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seling psychology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8초

융합 대학전공 교과목 및 교육과정 개발: 범죄피해케어전문가양성과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for Curriculum and Coursework Design of Convergence Program of Psychology and Police in College)

  • 고은영;이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513-524
    • /
    • 2017
  • 본 연구는 심리치료학과와 경찰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범죄피해케어전문가과정(CVCS)의 융합 교과목 및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전국 심리학과/상담학과/심리치료학과/경찰학과/경찰행정학과 교과목과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양 학과의 교과목 목록을 작성하고, 양 학제의 교수진의 자문을 받아 교육과정모형안과 3단계별 교과목 목록안을 선정하였다. 둘째, 현장맞춤형 교과목/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전국 51명의 범죄피해지원기관의 피해자지원/상담/심리치료 전문가들 대상, 적합도와 중요도를 델파이 설문조사하였다. 도출한 최종교육과정은 기본과정, 기초과정, 심화과정으로서 기초과정은 부전공, 심화과정은 복수전공의 학제에 따라 교과목 수를 편성하였다. 기본과정은 각 학과별 5개의 교과목으로 구성되고 기초과정은 7과목, 심화과정은 4과목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에 대한 논의와 함의를 제안하였다.

Regional Grey and White Matter Changes in the Brain Reward System Among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y

  • Park, Mi-Sook;Seok, Ji-Woo;Kim, Eun-Ye;Noh, Ji-Hye;Sohn, Jin-Hun
    • 감성과학
    • /
    • 제20권4호
    • /
    • pp.113-126
    • /
    • 201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grey matter (GM) and white matter (WM) volume reduction in the brain reward system among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y. This study investigated regional GM and WM in chronic alcoholic patients, focusing primarily on the reward system, including principal components of the mesocorticolimbic reward circuit as well as cortical areas with modulating and oversight functions. Sixteen abstinent long-term chronic alcoholic men and demographically matched 16 healthy control 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Morph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on magnetic resonance brain scans using voxel-based morphometry (VBM)-diffeomorphic Anatomical Registration through Exponentiated Liealgebra (DARTEL). We derived GM and WM volumes from total brain and cortical and subcortical reward-related structures. Morphometric analyses that revealed the total volume of GM and WM was reduced and cerebrospinal fluid (CSF) was increased in the alcohol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pronounced volume reduction in the reward system was observed in the GM and WM of the nucleus accumbens (NAc), GM of the amygdala, GM and WM of the hippocampus, WM of the thalamus, GM and WM of the insula, GM of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GM of the orbitofrontal cortex (OFC), GM of the cingulate cortex (CC), GM and WM of the parahippocampal gyrus in the alcohol group. We identified volume reductions in WM as well as GM of reward system in th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y. These structural deficits in the reward system elucidate underlying impairment in the emotional and cognitive processing in alcoholism.

고등학생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 현명선;윤미경;채선미;오희영;정선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54-163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47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from two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24), which participated in the 8-session program, or to a control group (n=23).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elf-esteem were measured.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program.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in depression or self-esteem. Conclusion: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mental program was effective at increas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ts, especially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a school curriculum could incorporate positive psychology-based mental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to promote their mental health.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therapy(PPT) programs on Participants' Happiness and Resilience

  • WOO, Moon-Sik;WOO, Jung-Hyen;YANG, Hoe-Chang
    • 융합경영연구
    • /
    • 제10권5호
    • /
    • pp.15-24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and overcome the psychological treatment limited to the negative factors dealt with in psychology from a positiv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a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can improve happiness,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long with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depress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this end, in this study, mean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test on 10 participants in the 16th PPT program and 14 in the control group. Also, after setting the main variables, we tri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model. Results: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paired sample t-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PPT program had higher flourish, happiness,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and lower depress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post-traumatic growth had a positive effect, and that depression was a life-threatening factor. Conclusions: Since the PPT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nts with relatively negative psychological symptoms, it is necessary to expand i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preventive programs such as PPT as well as traditional psychological treatment for negative symptoms such as depression.

COVID-19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Children's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Parental Challe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Arefeh Shahali;Mansoureh HajHosseini;Reza Ghorban Jahrom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2호
    • /
    • pp.133-140
    • /
    • 2023
  • Objectives: The coronavirus disease pandemic affected people's lives in different ways, including child education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children and challenges of parents during this pandemic.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and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23 parents of children aged 7-12 years,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which continued until data saturation was reached, and then classified and processed following Strauss and Glasser's approach. Results: The findings were classified as parenting transformation, attachment challenges, and parenting challenges due to macro-systemic changes. Online education and changes caused by social distancing were the most significant parenting challenges. Moreover, children did not have the necessary space to be independent and self-sufficient. Conclusion: For many children, adapting to virtual education has been challenging; therefore, parents should change their parenting control and support. The emergence of such challenges has led to the creation of more opportunities in the field of child education.

한국 범죄심리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주요 연구영역의 탐색 (Searching the Major Research Domains for Establishing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 김시업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2호
    • /
    • pp.109-142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 범죄심리학(criminal psychology)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로 범죄심리학이 어떤 영역들을 연구해야 되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주로 심리학 분야와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한정시켜 국내외 학자들의 범죄심리학에 대한 정의, 국내외 일부 범죄심리학 교재들의 주요 장과 그 구성내용, 그리고 범죄심리학과 연구영역들이 중첩되는 법정심리학(forensic psychology), 법심리학(legal psychology)의 국내외 일부 저술들의 주요 장과 내용들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또한 한국심리학회와 5개 분과학회 등 총 6개 학술지의 창간호부터 2004년 마지막 호 또는 2005년 1호까지에 게재된 논문들과 이들 학회들 중 일부 학회와 법심리학회에서 실시한 심포지움의 주제와 발표내용들을 중심으로, 범죄심리학의 연구영역과 연구주제에 포함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들을 범죄심리학의 이론적 기초와 응용의 두 차원에서 분류해 보았다. 이러한 분류된 내용들을 기초로 하고, 일반인이 범죄를 행하고, 처벌을 받고, 다시 사회인으로 복귀하는 전과정을 8개 과정으로 세분하여 각 과정에 상응하는 연구영역, 관련된 심리학의 분야, 그리고 범죄심리학의 하위 분야를 제시해 봄으로써 연구자가 상정하는 한국의 범죄심리학이 주로 다루어야 될 연구영역을 탐색해 보았다. 주요 연구영역으로 범죄심리학의 이론, 일반심리학적 이론, 공격성·분노·도덕성, 청소년 비행, 범죄동기와 범죄인 심리, 범죄피해자, 수사기법, 증언, 범죄자 평가·상담·교정·사회복귀, 범죄예측과 범죄예방 등을 제시했다. 끝으로 한국 범죄심리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활용한 열등감 관리의 효과 분석 (Evaluating the Effects of Inferiority Management Using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 Health Science)

  • 이명화;박영준;장현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57-56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열등감을 관리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열등감에 대한 대학생의 긍정적 부정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8년 11월 20일에서 2019년 1월 2일까지 S 대학교 보건계열 대학생 총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열등감관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 120분씩 총 8회기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열등감반응 척도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추후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는 열등감관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열등감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열등감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유의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열등감관리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또래와의 비교에서 느끼는 대학생들의 열등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낮추고 긍정적인 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국내 우울증 평가도구 타당화 연구의 체계적 고찰-진단적 타당성을 중점으로 : 한국형 우울 선별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A Systematic Review of Validation Studies on Depression Rating Scales in Korea, with a Focus on Diagnostic Validity Information :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 정수연;김신향;박기호;제갈은주;이원혜;최윤영;이승환;최기홍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3-59
    • /
    • 2017
  • Reliable and valid diagnostic screening tools in the primary care setting enable accurate estimation of depression in individuals at risk or in need of treatment, and provide patients with an opportunity to receive optimal treatments. Although there have been extensive studies on screening tools for depression used in domestic mental health settings, there is little consideration and lack of a thorough review of the diagnostic validity of screening tools. In the current review, we selected 13 representative screening tools for depression which were evaluated in a total of 19 validation studies conducted in Korea. We summarized DSM-5 target domains, diagnostic indices, sensitivity, specificity, cut-off scores, and diagnostic validity information for each tool. Finally, the depression measurement expert group was constituted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screening tools for depression, and their recommendations for a new screening tool were summarize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Mental Health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to develop the 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K-DEP).

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가 도박중독자에 대한 가족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Based Music Therapy on Family Members' Attitudes Towards Gambling Addicts)

  • 윤혜영;서상범;박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69-27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도박중독자 가족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프로그램이 도박중독자에 대한 명시적, 암묵적 태도 변화를 발생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도박문제관련 상담센터를 이용하거나 단도박가족모임(GAM-ANON; 이하 GA)에 참여하고 있는 도박중독자 가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n=11)은 8회기의 긍정심리기반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n=8)은 8회기의 개인상담을 실시하거나 GA 가족모임에 참석하였다.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가족관계에 대한 태도를 명시적(가족관계척도), 암묵적(IAT; Implicit Assoication Task)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외에 자기보고식 방식으로 정서 및 분노(PANAS, HBDIS)의 변화를 함께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긍정정서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치료집단의 암묵적인 태도의 경우, 가족과 부정단어를 연합시키는 속도가 유의하게 빨라졌으며, 이는 치료를 통해 도박중독자 가족들이 중독자 가족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에는 도박중독자들의 가족 구성원들의 태도 변화를 직접적으로 이끌 수 있는 치료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자원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aptive College to Work Transition through Enhancing Coping Resources)

  • 김지근;이진구;이기학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283-3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개입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chlossberg(1995)의 이행 모형을 기반으로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 요구되는 대처자원인 4S(상황지각, 자기지각, 지지자원, 전략)에 개입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교 4학년 이상의 취업준비생 1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이행대처자원,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취업소진, 진로적응성의 수준을 프로그램 전, 후, 그리고 종결 1개월 후 시점에 수집하여, 취업준비행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비교집단 10명, 무처치 통제 집단 11명과 그 수준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자원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이행대처자원과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의 수준이 프로그램 전후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종결 1개월 후 시점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경험적으로 입증되었다. 반면, 취업소진과 진로적응성에서는 실험, 비교, 통제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 자원 향상 프로그램'이 지니는 의의를 논의하였으며, 연구가 지니는 제한점과 더불어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