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elation Plot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7초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트레이닝 최적화 기법 연구 - 정규분포를 고려한 통계적 영상분류의 경우 - (A Study on the Training Optimization Using Genetic Algorithm -In case of Statistical Classification considering Normal Distribution-)

  • 어양담;조봉환;이용웅;김용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5-208
    • /
    • 1999
  • 위성영상 분류작업에서 분류클래스에 대한 샘플화소의 대표성은 분류 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통계적 영상분류방법에서는 분류 기법 자체보다 분류 확률을 결정하는 트레이닝 단계, 즉 샘플화소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POT XS, LANDSAT TM을 이용한 위성영상 화소분류작업에서 분류 이전단계, 즉 샘플화소의 정규성을 계산하여, 정규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화소를 객관적 기준으로 조정하였다. 정규화과정을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적용의 생존확률 평가함수로 다변량 Q-Q plot의 상관계수와 트레이닝의 분산값을 고려하였으며, 5% 유의수준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대상지역의 경우,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트레이닝 정규화 결과가 대부분의 클래스에 대하여 그 평균과 분산을 모집단에 근사시키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고, 해당 클래스의 모집단 분포를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ediction equations for the assessment of muscle or fat mass us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erum creatinine level, and lifestyle factors among Korean adults

  • Lee, Gyeongsil;Chang, Jooyoung;Hwang, Seung-sik;Son, Joung Sik;Park, Sang M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1호
    • /
    • pp.95-105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The measurement of body composition, including muscle and fat mass, remains challenging in large epidemiological studies due to time constraint and cost when using accurate moda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prediction equations according to sex to measure lean body mass (LBM),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ASM), and body fat mass (BFM) us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 serum creatinine level, and lifestyle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as the reference method. SUBJECTS/METHODS: A sample of the Korean general adult population (men: 7,599; women: 10,009)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was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derivation and validation groups via a random number generator (with a ratio of 70:30). The prediction equations were developed using a series of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s and validated using the Bland-Altman plot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RESULTS: The initial and practical equations that included age,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had a different predictive ability for LBM (men: R2 = 0.85, standard error of estimate [SEE] = 2.7 kg; women: R2 = 0.78, SEE = 2.2 kg), ASM (men: R2 = 0.81, SEE = 1.6 kg; women: R2 = 0.71, SEE = 1.2 kg), and BFM (men: R2 = 0.74, SEE = 2.7 kg; women: R2 = 0.83, SEE = 2.2 kg) according to sex. Compared with the first prediction equation, the addition of other factors, including serum creatinine level, physical activity, smoking status, and alcohol use, resulted in an R2 that is higher by 0.01 and SEE that is lower by 0.1. CONCLUSIONS: All equations had low bias, moderate agreement based on the Bland-Altman plot, and high ICC, and this result showed that these equations can be further applied to other epidemiologic studies.

경기도 화성시 20년간(2001~2020) 기후변화와 벼 수량 변화 (Climate Change and Rice Yield in Hwaseong-si Gyeonggi-do over the Past 20 Years (2001~2020))

  • 주옥정;최병열;장은규;소호섭;이상우;이영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23
    • /
    • 2022
  • BACKGROUND: Rice production by the current standard cultivation method is predicted to decrease due to global warming. It seems that there has been a strong warming trend in Hwaseong-si, Gyeonggi-do.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limate change in Hwaseongsi, Gyeonggi-do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on. METHODS AND RESULTS: The statist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rice cultivar 'Chucheongbyeo' yields grown at the rice paddy field plot in th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nd the weather data measured in near the rice paddy plot.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rice yields per area in 2000s (2001~2010) and 2010s (2011~2020), but the rice yield variability was greater in 2010s than in 2000s. The mean, minimum, maximum temperature, and the sunshine hours were evaluated for the correlation with the rice yield. The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in Hwaseong-si, Gyeonggi-do and the major weather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rice yield, presented in this study, would enhanc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regional climate change, and improve rice cultivation management.

상수의 내건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rought resistance of mulberry trees)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1-26
    • /
    • 1967
  • 상수의 내건성을 측정하는 기준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수품종간의 내건성의 차이를 측정하고 상엽의 조직적 또는 생리적 조건들과 내건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수의 내건성을 판정하는 기준으로서 내건성 비율 (D/D'ㆍ100)을 설정하였다. 단 D는 실험완료시의 건조구의 생장량(조장) D'는 B.C/A로 표시되는 D의 기대치, 이 때의 A는 실험착수당시의 적습구의 생장량 B는 실험착수당시의 건조구의 생장량 C는 실험완료시의 적습구의 생장량 2. 이 내건성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판정한 결과 Cadaneo, 다호한생, 용천추우, 개량서반, 갑선등은 내건성이 강한것에 속하였고 적목, 시평 소번, 개량한생십문자, 청아고교등은 내건성이 약한 것에 속하였다. 3. 엽육조직중에서 내건성과 가장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세포간극율이며 그 상관계수 r=-0.4153(단 5%에서의 유의수준 r=$\pm$0.306)으로 부(-)의 상관이 있고 그 밖에 상, 하면표피조직, 원상조직등은 상당히 연관성은 가지고 있으나 뚜렷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4. 기공의 크기와 분포밀도는 다음과 같이 내건성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크기(장경$\times$건)r=-0.3253, 분포밀도(1$\textrm{mm}^2$내의 기공수)r=+0.5047(단 1%에서 유의수준 r=$\pm$0.423) 그리고 기공의 크기와 분포밀도와의 사이에도 r=-0.3632으로 5% 유의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각종 생리적 조건중에서 내건성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증산량이며 증산량/엽중량 r=-0.3312 증산량/엽면적 r=-0.4151로 각각 5%의 유의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있고 그 밖에 다붕속도, 건물량/엽면적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6. 이것을 종합하여 볼 때에 상수의 내건성을 판정하는 기준으로서는 기공의 분푸밀도가 가장 정확하고 그 외에 세포간극율, 기공의 크기(장경$\times$건), 증산량/엽중량, 증산량/엽면적도 좋은 기준이 될수 있다고 보았다.

  • PDF

단백자원으로서의 대두증산에 관한 연구 - 품종 파종기 및 석회시용량의 차이가 대두의 수량형질과 단백질 및 유분생육량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Yield Increase of Soybean as a Protein Source -Varietal response of yield components, protein and oil yield to different sowing dates and calcium levels in soybean-)

  • 현신규;이은웅;이춘영;권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
    • /
    • 1970
  • 단백자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작물인 대두의 자실수량, 단백 및 유분수량이 품종별로 파종기 및 석회시용량의 차이에 따라서 어떻게 영양을 받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주요대두품종 충북백, 육우 003 및 장단백목을 공시하여 파종기를 5월 22일(대두단작재배) 및 6월 11일(맥후작재배) 및 7월 1일 (만파재배)로 달리하고 석회시용량을 10a당, 0.5kg, 100kg으로 다르게 처리하여 본 시험을 1969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부속농장에서 실시하였다. 본 시험성적에서 나타난 대두의 수량형질, 단백 및 유분수량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품종중 육우003의 자실수량이 가장높았다는데 이는 육우003에 주당협수가 다른 품종보다 현저히 많다는 데에서 기인되었다. 단백함량은 충북백>육우003>장단백목의 순위였고 지유함량은 장단백목>충북백>육우003의 순위였으나 단위면적당 단백수량 및 지유수량은 자실수량이 많았던 륙우003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이와같은 품종간 수량차이는 파종기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설계재배에 있어서는 품종과 파종기간의 관계를 크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2. 제1파종기와 제2파종기간에 자실수량차이는 없었으며 만파재배인 제3파종기에서는 자실수량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와같은 현상은 제3파종기에서 1주당협수의 감소가 현저했기 때문으로 고찰된다. 단백질함량과 지유함량은 파종기에 따라 별로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단백수량 및 지유수량은 제3파종기에서 자실수량의 감소와 함께 현저히 감소하였다. 3. 석회시용량의 증가에 따라서 분지수 협수가 증가하였으며 자실수량도 증가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자실수량이 석회 100kg/10a 시요구에서 가장 높았다. 단백함량도 석회시용량을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지유함량은 석회무시용구가 가장 높았다. 단백수량은 석회시용량의 증가에 따라 자실수량 및 단백함량이 같이 증가되었기 때문에 현저히 증수되었으며 지유함량은 자실수량의 증가에 의해서만 증수되었다. 4. 수량형질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경장과 주당경중, 100립중 및 자실수량간에 주당경중과 주당맥수 및 자실수량간에, 주당분지수와 100립중간에, 주당협수와 자실수량간에, 100립중과 단백함량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인정할수 있었으며, 주당협수와 100립중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Vendor-Provided Volumetry Software and NeuroQuant Using 3D T1-Weighted Images in Subjects with Cognitive Impairment: How Large is the Inter-Method Discrepancy?

  • Chung, Jieun;Kim, Hayoung;Moon, Yeonsil;Moon, Won-J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4권2호
    • /
    • pp.76-84
    • /
    • 2020
  • Background: Determination of inter-method differences between clinically available volumetry methods are essential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brain volumetry in a wider contex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method reliability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iemens morphometry (SM) software and the NeuroQuant (NQ) software. Materials and Methods: MR images of 86 subjects with subjective or o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For this study, 3D T1 volume images were obtained in all subjects using a 3T MR scanner (Skyra 3T, Siemens). Volumetric analysis of the 3D T1 volume images was performed using SM and NQ. To analyze the inter-method difference, correlation, and reliability, we used the paired t-test, Bland-Altman plo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effect size (ES) using the MedCalc and SPSS software. Results: SM and NQ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for cortical gray matter, cerebral white matter, and cerebrospinal fluid; and good reliability for intracranial volume, whole brain volume, both thalami, and both hippocampi. In contrast, poor reliability was observed for both basal ganglia including the caudate nucleus, putamen, and pallidum. Paired comparison revealed that while the mean volume of the right hippocampus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software, the mean difference in the left hippocampus volume between the two methods was 0.17 ml (P < 0.001). The other brain reg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measured volumes between the two software. Conclusion: SM and NQ provided good-to-excellent reliability in evaluating most brain structures, except for the basal ganglia in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Researchers and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potential differences in the measured volumes when using these two different software interchangeably.

은퇴인구 유입과 지역경제 활성화와의 관련성 분석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Migr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of Rural Communities in Korea)

  • 윤순덕;박공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55-467
    • /
    • 2007
  • Recently, there has been a gradual growth of retired in-migrants in high-amenity, rural areas in Korea. However, little has known about that the retirement migration is a blessing or a blight for a local economy in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migr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of rural commun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1995 and 2000 census data and annual regional statistics for 138 counties in Korea. Based on the previous empirical studies, economic development was measured by 3 indicators such as 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job creation in the wholesale and retail sector, and the increase of local tax. Also, cross-tab, scatter plot, and correl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s Program. The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from 1995 to 2000, nearly 11 percent of rural counties showed 10 percent and over increase of in-migration rate among retirees. Second, correlation statistics show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in-migrant flows and economic resurgence. In particular, retirement in-migr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tied to the job creation of the wholesale and retail sector (r=.19, p<.05) as well as car ownership rate (r=.58, p<.001)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local tax. However, there was non-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tirement in-migrant flows and GRDP change (r=.13). Knowledge of these relationships will be important to policy-makers and for understanding the role that retirement in-migration play in stimulating economic growth of rural communities in Korea.

  • PDF

Mandibular Kinesiograph의 선형충실도 및 계측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Accuracy and Linearity of the Mandibular Kinesiograph)

  • 김인권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2권7호통권182호
    • /
    • pp.607-620
    • /
    • 1984
  • Mandibular Kinesiograph (MKG-5R)으로부터 얻어지는 자료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비철, 비자석성의 기구를 이용해서 3cm×4cm×5cm의 4차원적 입체공간내에서 수행하였다. Kinesiograph로 부터의 직접 얻어지는 자료(관찰치)와 실제 움직인 거리(실제치)간의 관계를 먼저 보기위해 Scatter plot과 Correlation이 연구됐다. 그러나 최종의 목표는 어떤 형태의 공식을 만들어 이것으로 Kinesiograph관찰치를 이용, 실제치를 알도록 하는 것이었으므로 관찰치의 통계학적 회귀분석이 수행되었다. 통계분석의 결과는 Kinesiograph 관찰치와 실제치 간의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높은 상관계수가 반드시 얻어진 선형모형의 완벽한 예측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선형모형이 실제치를 모두 완벽하게 예측할수는 없었다. 그 이유로서는 종속변수(실제치)의 불연속성과 관찰치(비종속변수) 상호간의 독랩성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Kinesiograph가 어떤 형태로든 적절한 방법에 의해 수정이 있지 않으면 그 계통자체내에 내재하는 비선형적 특성 때문에 그 이용이 하악운동의 제한된 범위내에만 적용될 수 있다.

  • PD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gital Goniometer and Smart Phone to Determine Trunk Active Range of Motion in Stroke Patients

  • Park, Hee-yong;Hwang, Ui-jae;Kwon, Oh-yu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5-234
    • /
    • 2022
  • Background: Trunk movements are an important factor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however, these movements can be impaired by stroke. It is difficult to quantify and measure the active range of motion (AROM) of the trunk in patients with stroke. Object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s using a digital goniometer (DG) and smart phone (SP) applications for trunk rotation and lateral flex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is an observational study, in which twenty participants were clinically diagnosed with stroke. Trunk rotation and lateral flexion AROM were assessed using the DG and SP applications (Compass and Clinometer). Intrarater rel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DG and SP in AROM measurement.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the two instruments was shown by Bland-Altman plot and 95% limit of agreement (LoA) was calculated. Results: The intrarater reliability (rotation with DG: 0.96-0.98, SP: 0.98; lateral flexion with DG: 0.97-0.98, SP: 0.96) was excellent. A strong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DG and SP (rotation hemiplegic side: r = 0.95; non-hemiplegic side: r = 0.90; lateral flexion hemiplegic side: r = 0.88; non-hemiplegic side: r = 0.78).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the two instruments was rotation (hemiplegic side: 23.02° [LoA 17.41°, -5.61°]; non-hemiplegic side: 31.68° [LoA 23.87°, -7.81°]) and lateral flexion (hemiplegic side: 20.94° [LoA 17.48°, -3.46°]; non-hemiplegic side: 27.12° [LoA 18.44°, -8.68°]). Conclusion: Both DG and SP applications can be used as reliable methods for measuring trunk rotation and lateral flexion in patients with stroke. Although, considering the level of clinical agreement, DG and SP could not be used interchangeably for measurements.

신개간경사지(新開墾傾斜地) 토양개량(土壤改良)과 작물생육(作物生育)에 관한 연구(硏究) VII. 년차간(年次間) 물리화학성(物理化學性) 변화(變化)와 율무수량(收量) (The Soil Improvement and Plant Growth on the Newly-reclaimed Sloped Land VII. Annual Changes of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Yield of Job's tears(Coix lacryma-jobi L.))

  • 허봉구;이기상;정원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5-110
    • /
    • 1994
  • 신개간지(新開墾地)에서 몇가지 물리화학적인 개량방법(改良方法)을 병행(竝行)하여 실시하여 년차간에 토양특성 변화와 율무의 수량을 조사하여 토양개량과 율무재배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신개간지에서 율무를 1955년부터 4년간(年間) 재배하면서 율무수량과 토양(土壤)의 변화량과 변화율(變化率)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용적밀도(容積密度)나 경도(硬度)는 표토(表土)에서 3년차까지 계속 낮아지다가 개량제 시용이 없었던 4년차에는 높아졌다. 토양산도는 토심이나 년차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2. 율무수량(收量)은 종합개량처리(綜合改良處理)가 평균(平均) 2.16ton/ha로 가장 많고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49% 증수(增收)되었으며 다른 처리구의 수량은 심경구(深耕區)>인산구>석회구>퇴비구>대조구(對照區) 순(順)으로 많았다. 3. 연차간(年次間) 율무수량과 토양의 물리화학성과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토양산도와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고 표토(表土)보다는 심토(心土)에서 유의성이 높았다. 4. 토양의 물리화학성 변화율(變化率)과 율무수량(收量)과의 상관관계는 토양의 용적밀도와 경도가 가장 높았고 토양 화학성중에서는 표토(表土)에서 토양산도(土壤酸度)만이 유의성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