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brand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2초

상표 원산지와 생산 원산지의 일치성이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ngruity between Country-of -Origin of Brand and Country-of-Origin of Production on Consumers' Product Preference)

  • 황병일;김범종
    • 산학경영연구
    • /
    • 제15권
    • /
    • pp.133-15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가 소비자의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소비자의 정보처리 관점에서 상표원산지와 생산원산지 정보의 일치성(congruity)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표는 같지만 국가를 달리한 제품을 사진으로 나타낸 실험자극을 개발하여 응답자에게 제시하고 제품의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제품은 관여도, 이성-감성, 사적-공적 개념 특성을 반영하여 녹음기, 스포츠화, 화장품, 휴지를 선정하였으며, 원산지로는 선진국(미국, 일본, 프랑스), 한국, 후진국(말레이시아)를 선정하였다. 원산지간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변량 반복측정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두 제품간의 선호도 차이를 위하여 paired-t 검증이 사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저관여이면서 사적 제품으로 판단되는 휴지를 제외하고 모든 제품에서 선진국 상표와 제품이 선호되었다. 즉, 다양한 제품특성을 반영한 제품군에서 원산지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제품선호도에서 상표원산지와 생산원산지 간에 정보 일치성(congruity)에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였는데 상표원산지와 생산원산지간에 정보일치성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보다 선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원산지의 정보 일치성이 제품선호도에 있어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제품특성의 반영과 정보 일치성으로 원산지효과를 이해하게 하는 데 기여하여 원산지효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한국 화장품 브랜드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 특성이 한류 스타 애착 및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Hallyu Stars as Advertisement Models of Korean Cosmetics Brands on Hallyu Stars Attachment and Brand authenticity - Focused on Chinese consumers -)

  • 이수희;정갑연
    • 국제지역연구
    • /
    • 제20권2호
    • /
    • pp.141-172
    • /
    • 2016
  • 본 연구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의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를 휴먼브랜드로 간주하고, 광고모델로써 휴먼브랜드의 특성인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친밀성, 유사성, 호감성이 중국소비자들의 한류 스타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고, 애착을 가진 중국소비자들이 한류 스타가 광고한 한국 화장품 브랜드에 대해 한국 화장품 기업의 제품, 판매인, 기업 자체 등을 포함하고 있는 진정성을 인식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총 1개월 간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화장품과 관련된 정보를 활발하게 공유하는 대표적 설문 조사사이트(http://www.sojump.com)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94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 화장품 기업의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의 특성 중 신뢰성, 매력성, 유사성은 한류 스타에 대한 중국소비자들의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전문성, 친밀성, 호감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류 스타에 대한 애착은 한류 스타가 광고한 브랜드 진정성 즉, 제품, 판매인, 기업 진정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취할 수 있는 광고모델 전략 및 자사 브랜드 진정성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화장품 브랜드의 색체 디자인 컨셉 개발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자연성 화장품 '프리메라'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thodology for developing Color Design Concepts for the Case of Cosmetic Brand 'Primera')

  • 권은숙;김유진;김종일;송경석;최유미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감성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 of the 2000 Spring Conference of KOSES and International Sensibility Ergonomics Symposium
    • /
    • pp.417-425
    • /
    • 2000
  • 시각적 의미의 개발에 바탕을 둔 색채 디자인 연구는 인간의 감성을 중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여, 보다 확장적이고 다양한 연구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브랜드의 개발과정에서 색채연구의 기능과 역할은 보다 새로운 차원으로 확대,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허브 식물이 가진 치료 효과와 심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감성적 요인을 이용하여, 다차원적 감성을 활용한 색채 연구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자연성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허브 식물과 사용자 간의 감성적 교류에 대한 다차원적 특성은 '프리메라'라는 자연성 화장품 브랜드를 위한 감성적 이미지 개발 전략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되었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여성의 피부 특성에 따른 세 종류의 시각적/촉각적 색채 이미지 접근 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활용 색체 팔레트를 개발함으로써 프리메라가 갖고 있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확고히 전달할 수 있는 감성 언어 체계를 개발하였다.

  • PDF

대학생의 우유 소비행태분석 (Analysis of Milk Consump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이소영;김종숙;신용광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1호
    • /
    • pp.87-98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milk consump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espondents mainly purchase milk with a capacity of 900 to 1,000 ml at the hypermarket. However,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stores mainly purchase 200 ml capa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n milk purchase factors, milk purchas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nutritional and cosmetic attributes. Nutritional properties include nutritional ingredients, sterilization method, bio-origin, quality, HACCP labeling, milk fat ratio, etc., and external properties include brand, manufacturer, packaging/package design, and manufacturing date. In order to expand the milk consumption of the young generation, I think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marketing strategies.

해외 현지인 연계 대리구매 결정요인 분석 - 중국 소비자와 한국 화장품 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Overseas Purchases via Agents :Analyzing Chinese Consumers' Purchases of Korean Cosmetics)

  • 주소봉;조혁수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9-150
    • /
    • 2017
  • 한류라는 문화 콘텐츠가 아시아를 중심으로 다양한 국가에 전파되고 있다. 한국 드라마 주인공이 착용한 의상과 화장품은 중국 젊은 소비층에게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경제성장과 함께 소비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동시에 중국 소비자의 외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도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류의 영향으로 품질 좋고 합리적인 가격의 한국 화장품이 중국 젊은 소비자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 소비자의 화장품 구입 관련 다양한 유통경로 중 최근에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 바로 해외 현지인 연계 대리구매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화장품 시장 관련 해외 현지인 연계 대리구매 결정요인에 대해 이론적 배경과 함께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판매가격, 기능성 수준이 높을수록 대리구매 비중이 증대되었다. 이와 함께 수입국 호감도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소비자 특성, 제품 특성과 대리구매 사이의 관계가 조절될 수 있음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 PDF

Kano 모델을 이용한 화장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믹스요인에 관한 연구 (Marketing Mix Factors affecting on Purchasing Intention of Cosmetics Users by Using Kano Model)

  • 최영진;장규순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6호
    • /
    • pp.153-161
    • /
    • 2014
  • 본 연구는 Kano 모델을 이용하여 화장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믹스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적 연구를 바탕으로 마케팅 믹스 요인 분류에 따라 긍정적 질문과 부정적 질문을 동시에 설문하여 매력적 품질, 일원적 품질, 당연적 품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Timko's Analysis 고객 만족과 불만족 계수를 이용한 화장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믹스 요인을 분석한 결과 촉진전략 중 가격할인 정책과 가족/ 주변인의 추천 전략이 매력적 품질로 나타났다. 제품 전략의 효능과 효과, 사용감, 피부적합성은 일원적 품질로 나와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면 선형적으로 그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제품 측면의 용기, 포장 디자인, 색상, 브랜드 인지도와, 가격 측면의 낮은 가격, 중간가격 수준과 유통 측면의 구매경로, 촉진 측면의 매체 광고 에 대해서는 무관심 품질로 나타나서 이들 요인에 대하여는 과도한 예산을 집행하는 것은 투입대비 효과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 PDF

웹 미디어에 나타난 커스터마이저블 패션 브랜드의 유형 및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Strategies of Customizable Fashion Brands on Web Media)

  • 이미숙;정경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1호
    • /
    • pp.134-14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shion brand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on platform of users, to assess the types and strategies of mass customization(MC). Most fashion brands sell one professional content: Shoes brand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bags, unisex wear, and menswear. In consumer's design selection elements, changes in color and materials were the most common. For the personalization service elements, monogram service was the most common. The results of MC types analysis were as follows, Customized Standardization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ailored Customization, Pure Customization, and Segmented Standardization. For the types according to changes in products and expression methods, Cosmetic was the most common. An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modulation, Modularizers were the most common. For Creativity, brands in the making stage were the most common. For Flexibility, although brands different methods, high flexibility by modularizing design elements of products and accomplishing various design through participation. The Ease of use for various expression was generally high, parallel to Flexibility. For Durability, because consumers could receive end products only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assembly stage in the on-line purchase, their continuous participation was not possible, so they participated only once. The typical types and strategy of MC were analyzed. The Customized Standardization type was the most common in shoes, bag, and womenswear brands. It was the Cosmetic type which could change colors and materials, the Modularizers, and had high Flexibility and Ease of use and low Durability.

피부관리 애플리케이션 수용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Skin Care Application Adoption)

  • 정은영;노주영;박동균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1-60
    • /
    • 2016
  • Consumers who use mobile applications for their skin care are increasing due to increasing interest in skin care and smart phone use. A survey was conducted to select popular skin care mobile applications to be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targeting 1,000 men and women in South Korea who are interested in their skin care. Questioned items included skin care awareness and recognition, skin care type, and the intention of using skin health care mobile services. The respondents thought the best skin as 'Flawless skin (52.3%)'. Also, 'Skin trouble' and 'Skin aging' were their major concerns. 47.1% of the respondents used mobile skin care applications, and 56.6% intended to try new mobile skin care services. The results on interesting field of skin ca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marital status, and annual average household income. Moreover, the results on effort made for skin ca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y wanted the functions such as 'Review on cosmetic products by brand (23.8%)', 'Self skincare method (16.8%)', 'Continuous monitoring service (16.2%)', 'Information on cosmetic products (13.4%)'.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reliable as basic material for skincare mobile service area. Further studies could be focused on developing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needs and how it should be applied.

남성집단의 미디어정보이용도가 외모인식과 메트로섹슈얼 성향을 통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en's Media Information Utilization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Mediated Effect of Appearance Awareness and Metrosexual Tendency)

  • 홍금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04-712
    • /
    • 2013
  • Contemporary young men are consumption-oriented, pursue ideal male images displayed in commercials, and are highly interested in fashion, beauty, and appearance. This metrosexual tendency(which values appearance) is largely influenced by mass media. This study examines how men's media information utilization influences appearance awareness and metrosexual tendency as well as how these two variables influence cosmetics consumption and fashion product consumption behavi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trosexual tendency consists of four dimensions: fashion involvement, pursuit of individuality beyond sexuality, cognition of fashion taste, and preference of a high quality product. The sum of variance is 65.594%. Second, media information utilization influenced metrosexual tendency and metrosexual tendency influence cosmetic consumption, brand-sensitive consumption and commercial-sensitive consumption; however, it did not affect price-sensitive consumption. Third, media information utilization affected appearance awareness; however, appearance awareness did not affect metrosexual tendency. In conclusi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r men in their 20s is clearly affected by media.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the metrosexual desire to express identity through fashion. Men in their 20's do not take care of their looks because of the social perception of appearance (as related to showing off their competence or pursuit of social success); rather, they have a desire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nd personally enjoy grooming and maintaining their appearance. Therefore, we can expect increased beauty and fashion expenditures.

중년여성의 외모관심도 및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의 50대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Middle-aged Women's Concern of Appearance and Buying Behavior of Cosmetics - With Special Reference to Women in their Fifties in the Kyungnam Region -)

  • 이상영;이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01-211
    • /
    • 2009
  • 경제성장에 힘입어 경제적 안정을 확보한 중년여성들이 점차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의 화장품 산업도 중년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상품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중년층의 사회적 활동과 다양한 여가 활동, 그리고 전반적인 미의식의 고취 등으로 인하여 중년층의 외모에 대한 관심도는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구매심리를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외모관심도 수준을 파악하고 그 수준정도가 화장품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군집에 대해 각각의 인자 점수에 대한t-test와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모관심도가 높은 유형 1(108명)과 외모관심도가 낮은유형2(91명)으로 나타났다. 2. 화장품 구매행동 요인으로는 유행선도형. 충동구매형, 브랜드의존형, 심사숙고형, 계획구매형, 그리고 브랜드충성형 등 6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3. 화장품 구매행동에 외모관심도 수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타나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