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Overseas Purchases via Agents :Analyzing Chinese Consumers' Purchases of Korean Cosmetics

해외 현지인 연계 대리구매 결정요인 분석 - 중국 소비자와 한국 화장품 산업을 중심으로 -

  • Zhou, Xiao-Feng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Hyuk-Soo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주소봉 (충남대학교 경상대학 무역학과 대학원) ;
  • 조혁수 (충남대학교 경상대학 무역학과)
  • Received : 2017.07.16
  • Accepted : 2017.09.1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Hallyu, or Korean Wave, has recently been proliferating around the world focusing on Asia. With the development of China's economy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people's living standards, Chinese consumption has been growing quickly. In cosmetic industry, Chinese consumers tend to prefer international brands including Korean cosmetics. There are various ways for Chinese consumers to purchase international brand cosmetics. One of them is overseas purchase via buying agen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 various determinants of the overseas purchase. Based on empirical findings, product price and functionalit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erms of the overseas purchase. Also, moderating effects of an external factor(importing country's favorability) was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sults of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openness and overseas purchase via buying agent can be positively moderated by the favorability.

한류라는 문화 콘텐츠가 아시아를 중심으로 다양한 국가에 전파되고 있다. 한국 드라마 주인공이 착용한 의상과 화장품은 중국 젊은 소비층에게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경제성장과 함께 소비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동시에 중국 소비자의 외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도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류의 영향으로 품질 좋고 합리적인 가격의 한국 화장품이 중국 젊은 소비자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 소비자의 화장품 구입 관련 다양한 유통경로 중 최근에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 바로 해외 현지인 연계 대리구매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화장품 시장 관련 해외 현지인 연계 대리구매 결정요인에 대해 이론적 배경과 함께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판매가격, 기능성 수준이 높을수록 대리구매 비중이 증대되었다. 이와 함께 수입국 호감도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소비자 특성, 제품 특성과 대리구매 사이의 관계가 조절될 수 있음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중현(2016), "중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위조근절을 위한 통합적 위조방지 전략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pp.81-112.
  2. 김단(2012), "제품 및 체험요인이 화장품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누빙빙(2014), "한국 화장품 기업이 중국시장 진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동염(2011), "중국 경제 발전하의 소득 및 소비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박상욱(2006), "브랜드 마케팅 활동이 구매행동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하영(2016), "기능성 화장품 인식수준에 따른 사용실태와 제품 만족도",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사여랍(2016), "공항 면세점 점포 이미지 속성이 요우커의 고객만족, 재구매 의도 및 구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자오차오(2015), "한국 화장품기업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장려민(2011), "한국산 화장품의 지각된 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조혁수.이정선(2016), "소비자 특성이 해외직접구매 관심도 결정에 미치는 영향: 물류인프라 및 시장 불확실성의 조절효과",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3호, 한국통상정보학회, pp.23-43.
  11. 조혁수.최하눌(2013), "무역 B2B e-Marketplace 경쟁력 강화 요인 분석", 전자무역연구, 제11권 제4호, 전자무역연구소, pp.69-88.
  12. 최윤영(2002), "유행선도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왕용(2013), "한국 화장품 산업의 중국시장 진출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양뤼(2015), "타문화에 대한 호감도, 국가이미지, 브랜드자산 및 제품구매의도간의 관계에 관한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유환(2016), "한중 FTA가 한국 화장품의 대 중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순봉(1996), "품질경영론", 법문사.
  17. 이지우(2016), "중국 화장품 시장 비관세 장벽 분석 및 대응 전략",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홍연(2003), "국가이지미가 bi-national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희진(2014), "중국인의 한류드라마 시청 정도가 한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한류 호감도와 문화 유입 수용성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한국컨텐츠학회, pp.514-526.
  20. Barclay, D., Thompson, R. and Higgins, C.(1995),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 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Vol.2 No.2, pp.285-309.
  21. Sharma, S., Shimp, T.A. and Shin, J.(1995), "Consumer Ethnocentrism: A Test of Antecedents and Moderator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1 No.4, pp.323-330. https://doi.org/10.1007/BF02894524
  22. Williams, R.M.(1947), "The Reduction of Intergroup Tension",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Bulletin, Vol.57 No.53, pp.15-28.
  23. Zhang Yuxing (2013), "한국화장품의 중국시장 진출방안",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楊旭升․李敏華․曾琦 (2015), "中國留學生海外代購現象的現狀啓示", 江蘇商論, 第8期, pp.8-23.
  25. 林波․徐林萍 (2012), "化粧品海外代購的現況及營銷策略分析", 商務營銷, 第11期, pp.45-68.
  26. 程思瑤.田昊 (2012), "我國网絡海外代購發展及運作模式分析", 北方經貿, 第1期, pp.47-57.
  27. 王玉中 (2010), "中國經濟与騰飛", 經濟管理, 第6期, pp.43-57.
  28. 楊祁 (2009), "中國化妝品産業的發展", 日用化學工業, 第2期, pp.5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