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ugated board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8초

골판지 원지 제조용 압축고지 내의 이물질 종류 및 재생섬유의 특성 (Type of Foreign Materials in Waste Paper Used for the Manufacture of Linerboard and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Fibers)

  • 윤승락;황종열
    • 펄프종이기술
    • /
    • 제39권3호
    • /
    • pp.1-11
    • /
    • 2007
  • To evaluate the quality of waste paper used for the manufacture of linerboard, the types of papers and foreign materials in compressed waste paper currently used were investigated. The recycled fibers were obtained from printing paper, newspaper, wrapping paper, white coated paperboard and corrugated container. Their fibers were observed by using a microscope,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recycled papers manufactured from the recycled fibers were investigated. The compressed wastepaper was composed of 54% paperboard, 20% printing paper, and 20% newsprint. The content of foreign materials was about 4%, showing higher contents compared to 1% of foreign substances provided by Korea paper manufacturers' association. The types of foreign materials were various, which include vinyls, plastics, metals, woods, styrofoams, and cloths. Sound fibers were generally observed in the recycled fibers of printing papers and wrapping paper. The recycled fibers of white coated board, corrugated container and newsprint showed to be generally damaged. The whiteness of each recycled fiber were highly affected by pulp bleaching and ink-particle mixing conditions. The values of breaking length and burst index were lower than those for corrugating medium and liner board specified in KS. Although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recycled fibers varied, their strengths appeared to be similar. This result may be explained by the use of non-deinked fiber.

사과 포장용 골판지상자의 재질구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Linerboard Compositions of Corrugated Fibreboard Containers for Apples)

  • 김수일;김종경;하영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0
    • /
    • 1997
  • 사과 포장용 골판지상자의 규격 및 강도 표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사과(후지) 포장용 골판지상자를 수거하여 라인너와 골심지의 재질구성을 분석하고 재질구성에 따른 재료비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면라이너의 경우에는 WLK와 SK 및 KA가 주로 사용되었고 골심지로는 강화 골심지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중간 및 이면 라이너로는 S와 $K_2$가 주로 사용되었다. 재질구성은 약 20종이었으며 그중 백색라이너는 WLK210/M200/S120/$K_{2}200$의 재질구성이, 유색라이너는 SK180/M200/S120/$M200/K_2$의 재질구성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백색라이너를 유색라이너로 변경 할 경우에는 약 16%의 원가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 PDF

알긴산 코팅에 의한 골판지 상자 제조용 라이너 원지의 수분저항성 증진 (Improvement of Water Resistant Properties of a Linerboard for Corrugated Fiberboard Box by Coating with Na-alginate)

  • 김은정;임종환;김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62-766
    • /
    • 2006
  • 골판지 상자의 수분저항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골판지 상자 제조에 사용되는 라이너지의 표면을 알긴산으로 표면코팅을 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농도, 가소제의 종류와 사용량, 알긴산의 불용화를 위한 다가 금속이온의 종류와 최적농도 및 침지시간 등을 결정하였다. 라이너지의 표면코팅을 위한 알긴산의 농도는 2.5%(w/w)가 적합하였으며, 가소제인 글리세롤은 알긴산 대비 35%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고, 알긴산 필름의 불용화를 위해서는 2% $CaCl_2$ 용약을 사용하여 3분간 처리하는 것이 라이너지의 수분에 대한 저항성 증진에 최적조건을 결정되었다. 다가 금속이온으로 $CA^{2+}$ 이외에 $Cu^{2+}$를 사용했을 때 낮은 투습계수와 수분용해도를 나타냈다. 가소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수분 흡습에 대한 저항성이 큰 솔비톨을 첨가 했을 때 라이너지의 수분저항성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국내외 골판지포장산업기계의 기술현황과 발전방향 -장래의 Dry End 단장커터$\cdot$정밀스태커 더불배커의 새기능- (The Future of Dry End Technology for The Corrugator)

  • 짐 A. 큐밍스
    • 골판지포장물류
    • /
    • 제1권2호
    • /
    • pp.68-73
    • /
    • 1994
  • 앞으로의 고루케이터 드라이 엔드 발전은 고 생산성 다양한 기능 및 고속화될 것이며, 특히 고품질의 시트생산이 중요시되는 방향이 될 것이며, 따라서, 최종의 코루게이터 드라이 엔드의 목표는 고품질의 시트를 정확한 납품시간에 맞춰 생산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PDF

골판지 포장재의 생산공정에 대한 LCA 수행 및 친환경 공정개선 (Life Cycle Assessment and Improvement Assessment for Manufacturing Process of Corrugated Package)

  • 조현정;황용우;박광호;조병묵;김형진
    • 공업화학
    • /
    • 제16권5호
    • /
    • pp.620-62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골판지포장재에 대하여 LCA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생산공정의 환경성 개선을 수행하였다. 연구범위는 원료취득단계에서부터 원단제조단계, 상자제조단계까지로 구분하여 각 단계 및 세부공정별로 LCA에 의한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영향범주는 자원고갈, 지구온난화, 오존층고갈, 광화학산화물생성, 산성화, 부영양화, 생태독성, 인간독성의 8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전체 환경영향 중 원료취득단계에서 발생하는 영향이 약 92%로 가장 높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이너지 제조공정에서 가장 큰 환경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단제조단계와 상자제조단계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은 원단제조단계의 주 공정인 single facer 및 D/W backer 공정에서 가장 높은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환경영향이 나타나는 주요 원인은 전력, 중유 등의 에너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장재의 청정생산공정구축을 위하여 생산공정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였다. 진단을 통하여 손모율 저감과 상자의 내압강도에 대한 개선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개선 후 환경영향은 개선 전보다 약 3.8% 환경영향이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접착제 적용에 따른 골판지의 접착강도와 건조에너지 평가 (Evaluation of the Adhesive Strength and the Drying Energy of Corrugated Board Using a Mixed Adhesive)

  • 이지영;김철환;김은혜;박태웅;최재성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3호
    • /
    • pp.51-56
    • /
    • 2016
  • The most widely used glue in a corrugator is starch, which is a natural polymer. This material needs thermal energy to achieve a binding force, so a heating section is installed in a corrugator. However, this heating section can cause quality problems in linerboards and corrugating medium and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because of the high cost of fossil resources. Therefore, a new adhesive that provides the binding force at lower temperatures than the conventional one must be developed. In this study, SB-latex was selected as a co-adhesive and added to the starch solution. The addition of the SB-latex was determined based on the viscosity of the new adhesive. The adhesive strength and the drying energy reduction of a corrugated board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functionalities of the new adhesive. The addition of SB-latex was determined to be under 20% of the oven-dried starch based on the viscosity of the new adhesive. The adhesive strength was improved and the drying energy was reduced by applying the new adhesive.

펄프 몰드식 육묘포트의 성형조건 및 수분 흡습에 따른 굴곡 하중 특성 분석 (Analysis of Flexural Strength of Seedling Pots Made by a Pulp-Molding Machine under Different Water Contents)

  • 송대빈;정준우;김철환;허무룡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4호
    • /
    • pp.43-51
    • /
    • 2009
  • Paper mill sludges are discharged around 870,000 M/T annually. Only 30% of the paper mill sludge have been recycled and the rest has been disposed by land fill, incineration, ocean abandonment and other ways. Because of overall prohibition of sludge disposal by London Dumping Convention in 2012, a urgent counter measure for paper mill sludge must be provided. In this paper, some basic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a tray cell pot using paper mill sludge for increasing the recycling potential of the wasted sludge. To establish the manufacturing parameters, the tray cell pots were made with three types of materials including virgin pulp, old news paper and corrugated board mixed in a blend tank of a molding machine. The bending force and moisture content of the produced tray cell pots was measured to confirm the application capability. The tray cell pot could be manufactured under the condition of over 20% of virgin pulp, 40% of old news paper added. However, the corrugated board could not be used because of the glutinous substance included. The produced tray cell pot absorbed water very easily and the bending force decreased rapidly. The waterproof material must be used to applicate the produced tray cell pot in plant growing fields.

산화전분 코팅이 골판지 원지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atings of Oxidized Starch on Properties of Linerboard)

  • 안병국;안원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71-79
    • /
    • 2000
  • 산화전분을 골판지 구성원지인 표면라이너지와 이면라이너지에 각각 코팅하고 물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산화전분 코팅에 의해 골판지 믈성과 관련된 각 라이너지의 물성이 개선되었고 링 크러시 강도의 경우 표면라이너지보다 이면라이너지에서 개선의 효과가 더욱 컸으며 도공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최대 19.7%의 증가를 보였다. 비교적 낮은 도공량으로도 파열지수는 증가하였으며 일정 수준의 도공량 이상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파열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링 크러시 강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면라이너지, 이면라이너지 각각 1.41g/$m^2$, 1.58g/$m^2$의 도공량에 이를 때까지 TEA는 크게 증가하였으며 인장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링 크러시 강도도 대체적으로 증가되었다. 낮은 도공량에서 stiffness가 증가하였으며 도공처리로 라이너지의 투기도는 감소하였지만 원지 간 결합에 장애를 일으킬 만큼의 염려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