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pus-based Study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3초

Vocabulary Analyzer Based on CEFR-J Wordlist for Self-Reflection (VACSR) Version 2

  • Yukiko Ohashi;Noriaki Katagiri;Takao Oshikiri
    • 아시아태평양코퍼스연구
    • /
    • 제4권2호
    • /
    • pp.75-87
    • /
    • 2023
  • This paper presents a revised version of the vocabulary analyzer for self-reflection (VACSR), called VACSR v.2.0. The initial version of the VACSR automatically analyzes the occurrences and the level of vocabulary items in the transcribed texts, indicating the frequency, the unused vocabulary items, and those not belonging to either scale. However, it overlooked words with multiple parts of speech due to their identical headword representations. It also needed to provide more explanatory result tables from different corpora. VACSR v.2.0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its predecessor. First, unlike VACSR v.1, VACSR v.2.0 distinguishes words that are different parts of speech by syntactic parsing using Stanza, an open-source Python library. It enables the categorization of the same lexical items with multiple parts of speech. Second, VACSR v.2.0 overcomes the limited clarity of VACSR v.1 by providing precise result output tables. The updated software compares the occurrence of vocabulary items included in classroom corpora for each level of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Japan (CEFR-J) wordlist. A pilot study utilizing VACSR v.2.0 showed that, after converting two English classes taught by a preservice English teacher into corpora, the headwords used mostly corresponded to CEFR-J level A1. In practice, VACSR v.2.0 will promote users' reflection on their vocabulary usage and can be applied to teacher training.

현대 서울말 평서문에 나타나는 억양 연구 - 어말어미 "-아/어, -지요" 와 "-ㅂ/습니다" 를 중심으로 - (An Intonation Study of Predicate ending in Current Korean - From final endings of ${\ulcorner}$-a/e, $t{\int}ijo$${\lrcorner}$ and ${\ulcorner}$p/simnida${\lrcorner}$ -)

  • 유기원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7
    • /
    • 2005
  • This research is for finding proto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onation found in ${\ulcorner}$-a/e, $t{\int}ijo$<${\lrcorner}$ and ${\ulcorner}$p/simnida${\lrcorner}$ among modern Korean predicate statements by constructing spoken corpus based on the current radio broadcast. So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 (1) The construction of the balanced spoken corpus and the standard for boundary determination of rhythm are needed for the intonation model of speech synthesis. (2) Korean intonation units have the splited word tone which includes the nuclear tone and the pre-nuclear tone makes unclear tone more detailed. (3) I made man and woman intonation models individually through t-test of SPSS. (4) The standard intonation model is devided '-ajo'type and '-nida'type

  • PDF

딥러닝 자동 분류 모델을 위한 공황장애 소셜미디어 코퍼스 구축 및 분석 (Building and Analyzing Panic Disorder Social Media Corpus for Automatic Deep Learning Classification Model)

  • 이수빈;김성덕;이주희;고영수;송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3-172
    • /
    • 2021
  • 본 연구는 공황장애 말뭉치 구축과 분석을 통해 공황장애의 특성을 살펴보고 공황장애 경향 문헌을 분류할 수 있는 딥러닝 자동 분류 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에서 수집한 공황장애 관련 문헌 5,884개를 정신 질환 진단 매뉴얼 기준으로 직접 주석 처리하여 공황장애 경향 문헌과 비 경향 문헌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공황장애 경향 문헌에 나타난 어휘적 특성 및 어휘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TF-IDF값을 산출하고 단어 동시출현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황장애의 특성 및 증상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증상 빈도수와 주석 처리된 증상 번호 간의 동시출현 빈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구축한 말뭉치를 활용하여 딥러닝 자동 분류 모델 학습 및 성능 평가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신 딥러닝 언어 모델 BERT 중 세 가지 모델을 활용하였고 이 중 KcBERT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공황장애 관련 증상을 겪는 사람들의 조기 진단 및 치료를 돕고 소셜미디어 말뭉치를 활용한 정신 질환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발표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비교 연구 -발화 속도, 휴지, 담화표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Oral Fluency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L2 Korean Learners in Speech Discourse - With Focus on Speech Rate, Pause, and Discourse Markers)

  • 이진;정진경
    • 한국어교육
    • /
    • 제29권4호
    • /
    • pp.137-16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s for a more objective evaluation of oral fluency by comparing speech patter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L2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speech materials of the 21st century Sejong spoken corpus and Korean learner corpus. We compared the oral fluency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based on speech rate, pause, and discourse mark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is different to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in all aspects of speech rate, pause, and discourse markers; even though proficiency of Korean leaners show increase, they could not reach the oral fluency level of Korean native speakers. At last,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we added suggestions for sett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oral fluency of Korean learners.

Identification of Profane Words in Cyberbullying Incidents within Social Networks

  • Ali, Wan Noor Hamiza Wan;Mohd, Masnizah;Fauzi, Fariz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1호
    • /
    • pp.24-34
    • /
    • 2021
  • The popularity of social networking sites (SNS) has facilitated communication between users. The usage of SNS helps users in their daily life in various ways such as sharing of opinions, keeping in touch with old friends, making new friends, and getting information. However, some users misuse SNS to belittle or hurt others using profanities, which is typical in cyberbullying incidents. Thus, in this study, we aim to identify profane words from the ASKfm corpus to analyze the profane word distribution across four different roles involved in cyberbullying based on lexicon dictionary. These four roles are: harasser, victim, bystander that assists the bully, and bystander that defends the victim. Evaluation in this study focused on occurrences of the profane word for each role from the corpus. The top 10 common words used in the corpus are also identified and represented in a graph. Results from the analysis show that these four roles used profane words in their conversation with different weightage and distribution, even though the profane words used are mostly similar. The harasser is the first ranked that used profane words in the conversation compared to other roles. The results can be further explored and considered as a potential feature in a cyberbullying detection model using a machine learning approach. Results in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formulate the suitable representation. It is also useful in modeling a cyberbullying detection mode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profane word distribution across different cyberbullying roles in social networks for future works.

가변 운율 모델링을 이용한 고음질 감정 음성합성기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Emotional Speech Synthesis System using Variable Prosody Model)

  • 민소연;나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92-3998
    • /
    • 2013
  • 본 논문은 고음질의 대용량 코퍼스 기반 음성 합성기에 감정 음성 코퍼스를 추가하여 보다 다양한 합성음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형 접합형 합성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감정 음성 코퍼스를 구축하여 기존의 일반 음성 코퍼스와 동일한 합성단위 선택과정을 통해 합성음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감정 음성 합성을 위해 태그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고, 억양구 단위로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감정 음성으로 합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일반 음성으로 합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음성에서 운율을 구성하는 요소로 휴지기(break)가 있는데, 감정 음성의 휴지기는 일반 음성보다 불규칙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합성기에서 생성되는 휴지기 정보를 감정 음성 합성에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변 휴지기(Variable break)[3]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실험은 일본어 합성기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 일반 음성의 휴지기 예측 모듈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자연스러운 감정 합성음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전통문화 말뭉치구축 및 Bi-LSTM-CNN-CRF를 활용한 전통문화 개체명 인식 모델 개발 (Constructing for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rpus and Development of Named Entity Recognition Model using Bi-LSTM-CNN-CRFs)

  • 김경민;김규경;조재춘;임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7-52
    • /
    • 2018
  • 개체명 인식(Named Entity Recognition)시스템은 문서로부터 고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인명(PS), 지명(LC), 기관명(OG) 등의 개체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개체명의 범주를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딥러닝 방식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 연구에서 입력 데이터의 앞, 뒤 방향을 고려한 LSTM 기반의 Bi-LSTM 모델로부터 출력 데이터 간의 전이 확률을 이용한 CRF를 결합한 방식의 Bi-LSTM-CRF가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문자 및 단어 단위의 효율적인 임베딩 벡터생성에 관한 연구와 CNN, LSTM을 활용한 모델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자질을 보강한 Bi-LSTM-CNN-CRF 모델에 관해 기술하고 전통문화 말뭉치구축 방식에 대해 제안한다. 그리고 구축한 말뭉치를 한국어 개체명 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자질 보강 모델 Bi-LSTM-CNN-CRF로 학습한 결과에 대해 제안한다.

Comparing Init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to Differentiate between Krabbe Disease and Metachromatic Leukodystrophy in Children

  • Koh, Seok Young;Choi, Young Hun;Lee, Seul Bi;Lee, Seunghyun;Cho, Yeon Jin;Cheon, Jung-Eu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5권2호
    • /
    • pp.101-108
    • /
    • 2021
  • Purpose: To identify characterist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eatures to differentiate between Krabbe disease and metachromatic leukodystrophy (MLD) in young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We collected all confirmed cases of Krabbe disease and MLD between October 2004 and September 2020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Patients with initial MRI available were included. Their initial MRI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the following: 1) presence of white matter signal abnormality involving the periventricular and deep white matter, subcortical white matter, internal capsule, brainstem, and cerebellum; 2) presence of volume decrease and signal alteration in the corpus callosum and thalamus; 3) presence of the tigroid sign; 4) presence of optic nerve hypertrophy; and 5) presence of enhancement or diffusion restriction. Results: Eleven children with Krabbe disease and 12 children with ML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or symptoms at onset. Periventricular and deep white matter signal alterations sparing the subcortical white matter were present in almost all patients of the two groups. More patients with Krabbe disease had T2 hyperintensities in the internal capsule and brainstem than patients with MLDs. In contrast, more patients with MLD had T2 hyperintensities in the splenium and genu of the corpus callosum. No patient with Krabbe disease showed T2 hyperintensity in the corpus callosal genu. A decrease in volume in the corpus callosum and thalamus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patients with Krabbe disease than in those with MLD. Other MRI findings including the tigroid sign and optic nerve hypertroph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ignal abnormalities in the internal capsule and brainstem, decreased thalamic volume, decreased splenial volume accompanied by signal changes, and absence of signal changes in the callosal genu portion were MRI findings suggestive of Krabbe disease rather than MLD based on initial MRI. Other MRI findings such as the tigroid sign could not help differentiate between these two diseases.

문법화와 코퍼스의 관점에서 본 영어 분리부정사 통사구조 (Syntactic Structure of English Split Infinitives from the Perspectives of Grammaticalization and Corpus)

  • 김양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45-251
    • /
    • 2020
  • 영어의 분리부정사구문을 통시적 연구인 문법화의 관점에서 중세영어이후 출현 동기를 살펴보고 COHA, COCA와 같은 코퍼스에 기반하여 주로 미국영어에 나타나는 현재영어(PDE)의 분리부정사의 정당성을 논의하는 것이 연구의 목표이다. 중세영어 이전에는 비문법적이었던 부정사 첨사인 to와 원형동사 사이에 부사 등이 위치하는 [to + 부사 + 동사] 형태의 분리부정사가 어떻게 현재영어에서는 문법적 구문이 되었는지에 대한 출현 동기와 정당성을 살펴본다. 문법화와 코퍼스의 실증적 자료에 기초하여 분리부정사구문의 문법성을 입증하고 영어 분리부정사구문의 출현에 관한 통시적 분석인 문법화 과정을 그 증거로 제시한다. 분리부정사가 왜 만들어지는가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동사이동의 소멸이라는 통시적 문법화를 들 수 있다. 코퍼스 자료에 기초한 통사·화용적인 이유는 표현의 명확성 즉, 탈중의성을 위한 것이거나 분리자인 부사를 통해 인상적인 강조를 하기 위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부사가 to와 원형동사를 분리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문제는 더 이상 문법적 논의의 대상이 아니며 앞으로도 분리부정사의 형태는 자연스러운 문법적 구문으로 문맥상 필요한 경우 더욱 증가하는 추세를 보일 것이다.

유성음 구간 검출을 위한 간단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mple Algorithm for Discrimination of Voiced Sounds)

  • 장규철;우수영;박용규;유창동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727-73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유ㆍ무성음 구간을 검출하기 위한 간단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음성의 유ㆍ무성음의 주기성에 대한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저대역 에너지와 영교차율, 그리고 주기성의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피치 변화량을 파라미터로 사용하였다. 유ㆍ무성음의 구간검출을 음소단위의 검출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여 음소군의 검출율과 음소군내의 음소의 검출율을 얻었다. TIMIT코퍼스 (corpus)를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하여 실험했을 때 유성음 음소 검출율이 약 13%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