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care uni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맛사지와 운동이 심도자검사 환자의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assage and exercise on discomfort in patients following cardiac catheterization)

  • 이은자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1-94
    • /
    • 1997
  • Cardiac catheterization has become a routine diagnostic procedure indicated for evaluation of a wide variety of cardiac conditions. Patients are admitted to the coronary care unit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These conscious patients used to report discomfort in the CCU, but no studies have been done to reduce discomfort induced by bed rest, sand bag on the femoral puncture site and restricted mobility for about 20 hours postprocedure. The main objective of thesis is to provide basic data to nursing on interventions which decrease discomfort perceived by patients in the CCU following cardiac catheterization. The subjects were 79 patients following cardiac catheterization who were admitted to the CCU of a general hospital in Inchon.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massage-applied group, an exercise-applied group and an contrast group. Questionare was prepared by Lee(1995), and tested for content reliability by item analysis : Cron bach's ${\alpha}$ for the instrument measuring discomfort was. 63.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5 to May 15, 1996.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paired t-test, ANOVA ,SNK test,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 massage-applied group, an exercise-applied group and an contrast group according to general information except religion and admission period. 2. There wer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results of pretest (The score of the first : 55.5, the second : 54.3 and the last : 51.6), 3. In the degree of discomfor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marital statu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ex, age, occupation, number of family, religion, educational status and admission period. 4. There was effect on reduced discomfort with massage or exercise following cardiac catheterization.

  • PDF

허혈성심질환 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 (The Trend and Issues of Nursing Research Related to Ischemic Heart Disease Published in Korea)

  • 이종율;이향련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89-102
    • /
    • 2003
  •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trend of studies related to IHD(Ischemic Heart Disease). This article reviewed 102 researches on IHD conducted from 1980 to 2003, by examining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sources by publication period, research design, nursing intervention, outcome of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me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IHD has steadily increased year by year since 1985, and that of the articles was the highest during the post-2000 period. Especially, the majority of researches has published since 1995. 2. The 69 studies were degree of all 102 studies related to IHD, and the majority of articles' authors belonged to graduate school. Thirty three studies were non-degree articles. As for study design, the number of quantitative studies were 99 and that of qualitative studies were 3. Non-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ere largely survey and correlational study. 3. Non-experimental study makes up a high proportion of the quantitative study. The most of experimental studies were accomplished after 2000. The main subjects were patients, chart records and general subjects. The majority number of subjects was like this : while the number of non-experimental study was between 51 and 100, that of experimental study was below 50. The number of subject of qualitative study is like this : the number of phenomenology study was 21 and 11, and that of case study is 14. 4. Nursing interventions used in the experimental study comprised teaching program,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massage, relaxation, music therapy and providing of sense information. And the most nursing intervention effects included physiological effect, increased self-efficacy, relieved pain and increased quality of life. Most studies proved to have the affirmative effects. 5. The number of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IHD is like this : the number of degree articles was 2 and that of non-degree articles was 1. Its themes included resources of hope, the experience of coronary artery angiography and the experience of admission at ICU(Intensive Care Unit).

  • PDF

Recurrent ST segment elevations in a patient with asymptomatic early repolarization during head and neck surgery: implications of vasospastic angina

  • Park, Se-Ung;Kim, Sung-Hoon;Kwon, Hye-Mee;Koh, Gi-Ho;Nam, Gi-Byoung;Karm, Myong-Hwan;Kim, Wook-Jong;Ku, Seung-Woo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8권3호
    • /
    • pp.189-193
    • /
    • 2018
  • A 57-year-old woman scheduled for cochlear implant removal exhibited preoperative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of early repolarization (ER). Four episodes of transient ST segment elevations during surgery raised suspicion for vasospastic angina (VA). In the post-anesthetic care unit, the patient complained of chest discomfort and received sublingual nitroglycerin with uncertain effect. The patient refused to proceed with postoperative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resulting in inconclusive diagnosis. Intraoperative circumstances limit the diagnosis of VA, which emphasizes the need for further testing to confirm the diagnosis. When VA is suspected in patients with underlying ER,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invasive examination to establish the diagnosis and prevent recurrence of VA. If ST changes are observed during surgery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ER, careful monitoring is recommended. Due to general anesthesia, the absence of patient symptoms limits the definitive diagnosis of those with suspected VA. Therefore, additional postoperative surveillance is recommended.

급성 신손상을 동반한 가와사키 쇼크증후군 1예 (Kawasaki Disease Shock Syndrome with Acute Kidney Injury and Hypertension)

  • 최재홍;김윤주;김영돈;한경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2호
    • /
    • pp.112-116
    • /
    • 2017
  • 가와사키병은 다른 원인이 없는 발열과 함께 피부점막에 특징적인 병변을 보이는, 소아에서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급성기에는 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이다. 저자들은 심한 저혈압과 함께 급성 신손상이 있는 상태에서 내원한 8세 남아가 치료 중에 가와사키병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다. 최근에는 가와사키병 초기에 불안정한 혈역학적 상태를 가와사키병 쇼크증후군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환아는 면역글로불린 치료 후 임상적으로 회복되었으나 관상동맥 확장 합병증이 확인되어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으며, 가와사키병의 합병증으로서는 비교적 드문 고혈압이 확인되어 베타 차단제를 사용하고 있다. 본 증례를 통해 가와사키병 쇼크증후군의 임상 양상을 알고, 혈관염이라는 가와사키병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혈압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On Pump-CABG와 Off Pump-CABG의 임상적 고찰에 관한 비교연구 (The Comparison of Clinical Study of Off Pump and On Pump CABG)

  • 유경종;임상현;송석원;김치영;홍유선;장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261-266
    • /
    • 2002
  • 배경 및 목적; 심폐체외순환의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최근 들어 심폐체외순환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로술(Off pump CABG)이 시도되고 있다. 이 연구는 Off pump CABG와 심폐체외순환하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로술(On Pump CABG) 의 수술 전 위험요소와 수술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CABG를 시행 받았던 178명중에서 판막수술이나 심실절제술 등 동반 수술이 없었던 1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Off Pump CABG환자는 52명이었고 On Pump CABG환자가 114명이었으며,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전 위험인자와 관상동맥 질환의 정도 및 수술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간의 연령, 남녀 비, 수술전 당뇨, 고혈압, 흡연력, 고지질증, 가족력 등 위험요소에 대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며, 폐쇄성 폐 질환이나 말초 동맥혈관 협착증 및 뇌경색의 기왕력, 심근경색의 기왕력이나 흉통의 정도(Canadian Class),관상동맥 질환의 정도 및 심박출계수도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시간은 Off Pump CABG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고(234 $\pm$ 37 min vs 290 $\pm$ 48 min, p<0.001), 이 식편수는 On Pump CABG에서 유의하게 많았다(3.4 $\pm$ 0.9개 vs 2.6 $\pm$ 0.8개, p<0.001). 수술 후 사망은 없었으며, 수술 후 측정한 CK-MB는 Off Pump CABG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10.1 $\pm$ 13.5 IU/L vs 33.1 $\pm$ 18.2 lU/L, p<0.001) 호흡기 사용시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14.8 $\pm$ 3.5 hours vs 16.2 $\pm$ 4.9 hours, p=0.048). 그 외 24시간 출혈량, 출혈로 인한 재수술, 중환자실 입원 기간, 수술 후 심근경색증, 감염, 신부전증, 신경과적 합병증 및 수술 후 입원 기간 등 수술 후 결과와 유병율에는 두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Off Pump CABG는 On Pump CABG에 비해 수술시간의 단축과 수술 후 심근 손상의 정도가 낮고, 호흡기 사용시간이 짧게 나타났으나 On Pump CABG에 비해 이식편수가 적었다. 대체로 Off Pump CABG는 On Pump CABG에 비해 수술 후 결과에서 약간의 장점을 보여주었으나 Off Pump CABG의 장점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단독관상동맥우회로술 후 발생한 심방세동 (Postoperative Atrial Fibrillation after Isolate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 서종희;박찬범;문미형;권종범;김영두;진웅;문석환;김치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14-21
    • /
    • 2009
  • 배경: 심방세동은 관상동맥우회로술후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대부분 일시적이고 양호한 경과를 보이나, 혈전색전증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며, 유병률의 증가와 재원기간의 증가로 인하여 의료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단독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190명의 환자 중 수술 후 심방세동이 발생한 군(1군: n=139)과 발생하지 않은 군(2군: n=51)을 나누어 수술 후 심방세동 발생율, 환자의 특성, 수술관련 인자 및 수술 후 심방세동 발생으로 인한 결과를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심방세동의 발생율은 26.8%였으며, 퇴원전까지 정상동방결절리듬으로 회복된 경우는 82.4%였고, 심방세동 발생 환자의 82.4%는 수술 후 3일 이내에 발생하였다. 술후 심방세동군에서는 나이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대동맥겸자 차단시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대동맥 겸차차단 해제시 자발적으로 정상 심전도를 회복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으며, 체외순환시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후 베타차단제의 사용이 심방세동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원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중환자실 체류기간은 심방세동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연령, 대동맥겸차 해제후 자발적 심박동 회복여부, 중환자실 재원기간 및 술후 베타 차단제의 사용이 유의한 인자로 분석되었다. 결론: 관상동맥우회로술후 심방세동은 매우 흔한 합병증으로 유병률이 증가되며, 중환자실 재원기간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술후 심방세동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별한 금기사항이 없다면, 술후 베타 차단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술의 임상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Cardiac Surgery Using Minimal Incision)

  • 김광호;김정택;이서원;김혜숙;임현경;이춘수;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73-378
    • /
    • 1999
  • 배경: 최근에 시작된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은술 환자에게 미용상 효과가 좋으며, 통증이 적으며 빠른 회복을 가져온다. 본 교실에서는 그간 실시한 소절개심장수술의 현황을 임상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2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이후 1998년 11월까지 총 31례의 소절개술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실시하였다. 남녀 비는 17:14였으며, 1세에서 75세까지의 연령분포를 보였다. 흉골좌연종절개술을 실시한 예는 9례로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공심폐기의 사용없이 박동상태에서 내유동맥으로 좌전행지관상동맥에 우회술을 실시하였는데, 그 중 1례는 내유동맥의 비꼬임으로 술 후 1주일 째 재수술한 경우였다. 흉골우연종절개는 1례로 승모판교련절개술 후 재발된 협착증에 대해 승모판치환술을 실시한 경우였다. 소흉골절개선으로 수술한 예는 21례로, 승모판치환 및 삼첨판성형술이 6례, 승모판치환술 5례, 중복판치환술 2례, 대동맥판치환술 1례, 좌심방점액종 1례, 심방중격결손증 2례, 심실중격결손증 2례, 우심실 자창 1례였다. 처음 5례는 T형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으나 경험이 쌓이면서 대동맥기저부의 노출이 좋고 흉골 봉합시 안정감이 높은 화살모양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술시간, 인공심폐 구동시간, 대동맥차단시간,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수술 1일까지의 흉관배액양, 흉관 거치기간, 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은 기존의 정중흉골절개선 예들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사망 예는 2례였으며 1례는 흉골소절개선으로 승모판치환 수술 1일에 대동맥 삽관부위의 파열로 출혈 사망하였고, 다른 1례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 후 2일에 부정맥으로 사망하였다. 사망의 원인과 수술절개선의 선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합병증은 뇌색전증 1례, 창상의 혈종 1 례가 있었다. 결론: 소절개선으로도 정중흉골절개선과 마찬가지로 심장 수술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후 발생하는 심 방세동의 위험요인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유경종;고영호;임상현;강면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599-605
    • /
    • 1996
  • 연세대학교심장혈관 센터에서는 1990년 1월 부터 1994년 12월까지 281명의 관상동맥 우회로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수술전 심방세동이 있던 환자,판막질환 수술 및 심근경색의 합병증의 수술을 병행 하였던 환자 32명을 제외한 249명에 대해 수술전,수술시 및 수술후 심방세동 발생의 위험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환자의 연령은 24세에서 78세 사이로 평균 58.2$\pm$9.)세 였으며,남자가 182명, 여자가 67명 이었 다. 제 1군에 속하는 환자는 38명(15%) 이 었고 제 2군에 속하는 환자는 211명(85%) 이었다. 수술후 심방 세동이 발생한 시간은 환자가 중환자실에 도착한 후 8시간에서 336시간 사이에 발생하여 평균 59.1 $\pm$56. 9 시간 이 었으며(median time : 48 hours), 정상 동 율동으로 돌아온 시간은 심방세동이 발생한 후 1시간 에서 144시간 사이로 평균 26.7 $\pm$33.9시간이었다(median time : 12.5 hours). 퇴원시 심방세동을 보였던 모든 환자는 정상 동율동을 보였다. 심방세동이 발생하기 전과 발생한 직후 측정한 심박출계수는 발생 전 평균 3.9$\pm$ 1.1 L/min/m.에서 발생직후 3.2$\pm$ 1.1 L/min/m'로 통계 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 001). 분 \ulcorner嘯\ulcorner통계학적인 유의성을 가진 변수는 univariate analysis 에서 수술전 좌심실 박출계수, triglyceride 수치, 수술후 측정한 peak CKMB isoenzyme, 심방 pacing의 여부, 입원기간 및 만기사망이 었 다. 좌심실 박출계수(p=0.025), triglyceride 수치(p=0.006) 및 peak CKMB isoenzyme(p=0.002)은 낮은 경 우에 심방세동의 발생이 증가하였으며,심방 pacing을 찬 경우에 심방세동의 발생이 증가하였다(p=0. 001). 또한 심방세동이 발생한 군에서 입원기간이 길었으며(p=0.001), 만기사망이 많았다(p=0.033). Multivariate analysis 에서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보이는 변수는 수술전 체중과 심방 pacing의 여부였다. 체중은 많이 나갈수록 심방세동의 발생 이 .증가하였으며(p=0.011), 심방 pacing을 한 경우에 심방세동의 발생이 증가하였다(p=0.001). Univariate 및 multivariate analysis 에서 환자의 나이는 통계학적인 유의성 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나이가 증가할수록 심방세동의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p=0.053, p=0.064). 평균 추적기간은 30.1 $\pm$ 15.4 개월이었으며, 추적율은 98%였다. 이 기간 동안 심방세동을 보일 예는 없었다. 연구결과 수술 \ulcorner발생하는 심방세동은 어느 한가지 요인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여러가지 요인이복합 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술후 나타나는 심방세동은 혈동학적 인 장애를 유발 할 뿐만 아니라 입원기간을 증가시키고, 만기사망을 증가시키므로 위험요소가 있거나 위험요소가 발생 시 적극적 인 예방이나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관상동맥 우회술 환자의 술 후 합병증 예견에 대한 BNP의 역할 (The Role of B-type Natriuretic Peptide in Predict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정태은;이장훈;도형동;한승세;이동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55-60
    • /
    • 2008
  • 배경: 혈 중 BNP 수치는 심부전 환자의 예후에 정보를 제공한다고 잘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술 전과 술 후 BNP 수치가 관상동맥 수술한 환자의 술 후 합병증 및 결과를 예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 1일부터 1년간 심폐기를 사용한 관상동맥 환자 30명을 전향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남/여=19/11, 평균 나이 $60{\pm}9.6$세). 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관상동맥우회수술을 한 경우와 동시에 판막 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BNP 측정은 술 전, 수슬 직 후, 및 술 후 1, 3, 5, 7일째 혈액 채취를 하여 검사하였다. 결과: 술 전 BNP 수치와 술 전 초음파를 통한 심장 구혈률(r=-0.4, p=0.028)과 중환자실에서 5일 이상 치료한 경우(r=0.39, p=0.031)는 통계학적인 의미가 있었다.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curve를 사용하여 술 전 BNP 수치가 술 후 합병증을 예견하는 cut-off치는 특이도 90.5%에서 263 pg/mL이었다. 슬 후 합병증이 없는 군과 발생한 군 사이에서 BNP 수치의 변화를 보면 술 전 BNP 수치(평균 BNP=$99{\pm}23\;pg/mL$ vs $296{\pm}74\;pg/mL$, p<0.05)와 술 후 7일째 BNP 수치(평균 $212{\pm}29\;pg/mL$ vs $408{\pm}23\;pg/mL$, p<0.01)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차이가 있었다. 결론: 술 전 BNP 수치가 263 pg/mL 이상이면 술 후 합병증을 예견할 수 있다. BNP 수치는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의 술 후 합병증의 가능성을 예견하는 유용한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개심수술후 심장부정맥에 대한 임상적 연구: 원인,빈도 및 치료 (Postoperative Arrhythmia after Open Heart Surgery - Cause, Incidence and It`s Management -)

  • 장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9호
    • /
    • pp.843-852
    • /
    • 1991
  • We prospectively studied postoperative cardiac arrhythmia after open heart surgery to analyze the types and incidence of cardiac arrhythmia and to predict preoperative risk factors. And also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atrial and ventricular epicardial electrodes which were placed during operation Between March 1990 and August 1990, We had operated on in 211 patients and we studied 201 consecutive patients excluding 10 patients. The study group included 99 males and 102 female patients, ages 1 month to 75 years[Mean$\pm$SD=28.0$\pm$21.7 years]. Postoperatively, all patients were regularly seen by the cardiac surgeon and cardiologist, They had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monitoring for the first 3 days, initially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were checked routine electrocardiography on the postoperative 7 days, The postoperative cardiac arrhythmia were analyzed and possible associations of this arrhythmia with various pre, intra, and postoperative factors were studi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discriminant analysis, The overall incidence of postoperative cardiac arrhythmia except relative sinus bradycardia was 36.8%;[74/201],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cardiac arrhythmia in a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19.4%,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20.8%, cardiac arrhythmia surgery: 33.3%, acquired valvular heart disease: 60.9% and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38.9%.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studies indicated the pre operative symptom duration[p = 0013], the duration of medication[p=0.003], presence of preoperative arrhythmia[p<0.001] and pre-operative left atrial dimension in echocardiography to be the factor promoting postoperative cardiac arrhythmia. Multivariate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nce of preoperative cardiac arrhythmia, bypass time and the duration of preoperative symptom duration conveyed considerable risk factor on post-operative arrhythmia. The atrial wire electrodes were used diagnostically in 36 and were used therapeutically in 89 among 201 patients. Atrial pacing were used to treat relative sinus bradycardia, accelerated junctional tachycardia or premature atrial or ventricular contractions in 51 patients. Atrioventricular sequential pacing were used in 16 patients and ventricular pacing were used in 20 patients. Hemodynamics were evaluated in 2 patients of relative sinus bradycardia before and after atrial pacing. The atrial pacing increased the amount of cardiac output to 15% more. Because of their great utility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rrhythmias, we conclude that routine placement of atrial and ventricular electrodes at the time of operation is indicated regardless of the nature of the open-heart proced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