WPB의 남쪽 일부로 간주되었으나,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확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퇴적층과 지각의 두께 등 여러 단서들이 팔라우분지가 WPB 확장 이전에 이미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나 분지의 진화과정은 여전히 논란이 많다. 서필리핀분지와 필리핀해판의 정확한 진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팔라우 분지의 연대와 확장 진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다중빔음향측심자료 분석을 통해 서필리핀분지의 진화과정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정보는 서필리핀분지와 필리핀해판의 정확한 진화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