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osion rate

검색결과 1,245건 처리시간 0.03초

연마방법에 따른 금속의 활택도에 관한 연구 - Atomic Force Microscope를 이용한 - (A STUDY ON SURFACE ROUGHNESS OF METALS ACCORDING TO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S - AN ATOMIC FORCE MICROSCOPE ANALYSIS -)

  • 박원규;우이형;최부병;이성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9
    • /
    • 2003
  • The surface of metals should be as smooth as possible for optimum comfort, oral hygiene, low plaque retention, and resistance to corrosion. In this study five specimens of each precious metal(type III gold alloy, ceramic gold alloy, and Ag-Pd alloy)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s : group 1(sandblaster), group 2(group 1+stone), group 3(group 2+brown rubber), group 4(group 3+green rubber), and group 5(group 4+rouge). Six specimens of each non-precious metal(Co-Cr alloy, Ni-Cr alloy, and Co-Cr-Ti alloy)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group 1(sandblaster), group 2(group 1+hard stone), group 3(group 2+electrolytic polisher), group 4(group 3+brown hard rubber point), group 5(group 4+green hard rubber point), and group 6(group 5+rouge). Considering factors affecting the rate of abrasion, the same dentist applied each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 In addition, the surface roughness of enamel, resin, and porcelain was evaluated. The effect of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s on surface roughness of precious and non-precious metals, enamel, resin, and porcelain was evaluated by means of Atomic Force Microscope(AutoProbe CP. Park Scientific Instruments, U.S.A.) that can image the three dimensional surface profile and measure average surface roughness values of each sample at the same tim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s, the surface roughness of type III gold alloy, ceramic gold alloy, and Ag-Pd alloy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group 1, 2, 3, 4, and 5 (P<0.01). 2. According to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s. the surface roughness of Co-Cr alloy, Ni-Cr alloy, and Co-Cr-Ti alloy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group 1, 2, 3, 4, 5, and 6 (p<0.01). 3.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face roughness among three metals of precious metals in group 1 bu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2, 3, 4, and 5 (P<0.05). 4.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face roughness among three metals of non-precious metals in all groups. 5. Whe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moothest surface of each metal, enamel. porcelain, and resin was compared, porcelain was the smoothest and the surface roughness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Ni-Cr alloy. Co-Cr alloy. Co-Cr-Ti alloy, resin. Ag-Pd alloy, ceramic gold alloy type III gold alloy, and enamel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s should be carried out in a logical, systematic sequence of steps and the harder non-precious metals may be less resistance to abrasion than are the softer precious metals.

플라이 애쉬 및 고로수쇄(高爐水碎)슬래그를 혼화(混和)한 콘크리트의 중성화(中性化)에 관한 연구(研究) (Studies on Carbonation of Concrete with Low-Calcium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 나가타키 시게요시;김은겸;오가 히로유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29-240
    • /
    • 1987
  • 콘크리트의 중성화(中性化)는 일종의 화학적(化學的) 반응(反應)이며, 더우기 혼화재(混和材)로서 플라이애쉬와 고로수쇄(高爐水碎)슬래그를 혼화(混和)한 경우에는 그 반응(反應)매카니즘이 매우 복잡하다. 최근에는 콘크리트의 성능(性能)을 개선(改善)시킬 목적으로 시멘트의 일부를 산업부산물(産業副産物)인 플라이애쉬 및 고로수쇄(高爐水碎)슬래그로 혼화(混和)함으로서 이들에 의한 포졸란반응(反應) 및 잠재수경성(潛在水硬性)에 의해 콘크리트의 중성화(中性化)가 촉진되어 콘크리트 속의 철근이 발창(發錆)될 우려가 있다고 하는 지적이 계속되어 왔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이상과 같은 관점(觀點)으로부터 포졸란반응(反應) 및 잠재수경성(潛在水硬性)이 콘크리트의 중성화(中性化)에 미치는 영향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배합조건(配合條件)및 수중양생기간(水中養生期間) 등을 변화시켜 자연환경조건(自然環境條件)과 다른 가혹(苛酷) 환경조건하(環境條件下)에서 촉진중성화실험(促進中性化實驗)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의 결과를 중성화(中性化)의 조기판정(早期判定)이라는 점에 중시(重視)하여 자연환경하(自然環境下)에서 15년간(年間) 옥내(屋內)에 폭로(曝露)시킨 필자(筆者)들의 연구결과(硏究結果)와도 비교(比較) 검토(檢討)를 하여 압축강도(壓縮强度)에 바탕을 둔 새로운 중성화(中性化) 속도식(速度式)을 제안(提案)하였다.

  • PDF

Cr-Mo-V강의 전기화학적 분극 특성과 재질열화 평가 (An Evaluation on Electrochemic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Degradation for Cr-Mo-V Steel)

  • 권일현;이송인;하정수;유효선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7-274
    • /
    • 2002
  • 본 연구는 Cr-Mo-V강의 다양한 분극특성들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재질열화를 평가하는 전기화학적 기법에 대해서 서술한 것이다. 사용된 전기화학적 기법은 스테인레스강의 열 이력에 의해 주로 야기되는 강화원소 결핍 영역에서의 예민화 그리고 부식속도를 평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양극분극 시험법이다. 재질열화 평가는 $10{\times}10{\times}0.5mm$ 크기의 시험편을 사용하는 미소역학 시험법으로 잘 알려진 SP시험에 의해 수행되었다. $630^{\circ}C$에서 1,000hrs 시효된 재료가 가장 높은 재질 열화도 ${\Delta}[DBTT]_{SP}$을 보였으나, 2,000hrs 그리고, 3,000hrs 시효된 재료는 시효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Delta}[DBTT]_{SP}$의 감소를 보였다. 전류밀도의 차 $({\Delta}I_{FP},\;{\Delta}I_{SP})$가 1,000hrs 시효시간까지는 증가하였고, 그 이후의 시효시간에서는 시효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됨이 관찰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시효재료에 대한 경도의 거동과 일치하였다. 덧붙여, ${\Delta}[DBTT]_{sp}$${\Delta}I_{FP}$${\Delta}I_{SP}$와 같은 전기화학적 분극특성들과 좋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i기 초합금 B1914의 다결정, 방향성 및 단결정 주조구조에 따른 고온 인장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High Temp. Tensile Properties of B1914 Ni-base Superalloy According to Crystal Structures of Poly-, Directionally Solidified- and Single Crystal Casts)

  • 안성욱;장용석;윤동한;임옥동;;;진영훈;이재훈;서동이;오제명;이상준;임대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9호
    • /
    • pp.831-836
    • /
    • 1998
  • Ni기 초합금인 B1914로 다결정, 방향성 및 단결정을 제조하여, 상온과 고온에서 이들 결정종류에 따른 변형을 관찰하였다. 이들 결정을 제작하기 위하여 진공 주조로에서 냉각속도와 온도구배를 제어하였으며, 제작된 봉상 시편들은 2단계의 진공열처리를 하고 아르곤가스로 급냉하였다. 동일한 모합금인 B1914로 제조된 결정들은 결정종류에 따라서 뚜렷한 변형(stress-strain)을 나타내었다. 즉, 항복강도와 인장강도는 다결정, 방향성 및 단결정 순으로 뚜렷이 증가하였다. 또한 $600^{\circ}C$에서 모든 결정들은 $\gamma$'의 강화효과로 인해서 가장 높은 741-816MPa의 항복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인장강도는 1005-1139MPa이었다.

  • PDF

원전 화학제염을 위한 모의크러드 제조방법 연구 (Study on the Synthesis Method of Simulated CRUD for Chemical Decontamination in NPPs)

  • 강덕원;김진길;김경숙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1-97
    • /
    • 2010
  •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가동년수 경과에 따른 방사능 오염증가로 제염공정에 대한 관심은 점차 점증되어 가고 있다. 화학제염은 방사성폐기물의 생성과 방사선량율을 낮추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에 앞서, 원전 주요 계통 및 부품 등의 화학제염을 위해서는 대상 재질에 적합한 산화제 및 제염제를 우선 선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염대상물 혹은 제염대상 계통에서 채취한 크러드에 대한 각종 분석을 실시하여 크러드의 화학조성 및 결정구조에 대한 정보를 확보해야 하나 실제적으로 방사능을 띤 계통으로부터 시료를 직접 채취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한 극히 제한된 방사능을 띠고 있는 부식산화물의 자료만을 얻을 수 있다. 크러드의 조성은 모재의 성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재장전 주기에 따라서도 차이가 많다. 따라서 가능한 한 제염대상을 선정한 다음 제염대상으로 채취한 크러드에 대한 각종 분석자료를 확보하거나 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미확보 시료에 대한 대안으로 모의크러드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하는 기술에 대해 언급하였다. 금속 산화물과 금속 수화물이 12가지의 각기 다른 방법으로 실제 시료와 유사한 화학조성과 결정구조를 지닌 모의크러드의 합성에 사용되어졌다. CRUD#4(압력용기속의 금속산화물)와 CRUD#10(하이드라진 전 처리후 도가니속의 금속산화물)시료가 Type 1, 2에 대해 가장 양호하게 합성되어졌다. 이들 크러드 시료들은 특별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짧은 시간 내에 반응이 이루어지고 많은 량의 시료를 쉽게 합성할 수 있게 됨으로서 제염제와 제염공정을 개발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변화의 풍속과 일조시간 양생조건에 따른 콘크리트 탄산화 성능중심평가 (Performance Based Evaluation of Concrete Carbonation from Climate Change Effect on Curing Conditions of Wind Speed and Sunlight Exposure Time)

  • 김태균;신재호;최승재;김장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45-55
    • /
    • 2015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자연적, 인위적 요인으로 인하여 이상기후가 나타나고 있다. 이상기후의 대표적인 것으로 슈퍼태풍, 극한폭설, 폭염과 같은 극한 기후현상이 초래된다. 1970년대 산업화 시대 이후 급격하게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지구 온난화이다.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의 종류로는 이산화탄소, 과불화탄소, 아산화질소, 메탄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화학성분이 존재하며 특히 이산화탄소가 약 90%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콘크리트의 경우 건설재료로써 탁월한 내구성능을 지니고 있으며, 사회기반시설물 건설 재료로 70%이상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는 타설직후 물리 화학적으로 다양한 환경조건으로부터 성능저하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는 콘크리트 알칼리도 저하에 따른 철근을 부식시키고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속, 일조시간에 관하여 양생 한 후 콘크리트의 탄산화 실험을 접목시켜 탄산화 깊이와 탄산화 속도계수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만족도 확률 곡선을 통하여 성능중심평가(Performance Based Evaluation(PBE))를 수행 할 것이다.

음향방출법에 의한 고 장력강 용접부의 부식손상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Stress Corrosion Cracking at the Welded Region of High Strength Steel using Acoustic Emission Method)

  • 나의균;김훈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2-21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음향방출법을 이용하여 고 장력강 용접부의 응력부식균열특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용접재와 후열처리재를 대상으로 인공해수에서 저 변형률로 하중을 가하면서 응력부식균열을 일으키고, 동시에 음향방출법에 의해 손상과정을 감시하였다. 부식환경은 전위계에 의해 제어되었으며, 시험편에는 각각 -0.8V와 -1.1V의 전위 값을 가하였다. -0.8V인 부식환경 하에서 일층 용접부는 후열처리재에 비해 단위 시간당 AE counts수가 훨씬 많이 발생하였으며, 응력부식균열과정에서 균열의 발생 및 합체가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음을 누적 AE counts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가해진 전위 값이 -1.1V인 경우, 일층 용접재의 파단시간은 이층 용접재에 비해 줄었고, AE counts수는 이층 용접재에 비해 현저히 많이 발생하였다 AE진폭 범위는 -0.8V 일층 용접재에서 가장 높았고, -1.1V 일층 용접재에서 가장 작은 값을 보였는데, fractography분석결과 AE 진폭 범위는 균열의 크기 및 폭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터보프롭엔진(PT6A-62)의 성능저하 진단을 위한 최적 계측 변수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Parameter Selection for Health Monitoring of Turboprop Engine (PT6A-62))

  • 공창덕;기자영;장현수;오성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87-97
    • /
    • 2000
  •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본훈련기 KT-1의 추진기관인 터보프롭 엔진(PT6A-62)을 위한 정상상태 성능모사 덴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정상상태 성능해석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해 해석 결과를 엔진 제작사에서 제공한 성능 데이터 및 가스터빈 엔진의 성능 모사 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진 GASTURB와 비교하였다. 개발된 정상상태 성능해석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해 해석 결과를 엔진 제작사에서 제공한 성능 데이터 및 가스터빈 엔진의 성능 모사 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진 GASTURB와 비교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고도, 비행마하수, 부분부하에서의 성능을 해석하였다. GPA(Gas Pess Analysis) 방법은 엔진의 성능 저하를 구성품 효율의 저하와 공기유량의 변화량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오염, 부식, 침식과 같은 물리적 손상을 탐지하기 위한 최적의 계측변수 선정을 위해 GPA 방법은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계측변수를 선정하기 위해 2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나는 독립변수의 수를 다르게 하여 계측기 수가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다음 종속변수의 종류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해석 결과에 따르면 압축기 입구 온도 및 압력, 압축기 터빈 입구 온도 및 압력, 동력 터빈 입구의 온도 및 압력과 축마력, 연료유량 등을 측정하여 진단에 이용하는 것이 가장 오차가 적었다.

  • PDF

이산화황 농도에 따른 금속시편의 손상 특성 (Damage Characteristics of Metal Materials According to the SO2 Concentration)

  • 김명남;임보아;신은정;이선명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1호
    • /
    • pp.176-187
    • /
    • 2013
  • 본 연구는 주요 금속문화재 재질 5종(은, 구리, 철, 납, 황동)을 대상으로 이산화황($SO_2$) 농도에 따른 손상 특성을 분석하여 농도와 손상 특성 간의 정량적인 상관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금속시편을 대상으로 가스부식시험기를 이용하여 $SO_2$ 0.01, 0.12, 1, 10, 100, 1,000, 5,000ppm 농도로 24시간 노출을 각각 실시한 후 노출 전 후의 광학적 물리적 화학적 손상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 금속시편의 광학적 손상변화는 $SO_2$ 100ppm에서 은시편의 광택도 감소와 $SO_2$ 5,000ppm에서 황동, 철, 구리, 납시편의 색차 증가가 나타났으며 물리적 손상 변화는 $SO_2$ 5,000ppm에서 철시편의 두께, 부식속도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화학적 손상 변화는 $SO_2$ 5,000ppm에서 철, 황동시편의 황산이온($SO{_4}^{2-}$) 농도 증가, pH 감소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금속시편의 광학적 손상 변화는 $SO_2$ 100ppm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물리적 화학적 광학적 손상 변화는 $SO_2$ 5,000ppm에서 모두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금속시편 중 철과 황동이 다른 재질에 비해 $SO_2$에 민감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플루오르화합물계 목재 방미제의 특성 (I) - 목재 방미효력 및 철부식성과 흡습성 - (Characteristics of Fluoride-based Anti-stain Chemicals Made from industrial By-product (I) - Anti-mold Effectiveness, Iron Corrosivity and Hygroscopicity -)

  • 이종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73-81
    • /
    • 2004
  • 저가의 국내산 목재 방미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산업부산물인 플루오르화암모늄(NH4F)으로부터 합성한 6종의 플루오르화합물계 약제를 사용하여 목재에 오염을 일으키는 표면오염균의 생장억제 효과, 소나무, 잣나무 및 라디에타소나무에 대한 목재 방미효력, 목재의 철부식성 및 흡습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합성 약제 중에서 주요 성분이 F와 Cu인 RNF-3과 F 단독인 RNF-4가 처리 PDA 배지 및 목재에서 보존 균주의 생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가장 우수한 균의 생장 억제 및 목재 방미효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약제의 최적 처리 농도는 2%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목재 수종에 따른 방미효력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약제 처리 목재는 높은 철부식비를 보였으며 이것은 약제 중에 함유되어 있는 F의 강한 부식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농도 2% 이하의 RNF-3과 RNF-4를 처리한 목재의 철부식비는 무처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합성 약제가 목재 흡습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약제의 실용화 검토를 위해서 침엽수 제재목 생산 현장에서의 야외 시험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