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ceutical activity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초

UVB에 조사된 HaCaT Keratinocytes에서의 유색미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s 발현억제 메커니즘 (Mechanisms of Sup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UVB-Irradiated HaCaT Keratinocytes of Colored Rice Varieties)

  • 최은영;이재봉;김도훈;권용삼;천정윤;이진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62-5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선별된 유색미 5품종에 대한 자외선 조사에 따른 노화 억제 기전을 확인하고자 항산화 활성과 활성산소종(ROS) assay를 분석하였으며, 주름형성을 유발하는 효소인 MMPs와 그 upstream인 MAPK pathway(ERK, JNK 및 p38)에서의 인산화 발현을 얼마나 저해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유색미 5품종 가운데 전자공여능과 ABTS 소거활성 결과, 신토흑미 에탄올 추출물(SRE)과 흑설 에탄올 추출물(HE), SRE와 흑설 열수 추출물(HW)이 각각 뛰어난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collagenase 저해 활성 결과 HE가 전 농도에서 고르게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ROS assay에서 SE와 HE가 전 농도에서 매우 효과적인 ROS 생성억제를 나타냄에 따라 우리는 선별된 유색미 가운데 HE를 이용하여 MMPs와 MAPK의 발현억제 pathway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ro-collagen type I은 $100{\mu}g/mL$의 농도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MMP-1과 -13은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ERK와 p38의 인산화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MMPs의 mRNA 발현을 확인하기 위한 RT-PCR을 실시하였으며, MMP-1과 3의 mRNA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MMP-9는 HE를 $100{\mu}g/mL$의 농도로 처치한 경우에 발현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선별된 유색미 5종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고, 특히 HE의 주름억제 활성 효능을 확인함에 따라 기능성 식품 화장품 분야에서 주름개선 및 항노화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천연물 유래의 $5{\alpha}-Reductase$ 저해제의 개발과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의 배양을 이용한 피지분비 억제 효과 측정 ([ $5{\alpha}-Reductase$ ] Inhibitors from Native Plants and their Sebosuppressive Effects in Cultured Human Sebaceous Gland Cells)

  • 정세규;김정기;백지훈;이기무;조인식;이승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3-27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피지분비 억제 효과를 지닌 신규 화장품 원료를 대한민국 유래의 천연 식물에서 개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식물 추출물의 5alpha-reduct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자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효소 동력학적 분석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효소 동력학적 분석을 위하여 각각 쥐의 간 조직과 배양된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에서 5alpha-reductase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5-AR에 대하여 뛰어난 저해효능을 보이는 3종의 식물 추출물을 선정하였고, 이들의 피지분비 억제 효과를 배양된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수십 종의 식물 추출물 중 해송 추출물이 가장 강력한 5-AR 저해능을 나타내었으며,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에 대하여 0.005% 농도로 처리한 경우 48%의 피지 생성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해송 추출물은 피지 분비를 감소시켜 여드름이나 지루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 질환에 효과를 지닌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외선 B에 유도된 사람유래 HaCaT cells에서의 오미자 종자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Treatment with Schisandra chinensis Seeds Fractions in UVB-irradiated Human HaCaT Cells)

  • 최은영;손호용;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071-1079
    • /
    • 2019
  • 본 연구에서 우리는 오미자 종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자외선에 유도된 human HaCaT cell에서의 MMPs의 발현억제에 의한 항노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소거분석, 그리고 hydrogen peroxide 소거분석 실험을 통해, 오미자 종자의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SCEAf)이 가장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졌고, collagen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SCEAf는 $500{\mu}g/ml$의 농도에서 92.3% 이상의 저해효과를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SCEAf의 HaCaT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SCEAf는 세포에 독성이 없음을 나타낼 뿐 아니라 UVB에 손상된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 활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EAf의 HaCaT cell에서의 항노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UVB $50mJ/cm^2$에 유도된 HaCaT cell에 SCEAf를 처리한 후 MMP-1과 -3의 발현을 Western blotting과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EAf가 MMP-1과 -3의 단백질과 mRNAs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오미자 종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자외선의 손상을 받은 피부 각질형성세포에서의 collageanse 활성을 억제하여 노화를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오미자 종자가 화장품과 식품 산업에서 항노화 효과가 있는 기능성 원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잠재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도화(桃花, Prunus persica Flos)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Flos)

  • 이진영;안봉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62-169
    • /
    • 2010
  • 도화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도화의 항산화능 측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500ppm에서 90.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BHT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능 측정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1,000ppm에서 40.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능 측정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1,000 ppm에서 vitamin C와 유사한 30.0%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열수 추출물에 비해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항염증 효과 측정으로 hyaluron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열수,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에서 3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acrophage 세포를 이용한 nitric oxide (NO)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추출물 모든 농도에서 12시간 이후부터 NO 생성량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염증 유발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Propionibacterium acnes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inus koraiensis Cone Bark Extracts Prepared by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 Kang, Sun-Ae;Kim, Dong-Hee;Hong, Shin-Hyub;Park, Hye-Jin;Kim, Na-Hyun;Ahn, Dong-Hyun;An, Bong-Jeun;Kwon, Joong-Ho;Cho, Young-J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236-244
    • /
    • 2016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inus koraiensis cone bark extracts prepared by conventional extraction and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MAE). Water extracts and 50% ethanol extracts prepared using MAE were applied to RAW 264.7 cell at 5, 10, 25, and $50{\mu}g/mL$ of concentrations, and tested for cytoxicity. The group treated with $50{\mu}g/mL$ of 50% ethanol extracts showed toxic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extracts of water and ethanol were treated with 5, 10, and $25{\mu}g/mL$ concentrations. The inhibitory activity of water and 50% ethanol extracts groups were determined as 40% and 60% at $25{\mu}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We found concentration dependent decreases on inducible NO synthase.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forming inflammatory cytokines, prostaglandin $E_2$,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 (IL)-6, and IL-$1{\beta}$, was also superior in the $25{\mu}g/mL$ treate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water extracts and 50% ethanol extracts both inhibited inflammatory mediators by reduc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Therefore, The MAE extracts of P. koraiensis cone bark can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ingredient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블랙초크베리 분획물로부터의 주름억제 효과에 대한 작용기전 (Mechanisms for Anti-wrinkle Activities from Fractions of Black Chokeberries)

  • 최은영;김은희;이재봉;도은주;김상진;김세현;박정열;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4-41
    • /
    • 2016
  • 학명이 Aronia melanocarpa인 블랙초크베리는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랙초크베리에 대한 collagenase inhibition effects와 산화적 스트레스에 유도된 matrix metalloproteinase(MMP), MAPkinase 그리고 AP-1의 발현 그리고/또는 인산화와 같은 분자생물학적 메카니즘을 조사하였다. Collagenase inhibition 효과는 블랙초크베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AE)이 500 μg/ml의 농도에서 77.2% 이상의 저해효능을 나타내었고 이는 대조군인 Epigallocatechin gallate의 결과(500 μg/ml에서 83.9%)와 비교해서 유의할 만한 결과였다.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say는 AE에서 가장 농도의존적으로 ROS 생성이 감소되었고, 75 μg/ml의 농도에서 약 70%로 가장 낮은 활성산소가 생성되었다. MTT assay 결과, H2O2에 유도된 CCRF 세포에 AE를 처치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특히, AE는 H2O2에 유도된 CCRF 세포에서의 MMPs (MMP-1, -3 그리고 -9), MAPK (ERK, JNK 그리고 p38) 그리고 AP-1 (c-Fos와 c-Jun)의 발현과 인산화를 억제하였고, pro-collagen type I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따라서 블랙초크베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주름억제 및 콜라겐 생성의 효능이 있으며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 개발 산업에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흑마늘 추출물을 첨가한 화장품의 기능성 평가: Tyrosinase와 Elastase 저해 활성 및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중심으로 (Physiological Effects of Formulations Added with Black Garlic Extract on Skin Care: Oxidative Stress,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 정은영;홍양희;김선희;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62-668
    • /
    • 2010
  • 본 연구는 흑마늘을 함유한 화장품 시료에 대해 in vitro에서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과 hairless 마우스를 이용해 in vivo에서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흑마늘 화장품은 대조 화장품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피부 투과율을 나타내었으며(p<0.05, p<0.01) 흑마늘 화장품은 대조 화장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tyrosinase(p<0.05, p<0.01, p<0.001)와 elasetase(p<0.01) 활성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UVB로 증가된 피부조직내 지질 과산화물과 과산화수소의 생성에 대해 대조 화장품에 비해 흑마늘 화장품은 더 높은 억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흑마늘이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의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곤달비추출물의 항산화와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Effect of Antioxidation and Inhibition of Melanogenesis from Ligularia stenocephala extract)

  • 노언주;김윤신;김병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7-92
    • /
    • 2009
  •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ti-oxidation and whitening effects of Ligularia stenocephala extract for use as the cosmeceuticals. L. stenocephala was extracted by three different solvents which was n-Hexane, ethyl acetate, $H_{2}O$. The free radical (1,l-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of extract of L. stenocephala was in the order: ethyl acetate fraction of leaf ($IC_{50}$ value of 10.512ug/mL) > ethyl acetate fraction of stem ($IC_{50}$ value of 31.877ug/mL) > $H_{2}O$ fraction of leaf ($IC_{50}$ value of 129.194ug/m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of extract of L. stenocephala was in the order: ethyl acetate fraction of leaf ($IC_{50}$ value of 0.230mg/mL) > ethyl acetate fraction of stem ($IC_{50}$ value of 0.528mg/mL) > $H_{2}O$ fraction of leaf ($IC_{50}$ value of 0.799mg/mL).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L. stenocephala extracts was reduced 29.477% on ethyl acetate fraction of leaf, 13.583% on ethyl acetate fraction of stems. Therefore, L. stenocephala extracts may be useful as a new antioxidant and whitening agent to inhibit melanogenesis.

Fermented Unpolished Black Rice (Oryza sativa L.) Inhibits Melanogenesis via ERK, p38, and AKT Phosphoryla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 Sangkaew, Orrarat;Yompakdee, Chu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8호
    • /
    • pp.1184-1194
    • /
    • 2020
  • Melanin is a major factor that darkens skin color as one of the defense systems to prevent the harmful effects of UV light. However, darkened skin from the localized or systemic accumulation of melanin is viewed in many cultures as an esthetic problem. Consequentially, searching for anti-melanogenic agents from natural sources is very popular worldwide. Previous screening of fermented rice products, obtained from various rice cultivars fermented with different sources of loog-pang (Thai traditional fermentation starter), revealed that the highest ability to reduce the melanin content in B16F10 melanoma cells was from unpolished black rice fermented with a defined starter mixture of microbes isolated from loog-pang E1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the fermented unpolished black rice (FUBR) on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The strongest reduction of cellular melanin content was found in the FUBR sap (FUBRS). The melanin reduction activity was consistent with the significant decrease in the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The FUBRS showed no cytotoxic effect to B16F10 melanoma or Hs68 human fibroblast cell lines. It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transcript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TYRP-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Furthermore, it induced a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 of phosphorylated ERK, p38 and Akt signaling pathways, which likely contributed to the negative regulation of melanogenesis. From these results, a model for the mechanism of FUBRS on melanogenesis inhibition was proposed. Moreover,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FUBRS possesses anti-melanogenesis activity with high potential for cosmeceutical application as a skin depigmenting agent.

Phellodendron amurense의 미백물질을 이용한 화장품 특성 (Characteristics of Cosmetic with Whitening Compounds from Phellodendron amurense)

  • 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2호
    • /
    • pp.108-113
    • /
    • 2011
  • 황백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60% 에탄올추출물에서 25%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lanoma세포(B16F10)에서의 멜라닌 생합성을 측정한 결과 31.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멜라닌생성억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황백추출물에서 tyrosinase저해 활성물질을 정제하고자 Sephadex LH-20과 MCI-gel CHP-20 open column을 이용하여 용출한 결과 순수하게 정제된 활성물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정제물질을 구조 동정한 결과 미백물질은 obacunone으로 동정되었다. 정제된 obacunone은 35.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미백 활성이 비교적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황백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미백물질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을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한 결과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미백화장품의 안정성 검사를 위해 pH, 점도 및 복소탄성률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나 저장기간 60일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온도변화, 인공 및 자연광에 의한 변화, 온도순환에 의한 변화 및 냉 해동순환(Freeze & Thaw cycling)에 따른 변화들 살펴본 결과 저장 60일 동안 모든 조건에서 상의 분리와 변색, 변취 등의 변화 없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