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drought resistance of mulberry trees

상수의 내건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67.12.01

Abstract

In order to develop the standards for the measurement of drought resistance in mulberry trees (Morus genus) the varietal differences of drought resistance were measured for 30 mulberry varieti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rought resistance and the hist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leav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reasonable to use the drought resistance ratio, expressed by D/D'*100, for the standard of drought resistance measurement for mulberry tree as a perennial tree crop. Where: D stands for growth amount(shoot length) in the plot of dry treatment, at the end of treatment. D' stands for an expected value of D which is expressed by B*C/A. Here, A is the growth amount of wet treatment plot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B is the growth amount of dry treatment plot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C is the growth amount of wet treatment plot at the end of treatment. 2.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pplication of above formula showed that the varieties Cadaneo, Tahozosaeng, Yongchunchuwu, Kaeryang suban. and Kabsun were highly resistant to drought and the varieties Jukmok, Shipyung, Sobun, Kaeryangzosaeng shipmoonza and Chungagokyo were highly susceptible. 3. Among leaf tissues. the rate of inter-cellular space showe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drought resista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alculated (r=0.4153) was highly significant. Other leaf tissues such as epidermis and palisade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rought resistance. 4. The size and density of stomata were correlated to drought resistance. That is: Correlation between drought resistance and size of stomata(length ${\times}$ width)......r= -0. 3253(signif. at 5%) density(No. of stomata/l$\textrm{mm}^2$......r= +0.5047(signif. at 1%)

상수의 내건성을 측정하는 기준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수품종간의 내건성의 차이를 측정하고 상엽의 조직적 또는 생리적 조건들과 내건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수의 내건성을 판정하는 기준으로서 내건성 비율 (D/D'ㆍ100)을 설정하였다. 단 D는 실험완료시의 건조구의 생장량(조장) D'는 B.C/A로 표시되는 D의 기대치, 이 때의 A는 실험착수당시의 적습구의 생장량 B는 실험착수당시의 건조구의 생장량 C는 실험완료시의 적습구의 생장량 2. 이 내건성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판정한 결과 Cadaneo, 다호한생, 용천추우, 개량서반, 갑선등은 내건성이 강한것에 속하였고 적목, 시평 소번, 개량한생십문자, 청아고교등은 내건성이 약한 것에 속하였다. 3. 엽육조직중에서 내건성과 가장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세포간극율이며 그 상관계수 r=-0.4153(단 5%에서의 유의수준 r=$\pm$0.306)으로 부(-)의 상관이 있고 그 밖에 상, 하면표피조직, 원상조직등은 상당히 연관성은 가지고 있으나 뚜렷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4. 기공의 크기와 분포밀도는 다음과 같이 내건성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크기(장경$\times$건)r=-0.3253, 분포밀도(1$\textrm{mm}^2$내의 기공수)r=+0.5047(단 1%에서 유의수준 r=$\pm$0.423) 그리고 기공의 크기와 분포밀도와의 사이에도 r=-0.3632으로 5% 유의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각종 생리적 조건중에서 내건성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증산량이며 증산량/엽중량 r=-0.3312 증산량/엽면적 r=-0.4151로 각각 5%의 유의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있고 그 밖에 다붕속도, 건물량/엽면적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6. 이것을 종합하여 볼 때에 상수의 내건성을 판정하는 기준으로서는 기공의 분푸밀도가 가장 정확하고 그 외에 세포간극율, 기공의 크기(장경$\times$건), 증산량/엽중량, 증산량/엽면적도 좋은 기준이 될수 있다고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