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idor Analysis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35초

초등학교학생의 안전의식 실태분석 연구 - 6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Safety Consciousness 6th year in Elementary school)

  • 한현상;손기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9-68
    • /
    • 2011
  •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elementary school members have their consciousness against safety in their school. Simple questionnaire 1206 sheets have been distributed to the members and additional interview with teachers to take care of them. Statistically,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is have been made and chi-test has also been made for data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ese have been summarized as running on corridor with 53.4% in school safety, warming up exercise 45.2% in leisure safety, evacuation form classroom with 2.4% in fire safety, crossing around just in fromt or rear of vehicle with 61.2% in transportation safety. It is thought that safety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more for man than for girl pupils and also, safety consciousness should be improved than all the other area.

유도등 설치유형 및 피난구 출입문 개폐방향에 따른 재실자의 피난경로 선택패턴분석 (Analysis of Evacuation Route Selection Pattern of Occupant according to Installation Type of Exit Light and Opening/Closing Direction of Door)

  • 정종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28-34
    • /
    • 2019
  • 본 연구는 공간의 형태와 출입문의 개폐방향, 유도등 픽토그램의 형상에 따라 재실자(피실험자)들의 경로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 가상현실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수행하였다. T형 복도와 +형 복도를 대상으로 하여 시나리오별로 피난구유도등, 복도통로유도등을 배치하고 이를 컴퓨터 그래픽화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피난구유도등 픽토그램의 2가지 방향(좌, 우)에 대한 인간 행동의 반응(응답)과 출입구의 열리는 방향에 따른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통로유도등의 존재 유무에 따른 의사결정의 변화 등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방향선택 응답률을 살펴보면 첫째, T자형 복도에서 출입문에 유도등이 없을 경우, 출입문이 열리는 방향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출입문 상단에 유도등이 있을 경우에는 유도등 픽토그램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응답률이 높게 나타나 유도등의 픽토그램의 방향이 재실자의 피난경로선택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일반국도의 환경친화성 평가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Environmental Friendly Property in National Highway)

  • 전우훈;이영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87-92
    • /
    • 2010
  •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의 개념은 최근에 많이 언급되고 있으나 실제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이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환경친화성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계획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국도의 환경친화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환경영향평가에서 제시하고 있는 총 10개 분야에서 8개의 환경친화성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정성적 평가기법과 정량적 평가기법을 함께 적용하기 위해 정성적 평가방법으로는 계층화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사용하였으며, 정량적 평가방법으로는 일반국도 구간에서 지표에 대한 수치를 적용하였다. 환경친화성 지표선정을 위해 시범적용된 일반국도 구간은 총 10개 구간에 120km의 연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방법론은 일반국도의 환경에 대한 적용수준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적용에 대한 이해가 쉽고 데이터의 수집이 간편하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도로건설시에 환경친화성을 평가하고 보완할 수 있는 도구로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여러 도로구간들의 환경친화성에 대한 비교를 통해 환경친화성을 높일 수 있는 근거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형 대상지에 대한 저가의 무인항공기 사진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Analysis of Low-cost UAV Photogrammetry for Corridor Mapping)

  • 오재홍;장영재;이창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65-572
    • /
    • 2018
  • 최근 들어 운용비용이 저렴하고 신속한 데이터 획득 및 처리가 가능한 무인항공기(드론)를 이용한 측량 및 지도 제작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는 지형 변화분석, 시설물 모니터링, 농업, 임업 등 여러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드론의 높은 활용도의 바탕에는 높은 공간 정확도의 획득이 가능하다는데 있으며, 관련하여 드론 기반 공간 정확도의 평가 결과가 여러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잘 분포된 지상기준점을 활용하여 획득 가능한 정확도를 분석한 경우이며, 부분적으로 기준점의 개수의 변화에 따른 정확성을 평가한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관로, 철도 등 선형 대상지에 드론을 이용한 측량을 수행할 경우 획득 가능한 공간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준점 배치를 여러 조합으로 나누어 정확성을 평가 해보았다. 선형 대상지를 따라 기준점의 편위 및 밀도에 따른 정확성을 평가하였고, 추가적으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의 영향, 횡중복 스트립 개수에 따른 정확성 또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준점의 밀도에 비해 기준점 배치의 편위가 정확성에 더 큰 악영향을 주었으며, 미리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고 사용하는 것이 현장 셀프 캘리브레이션에 비해 기준점의 배치나 개수가 충분치 못한 경우에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선형 방향으로의 스트립 수를 늘리는 것은 정확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카메라트래핑을 활용한 광교신도시 내 도시형 생태통로 모니터링 (Monitoring Urban Ecological corridors in Gwanggyo New Town Using Camera Trapping)

  • 박일수;김휘문;김성열;박찬;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80
    • /
    • 2021
  • The new town in Korea, developed as a large-scale housing plan, has created urban ecological corridors to provide habitat and movement routes to wildlife and to promote natural ecological flow.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 of wildlife in 10 ecological corridors in Gwanggyo New Town through camera trap technology and confirm effectiveness by identifying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wildlife's urban ecological corridors. Our researchers installed 20 unmanned sensor cameras at eac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ecological corridors, and monitored urban wildlife for 10 weeks. According to the monioring results, the main species in Gwanggyo New Town were identified not only raccons, cats, water deer, korean hare and avain but also magpies, dove, eurasian tree sparrow, ring-necked pheasant, and eurasian jay. The number of uses ecological corridors of urban residents was 801(13.49%), as high as that of urban wildlife (1,140, 19.20%), which was judged to have disturbed the use of ecological corridors by wildlife. However, most dominant species of urban wildlife are nocturnal so that, it was judged that they share home range with urban residents at a time interva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mammal using rate of the urban ecological corridors and environmental factors(ecological corridor-specific length, ecological corridor-specific width, cover degree, shielding degree, connected green area, separation of movement routes, and presence of streetlights), environmental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ore the area of green space connected to ecological corridors, the more increasing the mammal using rate of ecological corridor(r=0.71, p<0.05). Therefore, the area of green space connected to the ecological corridors that is associated with rate of wildlife using corridors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when developing an urban ecological corridors.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extend the observation period of the ecological corridors and continuously accumulate data by adding the number of observation camera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andards for urban ecological corridors installation.

단위평면의 형태요인에 따른 내부공간 가변화에 관한 분석 - 1998년 이후의 아파트를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n the Flexible Interior Space of Apartments according to Unit Plan Types - Focusing on Apartment Built Since 1998 -)

  • 조일아;김형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20-129
    • /
    • 2006
  • Apartments have become the most popular type of residential building in Korea since the 1960s. The dwelling space should be designed to accomodate various life styles or changing needs of family members.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analyze flexible interior space types of apartments and to improve the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of apartments that can satisfy various needs of residents. In this study, apartments of 10 - 90 pyeongs built in the region of Seoul, between 1998 and 2007, a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unit plan, the number of open sides, and a distribution of flexible apartment types for each year, Apartments with flexible space are classified into 10 different types, including a flexible type between bedrooms, a flexible type between a bedroom and the livingroom, and a flexible type between the dinning room and the livingroom.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unit plans, apartments are also differentiated as a single-corridor type, a double-corridor type, a stairway type, a hall type, and a combination type. According to these classific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desirable unit plan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s the unit size of apartments get bigger, the ratio of width/depth of the front side unit plan is increased. This result reflects a trend of high-rise apartments which have an increased number of front-side bays and a shorter depth for better penetration of daylight. In addition, a hall type is found to have a wider front side and shorter depth. According to open sides, a flexible type of the livingroom and the dinning room/kitchen (L-D.K) is found to be most common for the front/back open space, and the livingroom is usually placed on the front/side open space. To meet the changing needs of residents,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flexible dwelling space.

노인주거시설 공용공간의 실내색채 사례연구 - 미국 캘리포니아 콘트라 코스타군의 노인주거시설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Interior Color Characteristics for Common Spaces in Elderly Housing - Special Reference to Elderly Housing In Contra Costa County, California, U.S.A -)

  • 오혜경;박민진;이지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70-8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ior color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ing facilities in U. S. A. For this purpose,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ly 23 and July 31, 2003, visiting 10 elderly housing facilities in Contra Costa County, California. A three step analysis of the facilities involved. First, floor, walls, ceilings, base boards and doors in common spaces were examined for the color scheme using the "Pantone for Fashion and Home Color Guide" for each room. Measured Pantone numbers were converted to RGB color using "Chooser 3.0 of Pantone, Inc." Finally, the conversions were recorded as Munsell numb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ors chosen for American elderly housing are high value and low chromatic colors. In many facilities, analogue colors such as BG, B, BP and Y, YR R, RP are used. Second, the colors of ceiling and wall are mainly very bright and low chromatic colors. The colors of floor are undertaking an Important role by generating major atmosphere in the America elderly housing. Third, the colors used for elderly housing are found inter-related. For example, the main color in the lobby is also used from corridor to stair and used again from lounge to dinning room as a secondary color. Fourth, it is found that accent colors are us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stair and corridor outskirts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condition of elderly people. Fifth, there is no difference in color selection between elderly housing with low and high rental value. Preferably, more versatile colors are being chosen for elderly housing with the low rental value.he low rental value.

생태통로 조성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한 개선과제 연구 (An Analysis of Eco-corridors in Korea by Cas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 김명수;허학영;조수민;신수안;안동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1-55
    • /
    • 2005
  • In an effort to preserve biodiversity in increasingly fragmented green patches, Korea has been installing eco-corridors over or under some arterial or expressways. In a survey of 43 such eco-corridors installed up until the year 2003, some problems and issues were identified. Some selected overseas eco-corridors were also investigate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s of future installations in Korea. Major findings are; - For most existing eco-corridors, target species are not specified and locations of the eco-corridors are not well considered, and consequently it is questionable if wildlifes are crossing them - Most of existing eco-corridors lack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fences that guide wildlife to cross them and prevent them from running into the road - Planting on the eco-corridors is not sufficient, not diverse enough in species, and not very considerate of wildlife but designed and planted in a similar manner as in urban parks - Where target species are not well specified, the location, width, cross section, and other aspects of the eco-corridors can not be optimized - It is suggested that eco-corridors are planned at early stages of road planning so that the number and locations of eco-corridor(s) decided as necessary and even the alignment and design of roads consider the installation of eco-corridors in advance - Monitoring of wildlife crossings is needed for improved eco-corridor planning and design - Nationwide green network plan is desirable to be made first and eco-corridors fit into it.

하천식생 복원모형의 홍수위 분석과 하상변동 예측 (Flood Stage Analysis and Prediction of River Bed Change for Stream Corridor Restoration Model with River Vegetation)

  • 송중근;김병찬;이종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7-441
    • /
    • 2009
  • 현대사회는 하천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정도로 우리 삶의 중심에 있는 자연의 중요한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하천은 단순한 치수와 이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 그대로의 환경적 잠재 기능을 복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 복원의 필수적 요소는 식생이나 이것은 하천의 흐름저항을 크게 하여 홍수시 수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식생에 따른 조도계수의 변화와 흐름저항으로 인한 수리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하천복원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식생 복원모형에서의 홍수위 분석과 하상변동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주대교 상 하류 구간에 HEC-RAS와 RMA-2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위 분석을 실시함과 동시에 SED-2D 모형을 적용하여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 PDF

유럽 복합운송체계 분석을 통한 동북아 복합운송모델 개발 (An analysis of Europe Multimodal Transport System and Development of Model in Northeast Multimodal Transport)

  • 배민주;김환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1-426
    • /
    • 2004
  • 다국적기업의 증가는 물류환경을 국제복합운송체계로 이끌고 있다. 기반시설이 잘 갖추어진 유럽의 경우에는 제2의 실크로드를 개발하기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행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복합운송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유럽 복합운송 체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내 및 동북아 복합운송체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유럽 복합운송 사례를 분석하고 TAR의 북부 노선을 통해 한반도 남단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의 경제적 효과와 이를 철도와 항만 및 공항으로 연결하는 복합운송 모델을 개발한다. 실질적으로 본 연구의 실효성을 증명할 수치적 근거가 부족하나,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시되지 않았던 구체적인 복합운송 모델을 개발 및 제안함으로써, ESCAP에서 수행하게 될 시범 컨테이너 전용열차 운행 프로젝트를 통해 노선별 거리, 시간, 비용, 세금, 통관절차, 환적시설 등의 정보를 차후 경제성평가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