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ceutical activity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3초

무당벌레에서 유래된 HaGF peptide를 이용한 염증 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HaGF peptide of Harmonia axyridis)

  • 김동희;김현정;이진영;황재삼;김인우;이슬기;정현국;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5-5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당벌레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항균 펩타이드 유전자의 일부 영역인 HaGF를 이용하여 대식세포의 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는 LPS 처리 후 한 시간 뒤에 HaGF를 처리를 하여,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인 5, 25, 50, 100 ${\mu}g/m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HaGF가 염증성 cytokine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iNOS와 COX-2 역시 100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51%, 49% 저해율을 보였다. 따라서, HaGF는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서의 염증 반응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천연 에센셜 오일의 주요 구성물질 분석과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Major Compound Analysis and Assessment of Natural Essential Oil on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 신유현;김현정;이진영;조영제;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44-13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산업에 이용 중인 천연 에센셜 오일 8종(라벤더, 티트리, 로즈마리, 주니퍼베리, 편백, 싸이프러스, 시더우드, 파인)을 가지고 물리 화학적 분석과 생리활성 및 항균효과를 실험하였다. 라벤더오일의 경우 에스테르 성분인 linalyl acetate가 48% 함유되어 있었으며, 5,000 ppm의 농도에서 22.36%의 항산화능을 보였다. 티트리 오일의 경우 0.5% 농도에서 43.94%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항균효과 또한 뛰어났다. S. aureus, S. epidermidis, S. mutans, C. albicans 균에 각각 6, 3.5, 6.5, 5 mm의 저해환이 측정되어 매우 우수한 품질의 에센셜 오일임이 확인되었다. 편백 오일의 경우 pH가 2.64로 가장 산성도가 높았으며, 세스퀴테르펜 성분이 19.20%로 확인되었다. 시더우드 오일의 경우 샘플 중 비중과 굴절률이 가장 높았으며 전체성분의 99.73%가 세스퀴테르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5,000 ppm 농도에서 39.68% 항산화능을 보였다. 특히 1% 농도에서 P. acnes, P. ovale, C. albicans 균에 각각 3.5, 6, 6 mm의 저해환이 측정되어 매우 탁월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반면 세스퀴테르펜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교적 항산화능도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성분조성보다는 각각의 항산화 성분 유무에 따라 항산화능이 결정된다고 판단되며, 마찬가지로 항균력 또한 테르펜의 성분조성보다는 각각의 항균성분의 유무에 따라 항균력이 결정된다고 사료된다.

흑진미(Oryza sativa cv. Heugjinmi)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 연구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Oryza sativa cv. Heugjinmi Extracts)

  • 이주성;최은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1-14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흑진미(Oryza sativa cv. Heugjinmi)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미백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항산화 및 미백 관련 인자들의 효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SOD 유사 활성, FRAP, 환원력,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elastase저해 활성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열수 추출물에서는 효과가 없었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59%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은 B16F10 세포주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농도인 25, 50, 100 ㎍/mL 농도에서 cellular tyrosinase와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tyrosinase, TRP-1, TRP-2의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는 최고농도인 100 ㎍/mL에서 각각 37%, 51%, 34%의 억제율을 보였다. 따라서 흑진미(O. sativa)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황련해독탕이 NC/Nga Mice에서 유발된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Studies of Hwangryunhaedok-tang on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 김보애;김미소;강보미;변선희;박일향;박지하;정지욱;안은미;정현아;장정희;배원;이하영;최필녀;박찬익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9-65
    • /
    • 2008
  • Objectives : HRHDT has been known as a useful prescription with antibiotic,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d immunosuppressive activity. To evaluate anti-atopic dermatitis effect of HRHDT, we treated HRHDT in NC/Nga mice model skin induced contact hypersensitivity. Methods : Contact hypersensitivity, a local inflammatory response of skin, was induced by spreading the back skin of NC/Nga mice with 0.4${\sim}$1% DNCB. HRHDT was prepared by dissolving 3% HRHDT in solution and treated 3 weeks on the back skin. Results : HRHDT significantly reduced TEWL and erythema by 0.4${\sim}$1% of DNCB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group. HRHDT also reduced IgE on serum obtained from blood of DNCB-treated mic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HRHDT could be used as a pharmaceutical material with anti-atopic dermatitis effect by reducing IgE in contact, hypersensitivity atopic dermatitis NC/Nga mice model by DNCB.

  • PDF

경옥고(瓊玉膏) 가미방(加味方) 효모(酵母) 발효물(醱酵物)이 피부(皮膚) 노화(老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Anti-aging Effects Saccharomyces Fermented Modified Kyungohkgo Extract on Skin)

  • 최재환;김형만;송영숙;박선규;김진준;이천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9-225
    • /
    • 2007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anti-aging effects on skin with Saccharomyces fermented modified Kyungohkgo extract (SFKE). Methods : Fermented modified Kyungohkgo extracts by 14 different kinds of microorganism were prepared and most effective Saccharomyces fermented modified Kyungohkgo extract among these was selected for anti-aging agent. We measured various effects related to skin such as scavenging activity against free radical, cell proliferation, collagen synthesis and toxicity of SFKE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modified Kyungohkgo extract (KE). Results :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ell proliferating ratio of SFKE were 2 and 8 times higher than those of KE. The SFKE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the collagen synthetic ratio compared with KE treated group. SFKE showed no toxicity at all tested concentration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our study propose that SFKE have good anti-aging effects on skin.

  • PDF

화장품 개발을 위한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Linnaeus) 가지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or Cosmeceutical Development from Lagerstroemia indica L. Branch)

  • 이병근;김종협;함상경;이창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4
    • /
    • 2014
  • 배롱나무 가지가 기능성화장품 소재 및 천연물 의약품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해 보고자 그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 Nitrite 소거작용,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배롱나무 가지의 아세톤 추출물은 50 ppm에서 73%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A는 50 ppm에서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준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은 50 ppm에서 78% 이상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으며 BHA의 경우 50 ppm에서 96% 이상 활성을 보여준다. Nitrite 소거작용 측정은 대조군인 합성항산화제 BHA와 비교하여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배롱나무 가지 추출물은 50 ppm의 저농도에서 63% 이상의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1000 ppm에서 73%의 활성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여 저농도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대조군인 천연물 (-)-epigallo-catechin-3-gallate와 비교하여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collagen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50ppm의 저농도에서도 85% 이상의 높은 collagen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대조군인 인공 합성 항산화제인 BHA와 비교하여 배롱나무 가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소거작용 그리고 주름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산업 및 천연물 의약품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적합한 천연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활성능과 주름저해 효능평가 (Evaluation of Whitening Activity and Wrinkl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Nelumbinis Rhizomatis Nodus)

  • 장영아;염보슬;김세기;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192-1199
    • /
    • 2019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근의 마디부분을 70%에탄올로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미백효능 및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의 미백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세포(B16F10 cells)의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주는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주름활성억제 평가를 위해 collagenase inhibi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또한 UVB로 유도된 섬유아세포(CCD-986sk cells)의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matrix metalloprotease (MMP-1) inhibition 및 procollagen synthesis를 평가하였다. 미백활성 평가를 알아보기 위한 western bolt 결과,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두 단백질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합성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collagenase inhibiion 실험의 결과, $500{\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인 EGCG와 효능이 비슷한 8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Procollagen synthesis 결과 UVB 자극군에 의해 콜라겐 합성은 68.8%로 감소되었으며 시료의 $25{\mu}g/ml$의 농도에서 80.2%의 콜라겐 합성에 회복능을 보였다. MMP-1 inhibition 실험결과는 $25{\mu}g/ml$ 농도에서 20.2%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는 NRN의 미백 및 주름 억제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의 항산화능과 Raw 264.7 대식세포의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capacity and Raw 264.7 macrophag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Tenebrio Molitor)

  • 유재묘;장재윤;김현정;조용훈;김동인;권오준;조영제;안봉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90-89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갈색거저리의 추출물에 따른 약리활성에 대한 검증 및 효능 평가이다. 갈색거저리의 항산화, 항염증에 대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염증 반응은 자극이 가해지면 histamin, serotonin, prostaglandin과 같은 혈관 활성물질에 의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어 염증을 유발하고 cytokine, free radical, lysosomal enzyme 등 다양한 매개 인자가 관여한다. 자극에 의한 macrophage cell의 염증반응은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interleukin-6(IL-6), $interleukin-1{\beta}$($IL-1{\beta}$)와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이 유도되고,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와 cyclooxygenase-2(COX-2)에 영향을 받는 유전자의 발현을 자극하게 되어 nitric oxide(NO) 및 $PGE_2$등의 염증 인자가 생성된다. 이에 따라 갈색거지리 추출물의 항염증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 iNOS, COX-2, $PGE_2$, MAPKs의 단백질 발현억제 작용을 확인 하였다. 그 결과 TDW 처리군에서 iNOS 발현율이 19.7%, COX-2의 발현율은 23.2%의 값을 나타내었고, $PGE_2$의 저해 경로를 보기 위해 COX-2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측정한 결과 최고 농도인 $100{\mu}g/mL$에서는 약 60%의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TDW는 염증 생성 기전에 작용하여 이 활성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초고압 및 초음파 추출공정을 이용한 매자나무 수피의 향장활성 증진 (Enhancement of Cosmeceutical Activities of Berberis koreana Bark by High Pressure and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Processes)

  • ;하지혜;최운용;서용창;김지선;김영옥;차선우;김진철;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4-65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of cosmeceutical activities of Berberis koreana bark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The extracts are WE (water extract at $100^{\circ}C$, control), USE (ultrasonification for 1 hours at $60^{\circ}C$ with water), HPE (high pressure for 5 minutes at $60^{\circ}C$ with water) and USE + HPE (ultrasonification process for 1 hours after high pressure for 5 minutes at $60^{\circ}C$ with water), respectively. The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was in the range of 24.02~26.94% at 1.0 mg/ml concentration. The USE + HPE showed the lowest cytotoxicity. Compared to the W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USE + HPE increased to 121.5% and 154.2%. The USE + HP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1.0 mg/ml concentration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inhibition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test, respectively. Tyrosinase inhibition of WE, USE, HPE and USE + HPE at 1.0 mg/ml concentration was measured as 17.72, 19.62, 22.83 and 24.16%, respectively.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e USE + HPE were higher than 20.8%~29.5% of the WE.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tracts from ultrasonification process after high pressure extraction has relatively high cosmeceutical activities, and that the bark of Berberis koreana could be considered as a candidate of new functional cosmetic agents.

애기뿔소똥구리 유래 CopA3합성 펩타이드의 항염증 효능에 관한 연구 (Study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pA3 Peptide Derived from Copris tripartitus)

  • 김현정;김동희;이진영;황재삼;이준하;이슬기;정현국;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8-43
    • /
    • 2013
  • CopA3를 이용하여 피부 염증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산화질소와 cytokine의 생산은 면역세포의 대표적인 염증인자이다. 세포는 LPS 처리 후 한 시간 뒤에 CopA3를 처리하였다.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인 5, 25, 50, 100 ${\mu}g/ml$를 사용하였다. CopA3는 NO, TNF-${\alpha}$, IL-$1{\beta}$, IL-6, iNOS, COX-2의 생성을 저해 시켰다. iNOS와 COX-2 역시 100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54%, 65%가 저해가 되었다. 게다가 CopA3는 염증성 사이토 카인인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을 감소 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CopA3는 염증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