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maric Acid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2초

미강 페놀산 농축물과 Hydroxycinnamic Acids의 세포내 항당뇨 및 항산화 활성 (Anti-hyperglycem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Acid Concentrates of Rice Bran and Hydroxycinnamic Acids in Cell Assays)

  • 정은희;하태열;황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3-239
    • /
    • 2010
  • Phenolic acid concentrates of rice bran(RB-ex) and hydroxycinnamic acid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nti-hyperglycemic activities through glucose uptake and glucokinase activity using HepG2 cells and stimulatory effects on insulin secretion using HIT-T15 cells. RB-ex was prepared as an ethylacetate extract after alkaline hydrolysis and hydroxycinnamic acids, found as major compositions of RB-ex, such as ferulic acid(FA), sinapic acid(SA) and p-coumaric acid(p-CA)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with the properties of RB-ex. The properties of glucose uptake in HepG2 cells were examined in the absence of insulin and two different glucose concentrations(5.5 mM and 25 mM). RB-ex and FA showed anti-hyperglycemic activities through the increase of glucose uptake and the stimulation of glucokinase activity in HepG2 cells. RB-ex exhibited higher glucose uptakes with higher glucose concentrations, whereas FA exhibited the same increasing effects on both concentrations of glucose. RB-ex and FA exhibited doubled glucokinase activities relative to control. In the presence of insulin in the 25 mM glucose-containing medium, the levels of glucose uptake were increased in all treatments compared with control. As stimulatory effects of samples on insulin secretion were estimated, RB-ex and FA stimulated insulin secretion at a concentration of 25 ${\mu}g/m{\ell}$ and in particular, FA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insulin-release in HIT-T15 cells. Antioxidative effects on HIT-T15 cells, RB-ex and hydroxycinnamic acids, excluding p-CA, showed inhibitory activities of 78% to 80% at a concentration of 100 ${\mu}g/m{\ell}$.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RB-ex and FA could help decrease blood glucose levels and prevent the cell damages via antioxidant activity.

Candida payapsilosis가 홍삼엑기스의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ndide parapsilosis on the Changes in Various Components of Korea Red Ginseng Extract)

  • 양재원;노길봉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60-65
    • /
    • 1989
  • 부패된 홍미삼엑기스로부터 분리동정한 내삼투압성 효모인 C. parapsilosis가 홍미삼엑기스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 parapsilosis를 배양하면서 pH의 변화, ginsenoside의 함량, 지방산, phenol 화합물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엑기스를 소량 첨가하였을 때는 배지의 pH에 다소 영향을 주었으나 엑기스를 다량(10~20%) 첨가하였을 때는 pH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C. parapsilosis는 홍삼엑기스의 사포닌의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사포닌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사포닌 중량 첨가에 따른 생육 촉진경향 혹은 저해현상도 없었다. C. parapsilosis의 홍미삼엑기스의 유리당 이용 패턴은 glucose, fructose 등 단당류를 먼저 흡수 이용하고 다음에 sucrose, maltose 등을 2차적으로 이용하였다. 홍미삼엑기스의 대부분의 지방산은 C. parapsilosis 생육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중결합이 없는 stearic acid, palmitic acid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페놀화합물 중 maltol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그 외에 vanillic acid, m-coumaic acid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아미노산은 배양 전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특히 arginine은 완전 소진되었다.

  • PDF

수시장(콩발효식품)의 생리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usijang, Fermented Soybean Paste)

  • 류복미;;김정숙;박민희;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7-142
    • /
    • 2007
  • 전통 콩발효식품인 수시장의 제조방법을 재현하고 이의 항산화활성 및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TEAC법으로 총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원료콩에 비해 수시장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청국장과 유사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수시장 중의 이소플라본(diazein, genistein) 함량은 청국장보다는 적게 함유되어 있었으나 원료콩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henolic acids의 함량은 수시장 형태로 제조했을 때 가장 높았으며 특히, $\rho-coumaric$ acid와 salicyl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원료콩과 비교하여 수시장에서 가장 높았고, 청국장이 다음으로높게 나타났다. 고혈압 효과를 측정한 결과 청국장보다 수시장에서 저해활성이 높았으며, 70%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저해활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henolic acid가 Maillard 반응 모델액의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olic Acids on Inhibition of Browning of Maillard Reaction Model Solutions)

  • 곽은정;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24
    • /
    • 2007
  • 된장모델로서 0.1M glucose-0.1M glutamic acid 모델을 선정하고 0.2mM $FeCl_{2}$의 존재 하에 갈변억제제인 50mM citric acid와 이의 synergist로 5종의 phenolic acids를 첨가하여 조제한 시료를 $4^{\circ}C$$30^{\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phenolic acids가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phenolic acids 첨가에 따른 갈변억제효과는$4^{\circ}C$의 저온에서보다 $30^{\circ}C$의 실온에서 저장시 pH의 변화 없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종의 phenolic acids 중에서 hydroxybenzoic acid는 갈변억제능이 가장 높아, 갈변억제능은 $30^{\circ}C$에서 4주간 저장후 phenolic acids 무첨가구보다 13%가 높았다. Caffeic acid와 protocatechuic acid와 같이 OH기가 2개 치환된 phenolic acid는 Maillard 반응의 촉매로 작용하는 철 이온과의 결합능이 높아 Maillard 반응이 보다 더 억제되어 3-DG 및 형광화합물과 같은 중간반응산물의 생성을 가장 억제하였으나, 이들 phenolic acids는 유색의 착체를 형성하여 동일계의 OH기가 0, 1개 치환된 phenolic acids보다 갈변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Hydroxybenzoic acid는 실제 된장에도 사용가능한 첨가물로서 citric acid를 갈변억제제로 사용시 이의 synergist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라일락 잎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동정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from Lilac(Syringa vulgaris L.))

  • 황선주;신동현;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4-344
    • /
    • 1997
  • 라일락 잎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을 검정(檢定)코저 수행한 본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침적과 Leaching법으로 추출(抽出)한 라일락 잎 수용 추출물의 식물 생육 억제효과를 검정해 본 결과, 바랭이와 상추의 발아율에 영향을 주었으며, 초장보다 뿌리에 더 큰 억제현상을 보여 1차적인 생리활성효과를 검정할 수 있었다. 2. 라일락 잎의 페놀, 그리고 폴리페놀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p-coumaric acid, salicylic acid, pyrogallol 및 catechol의 높은 비율이 동정되었고, 폴리페놀성 물질로는 rutin, chlorogenic acid, kaempferol 및 scopoletin 등이 각각 검정되었다. 3. 표준페놀물질인 pyrogallol과 catechol은 공시식물의 생육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억제효과를 보였고, 특히 수용성인 pyrogallol $10^{-6}M$과 catechol의 혼합처리에서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Terminalia chebula Rets Extracts)

  • 장성준;이기동;김정숙;윤형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11-17
    • /
    • 1992
  • 탈지 가자박으로 부터 free, soluble 및 insoluble bound phenolic acids를 추출하여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항산화효과률 0.02%(w/w)의 BHA, BHT의 항산화 효과와 비교하고자 각 기질과 대조구를 $60{\pm}1^{\circ}C$에서 35일간 저장하면서 매 7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 TBA가를 측갱하였다. BHA, BHT와 free, soluble 및 insoluble hound phenolic acids를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의 과산화물가는 21일의 경우 60, 30, 14, 11, 10, 100이었다. 같은 조건하에서 추출물의 TBA가는 0.150, 0.108, 0.105, 0.073, 0.078, 0.185이었다. 이것으로 보아 phenolic acids는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분리확인된 phenolic acids는 p-coumaric acid, ferulic acid, phloroglucinol, pyrogallol, vanillic acid, caffeic acid으로 확인되었다.

  • PDF

Comparative phenolic compound profil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fruit, leaves, and roo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Meyer)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s

  • Chung, Ill-Min;Lim, Ju-Jin;Ahn, Mun-Seob;Jeong, Haet-Nim;An, Tae-Jin;Kim, Seung-Hy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68-75
    • /
    • 2016
  • Background: The study of phenolic compounds profil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ginseng fruit, leaves, and roots with respect to cultivation years, and has been little reported to date. Hence, this study examined the phenolic compounds profiles and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radical-scavenging activities in the fruit, leaves, and roo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Meyer) as a function of cultivation year. Methods: Profiling of 23 phenolic compounds in ginseng fruit, leaves, and roots was investigat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the external calibration method. Antioxidative activity of ginseng fruit, leaves, and roots were evaluated using the method of DPPH free-radical-scavenging activity. Results: The total phenol content in ginseng fruit and leaves was higher than in ginseng roots (p < 0.05), and the phenol content in the ginseng sampl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DPPH free-radical-scavenging activity ($r=0.928^{****}$). In particular, p-coumaric acid ($r=0.847^{****}$) and ferulic acid ($r=0.742^{****}$) greatly affected the DPPH activity. Among the 23 phenolic compounds studied, phenolic acids were more abundant in ginseng fruit, leaves, and roots than the flavonoids and other compounds (p < 0.05). In particular, chlorogenic acid, gentisic acid, p- and m-coumaric acid, and rutin were the major phenolic compounds in 3e6-yr-old ginseng fruit, leaves, and root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profiles in fruit, leaves, and roots of Korean ginseng with cultivation years. This information is potentially useful to ginseng growers and industrie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and nutritional ginseng products.

백삼과 홍삼의 페놀성 성분 함량 및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Contents between White and Red ginseng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Biosynthesis)

  • 황은영;공연희;이영철;김영찬;유경미;조연옥;최상윤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82-87
    • /
    • 2006
  • 백삼과 홍삼의 quercetin, cinnamic acid, p-coumaric acid, maltol, esculet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백삼에는 cinnam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홍삼에는 증숙과정 중에 생성되는특이 성분인 malto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인삼시료 중 백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melan-a 세포주에서의 세포생존율 대비 멜라닌 생성억제활성측정, UV-흡수도 측정, tyrosinase 억제활성 측정에서 모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의 활성 성분으로는 cinnamic acid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한편, maltol을 다량 함유한 홍삼 ethyl acetate 분획물은 UV-흡수 활성을 보였으나 다른 유의적인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인삼소재 중 백삼 ethyl acetate 분획물은 피부미백소재로써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당뇨처방에 근거한 생약재 복합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a Medicinal Herb Mixture Prepared through the Traditional Antidiabetic Prescription)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16-922
    • /
    • 2011
  • 본 연구는 다양한 생약재를 사용하여 생약재 복합물을 구성하고, 복합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생약재 복합물의 추출 수율은 물 추출물이 35.00%, 에탄올 추출물 25.33%이었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ethyl acetate층의 수율이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0.64% 및 3.76%였다. 생약재 복합물의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34% 및 2.42%이었고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5.04% 및 4.56%이었으며, 용매별 분획물 중 ethyl acetate층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또한 ethyl acetate층에서 가장 높았다. 추출물에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salicylic acid와 ${\rho}$-coumaric acid이었다. 물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43.32% 및 41.32%이었으며, 각각의 용매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은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패턴과 유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9.68% 및 8.94%였으며, 용매별 분획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전자공여능과 유사하였다.

수엽류 새순의 항염증 활성 및 페놀산 분석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Phenolic Acid Analysis of Tree Sprout Extracts)

  • 김주리;퀸누구엔;신한나;강기성;이상현
    • 생약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57-266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several in vitro activities including the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tree sprout extracts. Chlorogenic, caffeic, and p-coumaric acid contents in tree sprouts were analyz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an ultraviolet detector. Among the studied tree sprout extracts, the ethanol (EtOH) extract of Rhus verniciflua exhibited the most potent anti-cancer effect by suppressing the cell viability of a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 line, with an IC50 of 7.06 ㎍/mL. The EtOH extract of Morus alba (MAB) inhibited the secretion of nitric oxide (NO) at a concentration of 100 ㎍/mL, with an IC50 of 83.44 ㎍/mL. Moreover, the EtOH extract of Securinega suffruticosa inhibited NO secretion with the lowest IC50 of 54.42 ㎍/mL. The EtOH extract of Fraxinus mandschurica was the only extract with effectiv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The total content of chlorogenic, caffeic, and p-coumaric acids was the highest in MAB (14.63 mg/g ext.). In conclusion, the beneficial activities of the tree sprout extracts with high phenolic acid content were generally high. Our results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promoting supplements and functional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