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artery ectasia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Annuloaortic Ectasia 의 수술치험 (1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Annuloaortic Ectasia (Report of One Case))

  • 조광현;박철호;류지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340-346
    • /
    • 1988
  • The surgical treatment of annuloaortic ectasia falls into two basic categories, depending on the management of the coronary artery ostia and the sinus of Valsalva. The conventional method, first suggested by Groves, Wheat and their associates, employs a supracoronary graft for the treatment of aneurysm and conventional valve replacement. A more radical approach, that of Bentall and DeBono, uses a valve conduit from the aortic annulus to the distal extent of the aneurysm. This latter technique requires reimplantation of the coronary artery ostia for reestablishment of coronary artery blood flow.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annuloaortic ectasia to which we applied the Bentall operation with the good postoperative result, and now we report this with literature review.

  • PDF

Teflon felt를 이용한 Bentall 술식 치험 5례 (Bentall's Operation -5 Case Report-)

  • 정철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2호
    • /
    • pp.153-156
    • /
    • 1994
  • Bentall`s operation for repair of annuloaortic ectasia has been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bleeding and with false aneurysm of the anastomotic site between the coronary orifice and composite graft.Among 5 cases, 2 cases have been operated direct anastomosis between coronary artery and vascular graft.Remained 3 cases have been operated with doughnutlike Teflon felt buttress.The technique of sandwiching the freed button of aortic wall bearing the coronary artery ostium between an outer Teflon felt doughnutlike buttress and the inner composite graft provides a leak-proof anastomosis.We experienced one case reoperation for bleeding at coronary anastomotic site above method.

  • PDF

Comparison of mean platelet volume levels in coronary artery ectasia and healthy peopl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Moghadam, Reza Heidary;Shahmohammadi, Afshar;Asgari, Nader;Azizi, Koorosh;Mansour, Sahar Mehr;Roozbahani, Mohammad
    • BLOOD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269-275
    • /
    • 2018
  • Coronary artery ectasia (CAE) is defined as the dilation of a segment of a coronary vessel to at least 1.5 times the diameter of its normal adjacent segment. Mean platelet volume (MPV) plays a role in acute coronary syndromes, with high MPV correlating to poor prognosis for acute thrombotic events and CAE. Several studie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PV and CAE, resulting in conflicting results. These results led us to systematically review all studie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PV and ectatic heart diseases by performing a meta-analysis study in order to report a unified result. This meta-analysis study investigated all case-control articl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PV and CAE. All studies in the following databases published until January 31, 2018, were investigated: Science Direct, Scopus, PubMed, Google Scholar, and Web of Science. Following a quality control evaluation, 14 articles, all of which were published following studies performed in Turkey from 2007 to 2016, met the criteria for study inclusion. After pooling the results from all of the articles, a total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value of 0.584 (95% CI, 0.219, 0.95) was obtained using the D+L pooled SMD,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2) between the two groups, with higher MPV values in ectatic patients when comparing to healthy individuals. Therefore, increased MPV leve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AE, suggesting that platelets, with their inflammatory and thrombotic activities, play a role in this disease. Therefore, anti-platelet and anti-inflammatory therapies may be effective in treating CAE.

Marfan 증후군에 동반된 우관상동맥 폐쇄증 - 1 례 보고 - (Right coronary artery atresia in Marfan's syndrome: A case report)

  • 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9호
    • /
    • pp.720-723
    • /
    • 2001
  • 우관상동맥 폐쇄증을 동반한 Marfan 증후군환자를 보고한다. 환자는 45세 여자로 약 1년 전에 Marfan 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최근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손가락과 발가락이 긴 지주증과 돌출흉이 있고 몸통에 비해 사지가 긴 전형적인 외형을 갖고 있었다. 시력이 매우 약하고 수정체의 아탈구가 있었다. 심초음파상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은 경도로 있었고, 좌심실의 중등도 확장과 심박출율의 중등도 저하가 있었다. 수술시에 우관상동맥의 폐쇄증을 발견하였다.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과 대동맥 확장증에 대해서 SJM 27mm composite graft를 이용하여 좌관상동맥에는 Bentall 술식과 우관상동맥에는 PTFE 6mm를 이용하여 변형된 Piehler 식 방법으로 수술을 하였다. 원래의 우관상동맥구로 추정되는 부분부터 우관상동맥 원위부의 혈류가 있는 곳까지의 결손부위는 약 4cm 가량 되었다. 관상동맥 폐색증과 Marfan 증후군의 조합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양측 관상동맥의 혈류 재건을 위하여 각기 다른 술식으로 수술하였다.

  • PDF

Bentall 수술 10년 후 발생된 좌관상동맥 가성동맥류의 수술 치료 (Surgical Repair of Left Coronary Artery Pseudoaneurysm 10 Years after a Bentall's Procudure)

  • 이삭;강면식;임상현;장병철;홍유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225-227
    • /
    • 2007
  • 대동맥 wrap-inclusion 술식은 고유의 Bentall 수술에서 수술 후 지나친 수술의 예방을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 비록 이 수술이 대동맥근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과를 향상시켰다고는 하나 관상동맥 연결부위의 관상동맥 협착, 비틀림, 가성동맥류 형성 등의 조기 및 만기 합병증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Wrap-inclusion 술식을 이용한 복합이식 후 대동맥 주위 가성동맥류 형성은 비교적 드물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본원에서는 45세의 여자 환자에서 inclusion technique으로 Bentall수술을 받은 후 10년만에 발생한 대동맥주위 가성동맥류를 Cabrol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ortic Composite Valve Graft의 이식시 인조혈관을 이용한 좌 관상동맥의 문합술 1례 보고 (Use of an Interposition Tube Graft for the Reattachment of Left Coronary Ostium to the Aortic Composite Valve Graft. -One Case-)

  • 김창남;최종범;최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46-650
    • /
    • 1996
  • Aortic composite valve graft를 이식하는 술식에서 관상동맥을 문항하는 방법에 따라 그 단점과 합병증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었던 방법과 달리, composite graf 문합부의 긴장을 줄여 출혈을 최소화하고 만기에 발생할 수 있는 가성 대동맥류를 방지할 수 있는 술식을 서술하고자 한다. 저자들은 심한 대동맥판 폐쇄부전이 합병된 급성 대동맥 박리 (DeBakey Type I)를 가진 40세 남자에서 composite graft의 이식과본변형술식을시행했다 본술식에서 좌관상동맥구에 직경 10mm의 인조혈관을문합하고 그 원위부를 composite gray떼 문합하였으며 우 관상동맥 단추편은 composite graf떼 직접 문합하였다. 이 방법으로 판륜 가까이에 위치한 좌관상동맥구를 과도한 긴장없이 composite gray에 쉽게 부착할 수 있어서 술후 출혈 및 가성동맥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개심술후 출혈로 인한 응급 개흉술 81례의 임상적 고찰 (Reoperation for Hemorrhage Following Open Heart Surgery with Cardiopulmonary Bypass A Report of 81 cases)

  • 오중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753-758
    • /
    • 1985
  • Hemorrhage is an important complication after operation with cardiopulmonary bypass and sometimes necessitates a further emergency operation. Between July, 1962 and June, 1985, reoperation for hemorrhage was carried out on 81 patients [3.1%] out of a total 2634 patients who had previously undergone cardiopulmonary bypass surgery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There were 38 males and 43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25 years [ranging 6 months to 60 years] and an average body weight of 38 kg [ranging 5 to 77 kg].There were 43 patients of cyanotic heart disease, 32 patients of acquired valvular heart disease, 4 patients of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2 patients of ascending aorta aneurysm and annuloaortic ectasia. The average amount of blood loss in the case of cyanotic heart disease was 71.7140ml/kg, in acyanotic heart disease 45.16.3ml/kg, in acquired heart disease, 56.514.4ml/kg and in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50.618.7ml/kg during first post operative da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p>0.05]. The mean blood loss below 10 years old was 70.412.1 ml/kg. Those below 10 years old were believed to bleed more than any other group. But there was also no statistical difference [p>0.05]. Indications for reoperation were continued excessive blood loss [74%], cardiac tamponade or hypotension [23%] and radiological evidence of a large hematoma in the thorax and pericardium [2%]. Average bypass time was 2.10.1 hours [ranging 30 minutes to 5 hours]. The interval between operation and reoperation was as follows; less than 12 hours in 49 patients [60%], 12 to 24 hours in 20 patients [25%], 24 to 48 hours in 8 patients [10%], more than 48 hours in 4 patients [5%]. The commonest sites for bleeding were chest wall [36%], heart [34%], aorta [12%], pericardium [6%], thymus [5%] and others [6%]. But no definite source was found in ll patients [31%]. Twenty seven out of 81 patients [31%] had wound problems and 5 patients [6%] were expired. [Mean SEM]. In conclusion, in order to decrease the amount of blood loss after open heart surgery with cardiopulmonary bypass, shortening of bypass time and bleeding control at the wire suture site during chest wall closure were important. If the amount of blood loss was over 45 ml/kg or 8 m/kg/hour, reoper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soon as possible. After operating, careful wound dressings were applied to prevent wound problems.

  • PDF

Composit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 Button 술식의 중단기 결과 (Composite Graft Aortic Root Replacement with Coronary Button Reimplantation: The Early and Mid-Term Results)

  • 나찬영;백만종;김웅한;오삼세;김수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356-364
    • /
    • 2002
  • 목적 본 연구는 대동맥근부를 침범한 상행대동맥류 환자에서 composit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시 button 술식을 이용한 수술의 중단기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및 대상 1995년 4월부터 2001년 9월까지 composite valv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 환자중 button 술식을 이용한 5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술전 좌심실 기능부전 14명(25.9%),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48명(89%), 그리고 Mafarn 증후관17명(31.5%)에서 동반되었다. 진단은 대동맥판륜 확장증 29명(53.7%), 대동맥 박리증 11명(20.4%), 대동맥근부를 침범한 상행대동맥류 12명(22.2%), 그리고 대동맥염이 2명(3.7%)이었다. 과거에 심장이나 상행대동맥 수술을 받은 환자는 6명(11.1%)이었다. 근부치환술은 모든 환자에서 composite graft를 이용하여 button 술식으로 시행하였다. 동반수술은 대동맥궁 치환술 21명(38.9%), 관상동맥우회술 7명(13.%), 승모판 성형 혹은 치환술 4명, 그리고 기타 6명이었다. 평균 순환정지, 체외순환 및 대동맥차단 시간은 각각 18 $\pm$ 9분, 177 $\pm$ 42분과 127 $\pm$ 31분이었다. 결과 조기 사망은 1명(1.9%)에서 있었다. 술후 생존자 53명중 52명(98.1%)에서 평균 24.6 $\pm$ 19.5 개월(1-78개월)을 추적하였다. 만기 사망은 외상성 뇌출혈로 사망한 1명을 포함해 2명(3.8%)이었으며 대동맥근부 치환술과 관련한 만기 사망률은 1.9%였다. 한편 술후 1년과 6년 survival rate는 각각 98.0 $\pm$ 2.0%와 93.1 $\pm$ 5.1%였다. 대동맥근부 치환술과 관련한 만기 합병증은 근부 봉합 부위에 발생한 가성동맥류와 인공대동맥 판막 기능부전이 각각 1명에서 발생하여 재수술이 필요하였으며(3.8%), 1년과 6년 후 재수술의 freedom rate는 각각 97.9 $\pm$ 2.1%와 65.3 $\pm$ 26.7%였다. 잔여 대동맥에 대한 수술은 1명에서 박리성 흉복부대동맥류에 대해 단계적으로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Bentall수술에서 inclusion technique 과 open technique의 비교 (Comparision of Inclusion TechnicRue with Open Technique in Patients with Bentall Procedures)

  • 김정택;문준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06-511
    • /
    • 1997
  • 1980년 10월부터 1995년 5월까지 대동맥근 치환을 받은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inclusion technique(IT)과 open technique(OT)의 수술성적을 비교하였다 대동맥근 치환술의 원인으로 W군에서는 대동맥륜확장을 동반할 상3n대동맥 동맥류가 20례, 대동맥박리가 8례, 그리고 인공판막심내막염이 1례였다. 07군에서는 대동맥륜 가성동맥류가 1례 있었다. 수술방법으로 Bentall등이 기술한 방 확장이 9례, 대동맥박리가 14례, 상행대동맥 법 또: 약가 변형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술사망은 W군에서 패혈증과 심실부정 맥으로 각각 1례가 사망하 o3고 07구에서는 출혈로 1례가 사망하였다. 만기합병증은 W군에서 8례 발생하였으며 Of군에서 2례 발생하다. 마기사망은 W군에서 7례,07군에서 1례 발생하였다. 12개월 event free는 W군과 07군에서 각각 87% 와 85%, 24개월 생존률은 각각 87% 와 95%로 W군이 24개월생존률이 약간 높았으나 두 군 간에 통계학적 이 유의성은 없었다. nan으로 대동맥륜확장을 동반한 상행대동맥류나 대동맥박리에서 composite valve를 이용한 대동맥근 치 화술으 마조할 만한 단기 수술결과를 보여주었으나 inclusionfwrap technique과 ope technique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prothesis와 관련된 만기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술 후 추적관찰에 대한 노력이 장기생존에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동맥륜대동맥확장(Annuloaortic Ectasia) 환자에서 대동맥판막을 보존하면서 시행된 대동맥근부 및 상행대동맥 치환술의 단기 성적 (Early Results of Aortic Valve-sparing Procedures in Patients with Annuloaortic Ectasia)

  • 성기익;박계현;이영탁;전태국;양지혁;김수완;김진선;조성우;김시욱;최진호;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483-488
    • /
    • 2005
  • 대동맥판막을 치환하지 않고 보존하면서 대동맥근부 및 상행대동맥을 치환하는 경우 장기적으로 인공판막과 관련된 합병증을 줄여줄 수 있지만, 수술과 관련된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일반적으로 잘 시행되지는 않는다. 이에 본 병원의 이 수술과 관련된 위험도를 중심으로 단기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2003년 7월까지 26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으며 남녀비는 17:9, 평균연령은 $37.9\pm19.2$세(범위: 6개월$\~74$세)로 말판증후군환자는 15명, 베체트 질환자가 1명이었다. 상행대동맥 박리가 있었던 환자는 10명이었으며, 중등도(moderate) 이상의 대동맥판막 역류가 있었던 환자가 18명이었다. 판막보존방법으로 재이식수술(reimplantation) 및 재형성수술(remodeling) 방법이 각각 14명과 12명에서 시행되었다. 동반된 수술로 대동맥판막 성형술이 6명, 승모판막 성형술이 5명, 부분대동맥궁치환술(hemiarch replacement)이 4명, 전대동맥궁치환술(total arch replacement)이 2명, 관상동맥우회술과 Maze수술이 각각 1명 등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4명의 환자에서 수술 중 벤탈수술 등으로 전환하였으나, 모든 환자에서 수술 및 재원기간 내 사망은 없었고, 출혈에 의한 재수술이 3명, 박동기 삽입이 필요한 경우가 1명에서 있었다. 모든 환자의 중환자실 체류시간의 중간 값은 45.5시간이었으며, 재원기간의 중간 값은 10.5일이었다. 수술 중 전환한 환자를 제외한 22명 중, 수술장에서 시행한 경식도 심초음파를 시행한 모든 환자에서 경도(mild) 이하의 대동맥판막 역류를 보였으며, 수술장에서 경식도초음파를 시행하지 못했던 초기 한명의 환자에서 퇴원시 중등도(moderate)의 판막 역류가 있었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21.2\pm27.4$개월로 타과 수술 중 사망한 1명의 환자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생존을 확인하였으며, 3명의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의 대동맥판막 역류가 재발하였으나 재수술은 없었다. 결론. 대동맥륜대동맥확장 환자에서 대동맥판막을 보존하면서 대동맥근부 및 상행대동맥을 치환하는 수술이 선별된 환자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