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os bipinnatu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코스모스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효능평가 (Evaluation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osmos bipinnatus)

  • 김선영;이민혜;박수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59-567
    • /
    • 2010
  •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of Cosmos bipinnatus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Cosmos bipinnatus flower extract ($11.48\;{\mu}g$/mL) showed more excellent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 scavenging activity (FSC50) than those of leaf and stem extracts ($17.45\;{\mu}g$/m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OSC50) of Cosmos bipinnatus extracts on ROS generated in $Fe^{3+}$-EDTA/H2O2 system were investigated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Cosmos bipinnatus flower extract ($0.56\;{\mu}g$/mL) showed 3 times more excellent ROS scavenging activity than L-ascorbic acid ($1.50\;{\mu}g$/mL).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osmos bipinnatus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leaf and stem extract and flower extracts suppressed photohemolysi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10\sim50\;{\mu}g$/mL). The inhibitory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Cosmos bipinnatus flower extract ($62.75\;{\mu}g$/mL) on tyrosinase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 whitening efficacy.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Cosmos bipinnatus flower extract showed 3.5 times higher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than arbutin ($226.88\;{\mu}g$/mL) known as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ractions of Cosmos bipinnatus extracts can function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by scavenging $^1O2$ and other ROS,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Fractions of Cosmos bipinnatus extracts can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for antioxidant and whitening.

Occurrence of Leaf Blight on Cosmos Caused by Alternaria cosmosa in Korea

  • Deng, Jian Xin;Lee, Ji Hye;Paul, Narayan Chandra;Cho, Hye Sun;Lee, Hyang Burm;Yu, Seung H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78-82
    • /
    • 2015
  • In 2011, a leaf blight disease was observed on cosmos (Cosmos bipinnatus) leaves in Nonsan, Korea. The causal pathogen was isolated and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pproach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hogen matched well with the Alternaria cosmosa and also easily distinguishable from Alternaria zinniae reported from cosmos seeds by producing branched beak. Phylogenetically, the pathogen could not be distinguished from A. passiflorae based on the sequence analysis of a combined data set of Alt a1 and gpd genes. However, A. passiflorae was distinguished from the present species by having conidiophores with 4 to 5 conidiogenous loci.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sent Alternaria species is A. cosmosa.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the isolate was pathogenic to the leaves of Cosmos bipinnatu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lternaria blight disease caused by A. cosmosa on cosmos in Korea.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꽃으로부터 phenolic 화합물의 분리 동정과 항아토피 효과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lowers of Cosmos bipinnatus and their anti-atopic activity)

  • 전형주;김형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215-219
    • /
    • 2022
  • 코스모스 꽃을 MeOH : H2O = 4 : 1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water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SiO2)과 octadecyl 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NMR, MS 및 IR 등의 스텍트럼 데이터를 통해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benzyl O-β-ᴅ-glucopyranoside (1)와 and 2-phenylethyl O-β-ᴅ-glucopyranoside (2)로 동정하였다. 분리한 두 화합물의 자외선(UVB)으로 광노화가 유도된 HaCaT 세포주를 이용한 항아토피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1-1,000 ㎍/mL의 농도범위에서 2종의 화합물에서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TARC생성억제활성을 통한 항아토피 활성결과에서는 2종의 화합물에서 모두 농도의존적인 TARC 억제활성이 나타났지만, 특히 화합물 1에서 낮은 농도범위인 10 ㎍/mL에서도 유의적인 활성이 나타났으며, 다른 농도범위에서도 타 화합물에 비해 억제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항아토피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화과 꽃의 미백 화장품 기능성 검색 (Evaluation for the flowers of compositae plants as whitening cosmetics functionality)

  • 이영근;이정훈;이나영;김남균;정다원;;김유성;김형근;;박하승;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5-11
    • /
    • 2017
  • 18종의 국화과 식물의 꽃을 MeOH로 추출하였다. 농축한 추출물은 용매의 극성을 이용하여 n-hexane, EtOAc, n-BuOH 및 물 분획으로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하여 총 페놀 양, 총 플라보노이드 양, DPPH radical scavenge 효과 및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쑥부쟁이(Aster yomena)의 n-hexane 및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White)의 n-hexane 분획,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의 n-hexane 및 EtOAc 분획에서 총 페놀양이 높게 나타났으며, 쑥부쟁이(A. yomena)의 EtOAc의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의 EtOAc 분획, 프로기(C. morifolium Froggy)의 EtOAc 분획, 그리고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의 EtOAc 분획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양이 높게 나타났다. 쑥부쟁이(A. yomena)의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의 EtOAc 분획, 옐로우마블(C. morifolium Yellowmable)의 EtOAc 분획, 그리고 로사(C. morifolium Rosa)의 MeOH 추출물이 DPPH radical을 효과적으로 포획하였다. 서양들골나무(C. chinensis)의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의 EtOAc 분획,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의 EtOAc 분획 그리고 홍심(C. morifolium Hongsim)의 EtOAc 분획이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였다. 수율 및 위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쑥부쟁이(A. yomena),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 및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 의 다섯 품종이 미백물질개발을 위한 좋은 자원으로 판단되었다.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계절식물의 개화시기 변화 (Changes of Flowering Time in the Weather Flora in Susan Using the Time Series Analysis)

  • 최철만;문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9-374
    • /
    • 2009
  • To examine the trend on the flowering time in some weather flora including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Cosmos bipinnatus, and Robinia pseudo-acacia in Busan, the changes in time series and rate of flowering time of plant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time series analysi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owering time and the temperature, changing pattern of flowering time was very similar to the pattern of the temperature, and change rate was gradually risen up as time goes on. Especially, the change rate of flowering time in C. bipinnatus was 0.487 day/year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In flowering date in 2007, the difference was one day between measurement value and prediction value in C. bipinnatus and R. pseudo-acacia, whereas the difference was 8 days in P. mume showing great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plants. Flowering time was highly related with temperature of February and March in the weather flora except for P. mume, R. pseudo-acacia and C. bipinnatus. In most plants, flowering time was highly related with a daily average temperature.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flowering time and a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P. persica, otherwise the correlation between flowering time and a daily maximum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Pyrus sp.

고속도로 비탈면 녹화 시험시공지 조사 연구 - 당진대전선 서세종 IC 비탈면 녹화 시험시공지에 대한 시공 4년 후 시점의 추적조사 - (Study on Experimental Construction Monitoring for Revegetation on the Slope of an Expressway - Follow-up Study on the Experimental Area of Revegetation, the Slope of Dangjin Daejeon Expressway (Seosejong IC), Four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

  • 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23-132
    • /
    • 2016
  • The study was to introduce the revegetation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andscape in October, 2012 on the slope; two and four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the slope was examined to see the status of the revegeta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result from examining the soil on the slope, the soil was Loamy sand; which infers that the soil is in a poor condition for improving the scener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base materials, the soil acidity was pH 6.4 to 6.7; and the soil hardness was 21 to 24mm (hardness quotient of soil), this can be considered a favourable condition, which has no effec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When it comes to the discovery of the species in the area, Lotus corniculatus var., Silene armeria L., Papaver rhoeas, Trifolium pratense L. developed and grew in spring after two years. And in the summer, Lotus corniculatus var., Dianthus chinensis L., Cosmos bipinnatus, Coreopsis drummondii L., Trifolium pratense were founded. And there were Lotus corniculatus var., Dianthus chinensis L., Aster yomena, Coreopsis tinctoria, Trifolium pratense L. in the autumn.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conducting after four years, Lotus corniculatus var., Dianthus chinensis L., Silene armeria, Cosmos bipinnatus, Coreopsis drummondii L., Papaver rhoeas, Trifolium pratense L. were founded in the spring, and Lotus corniculatus var., Dianthus chinensis L., Cosmos bipinnatus, Coreopsis drummondii L., Trifolium pratense grew in the summer. Lotus corniculatus var., Dianthus chinensis L., Astragalus sinicus, Aster yomena, Coreopsis tinctoria, Trifolium pratense L. were discovered in the autumn. Among the exotic species founded in the area, were Festuca arundinacea, Lolium perenne, Festuca rubra. When it comes to the protection of vegetation and dominance, Lotus corniculatus var., Metaplexis japonica, Coreopsis drummondii L. are the dominant species among the spring plants; and Lotus corniculatus var., Trifolium repens L., Erigeron annuus (L.) Pers. were the dominant plants in the summer. In the autumn, Lotus corniculatus var., Coreopsis drummondii L., Poa pratensis appear to be the dominant plants. The colonies of Pinus densiflora and Castanea crenata var. were formed around the South Sejong IC. Part of the area is occupied by the colony of Alnus hirsuta Turcz. ex Rupr. In terms of shrub, there were Indigofera pseudo-tinctoria, Robinia pseudoacacia, and Rosa polyantha var. genuina NAKA. As ground cover plants, Sasa borealis, Rubus crataegifolius Bunge were founded.

Entyloma cosmi에 의한 코스모스 흰깜부기병 발생 (Occurrence of White Smut Caused by Entyloma cosmi on Cosmos bipinnatus in Korea)

  • 박지현;조성은;박미정;홍선희;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50-254
    • /
    • 2012
  • 2011년 7월 남양주에서 코스모스에 흰깜부기병이 크게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중부지방의 코스모스 집단식재지 9곳을 답사한 결과, 모두 50% 이상의 발병률을 보였다. 초기 병징은 잎에 담녹색이거나 퇴색부위가 생기고, 이어서 병반에는 흰 곰팡이가 서릿발처럼 밀생하였다. 각 병반이 융합되고 괴사되면서 식물체의 관상적 가치는 크게 훼손되었다. 분생포자다발은 잎 뒷면에 생기나 발병 후기에는 앞면에서도 관찰되었다. 분생포자경은 10-40개 정도가 다소 빽빽한 다발을 형성하며, 무색이며, 대부분 기름방울을 가지며, 길이 $20-45{\mu}m$에 폭 $2-4{\mu}m$이며, 꼭대기는 대체로 둥근 편이며, 분생포자흔은 뚜렷하지 않았다. 분생포자는 단생하며, 소시지 모양이며, 무색이며, 단세포이며, 대부분 기름방울을 가지며, 위쪽은 둥글며, 아래쪽은 둥글거나 절단형이며, 길이 $17-24{\mu}m$에 폭 $3.5-5{\mu}m$이며, 배꼽은 뚜렷하지 않았다. 포자퇴는 둥글거나 길쭉하며, 초기에는 희끗하게 보이나 후기에는 갈색의 점처럼 보였다. 겨울포자는 잎 조직 속에 박혀있으며, 근원형이거나 타원형이며, 무색에 가깝거나 옅은 황갈색이며, 길이 $12.5-20{\mu}m$에 폭 $10-15{\mu}m$였다. 이러한 균학적 특징은 코스모스 흰깜부기병균 E. cosmi V$\acute{a}$nky, Horita & Jage와 일치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E. cosmi에 의한 코스모스 흰깜부기병의 최초 보고이다.

추출 방법에 따른 남구절초와 코스모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 in Extracts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yezoense and Cosmos bipinnatus)

  • 우정향;신소림;장영득;이철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62-468
    • /
    • 2010
  • 항산화 활성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는 남구절초($Dendranthema$ $zawaskii$ var. $yezoense$)와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지상부의 항산화 물질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추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추출수율은 두 종 모두 초음파추출물에서 우수하였으며, 환류냉각추출물보다 1.11-1.92배 증가되었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초음파추출물에서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은 함량은 45분 동안 초음파추출한 코스모스에서 $80.70mg{\cdot}g^{-1}$ DW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5분 동안 초음파추출한 남구절초에서 $50.41mg{\cdot}g^{-1}$ DW로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거나 환류냉각추출물이 다소 우수한 경향을 보였으며, 환류냉각추출한 코스모스 지상부 추출물의 소거능($RC_{50}=0.135mg{\cdot}mL^{-1}$)이 가장 우수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남구절초와 코스모스 모두 초음파 15분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각각 $RC_{50}$=0.159, $0.139mg{\cdot}mL^{-1}$). $Fe^{2+}$ chelating효과는 30분 동안 초음파추출한 남구절초 지상부에서 가장 높았다($RC_{50}=0.803mg{\cdot}mL^{-1}$). 남구절초 지상부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환류냉각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코스모스 지상부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45분 동안 초음파추출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연구 결과, 식물 종과 목표로 하는 항산화 효과에 따라 추출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코스모스 추출물의 항균활성 성분 탐색 (Identifying antibacterial activity components of cosmos flower extracts)

  • 김미정;안승현;박세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249-257
    • /
    • 2020
  • 본 연구는 코스모스꽃 추출물이 박테리아에 대해서 항균 활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항균 효과를 내는 물질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흰색, 분홍색, 자주색의 코스모스꽃이 4종의 박테리아인 S. aureus, S. epidermidis, P. aeruginosa, E. coli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는지 접종 후 24 h 동안 관찰하였다. 3종의 꽃 추출물 중에 EtOAc층 분획물에서 4개의 박테리아에 대해 가장 우수한 항균 활성이 관찰되었고 S. aureus에 대해서는 CHCl3층 분획물도 효과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흰색 코스모스꽃 silica gel Fr. 1과 분홍색 코스모스꽃 silica gel Fr. 2, 자주색 코스모스꽃 silica gel Fr. 1은 0.1 mg/mL에서 최소저해농도가 나타났다. 이 분획물들과 코스모스 내에 존재할 것으로 유추되는 apigenin 간의NMR과 HPLC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통해서 유효 성분내에는 apigenin구조 요소가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