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CT angiography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3초

CT Fractional Flow Reserve for the Diagnosis of Myocardial Bridging-Related Ischemia: A Study Using Dynamic CT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as a Reference Standard

  • Yarong Yu;Lihua Yu;Xu Dai;Jiayin Zh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12호
    • /
    • pp.1964-1973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CT fractional flow reserve (CT-FFR) for myocardial bridging-related ischemia using dynamic CT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CT-MPI) as a reference standard. Materials and Methods: Dynamic CT-MPI and coronary CT angiography (CCTA) data obtained from 498 symptomatic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Seventy-five patient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62.7 ± 13.2 years; 48 males) who showed myocardial bridging in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without concomitant obstructive stenosis on the imaging were included. The change in CT-FFR across myocardial bridging (ΔCT-FFR,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CT-FFR values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ends of the myocardial bridging) in different cardiac phases, as well as other anato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for diagnosing myocardial bridging-related myocardial ischemia using dynamic CT-MPI as the reference standard (myocardial blood flow < 100 mL/100 mL/min or myocardial blood flow ratio ≤ 0.8). Results: ΔCT-FFRsystolic (ΔCT-FFR calculated in the best systolic phase) was higher in patients with vs. without myocardial bridging-related myocardial ischemia (median [interquartile range], 0.12 [0.08-0.17] vs. 0.04 [0.01-0.07], p < 0.001), while CT-FFRsystolic (CT-FFR distal to the myocardial bridging calculated in the best systolic phase) was lower (0.85 [0.81-0.89] vs. 0.91 [0.88-0.96], p = 0.043). In contrast, ΔCT-FFRdiastolic (ΔCT-FFR calculated in the best diastolic phase) and CT-FFRdiastolic (CT-FFR distal to the myocardial bridging calculated in the best diastolic phas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showed that ΔCT-FFRsystolic had largest area under the curve (0.822; 95% confidence interval, 0.717-0.901) for identifying myocardial bridging-related ischemia. ΔCT-FFRsystolic had the highest sensitivity (91.7%)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97.8%). ΔCT-FFRdiastolic had the highest specificity (85.7%) for diagnosing myocardial bridging-related ischemia.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s of all CT-related parameters were low. Conclusion: ΔCT-FFRsystolic reliably excluded myocardial bridging-related ischemia with high sensitivity and NPV. Myocardial bridging showing positive CT-FFR results requires further evaluation.

18F-Sodium fluoride PET 이용한 심장 석회화 정량평가에 대한 고찰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Cardiac Calcification Using 18F-Sodium fluoride PET/CT)

  • 최용훈;이승재;강천구;임한상;김재삼
    • 핵의학기술
    • /
    • 제23권2호
    • /
    • pp.38-42
    • /
    • 2019
  • 관상동맥 석회화 검사에 컴퓨터단층촬영(Comtuted tomography, CT)을 사용하지만 고위험군인 미세석회화 감별에는 어려움이 있다. $^{18}F$-sodium fluoride ($^{18}F-NaF$)가 미세석회화를 진단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연구가 해외에서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8}F-NaF$ PET 영상으로 석회화를 정량평가 하고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환자는 총 45명($67.1{\pm}6.9$세)으로 $^{18}F-NaF$을 250 MBq 주입하고 1시간 뒤 30분간 영상을 획득하였다. 장비는 Discovery 710 (GE Healthcare, MI, USA)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환자는 PET 검사 전 혈관조영CT (CTAngiography, CTA)를 촬영 하였다. 석회화의 SUVmax를 측정하고 좌심방의 배후방사능을 측정하여 Target to Background (TBR) 구한 뒤 정량 분석하였다. ROC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을 통하여 고위험군을 분류하였다. 융합영상에서 관상동맥 석회화는 226개로 나왔으며 SUVmax는 $1.15{\pm}0.39$으로 나왔다. 28명(62%)에서 58개가 고위험군으로(TBR>1.25)분류 되었다. 나머지 168개는 $TBR{\leq}1.25$로 나왔다. $^{18}F-NaF$ PET 영상으로 미세석회화의 정량평가가 가능하였고 고위험군을 분류할 수 있었다. 혈관조영CT와 $^{18}F-NaF$ PET을 병행한다면 위험도가 높은 미세석회화를 조기 진단하는 새로운 영상 진단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심혈관 CT 조영술의 프로토콜 최적화 (Protocol Optimization of Coronary CT Angiography)

  • 이해각;유흥준;이선엽;구은회;석종민;한만석;이광성;조재환;김보희;박철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51-58
    • /
    • 2011
  • 본 연구는 LVEF값이 40% 미만인 환자와 정상인 환자의 심장 박동 수를 비교 분석하여 CCTA 검사 프로토콜의 최적화를 통한 양질의 영상, 환자피폭과 재 검률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각 심장박동수와 LVEF에 관계에서 LVEF가 40%이하가 될 때 true 100HU에 도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림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40% 미만인 환자들에서 Premonitoring deay를 설정 할 때 5초정도 더 주어도 됨을 알 수 있었다. 조영제는 Scan time ${\times}$ 4cc + 30cc의 용량을 4cc/sec속도로 주입한 후 이어서 Saline은 모든 환자에게 40cc를 4cc/sec속도로 추가 주입하였으며, 40% 미만에서는 HR이 80이상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 을 알 수 있다. 또한, 40% 미만에서는 조영제가 true 100HU에 도달하여 Scan을 시작 할 때 시간 차이가 커 조영제가 이미 Left ventricle에서 Wash-out 됐음을 예측 할 수 있었다. 40%이상의 LVEF와 정상 이하의 LVEF는 검사 도중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다. 낮은 LVEF 환자에게서 검사를 시작할 경우 따라서, 조영제 주입 프로토콜은 LVEF에 따라서 CCTA에 결정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우리가 낮은 LVEF에 따라 검사 실패를 감소시켜야 하기 때문에 낮은 LVEF의 경우에는 일반적 Pitch 보다 낮은 Pitch가 사용되어져야 한다.

Medical Application of Synchrotron Radiation in Japan

  • Toyofuku, Fukai;Tokumori, Kenji;Hyodo, Kazuyuki;Ando, Masami;Uyama, Chikao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 /
    • pp.32-34
    • /
    • 2002
  •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re has been a tremendous growth in the number of synchrotron radiation facilities in the world and also in Japan. The high flux and brightness radiation which derive from the third generation low emittance rings provide an ideal source for many applications in the medical sciences. The application of synchrotron radiation to medical imaging started in the early 80's in U.S.A, followed by European countries such as Germany and Russia. In Japan, researchs on intravenous coronary angiography started in 1884 at the Institute for High Energy Phisics(KEK) in Tsukuba. At present, it is the only application of syncrotron radiation which is at the stage of human study. In '90s, newer techniques such as phase and refraction contrast imaging appeared which are at the in vitro or animal study stage. Various types of x-ray CT have also been developed for three-dimensional imaging of the subjects. The present status of medical applications of synchrotron radiation in Japan is reviewed.

  • PDF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의 임상성적 (Clinical Outcomes of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신제균;김정원;정종필;박창률;박순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34-40
    • /
    • 2008
  • 배경: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의 개발은 심폐바이패스로 일어나는 부작용을 피함으로써 관상동맥우회술의 적용범위를 더 확대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심폐바이페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은 심근보호 폐 및 신기능의 보호, 혈액응고 장애 예방, 전신 염증 반응 및 인지기능의 예방 등에서 이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관상동맥우회수술을 좀 더 작대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의 임상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310예의 한자 중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3명, 여자가 37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2{\pm}10$세($29{\sim}82$세)이었다. 수술 전 진단은 불안정성 협심증이 77예, 안정성 협심증이 16예이었으며 급성심근경색증인 경우가 7예이었다. 동반된 질병은 고혈압이 48예, 당뇨병 42예, 신부전증의 경우가 10예이었고 만성폐쇄성폐질환이 5예, 경동맥질환이 동반된 경우가 6예이었다. 수슬 전 평균 심박출률은 $56.7{\pm}11.6%$ ($26{\sim}74%$)였다.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심혈관질환이 47예, 이혈관질환이 25예이었고 단일혈관질환이 24예였으며, 이 중 좌주관상동맥협착이 있는 경우가 23예이었다. 내흉동맥은 97예에서 경상이식편으로 획득하였고 요골동맥과 대복재정맥은 각각 70예, 45예이었으며 이 중 내시경을 사용한 혈관 확보는 각각 53예, 41예 이었다. 결과: 평균 $2.7{\pm}1.2$개의 문합을 하였다. 일측 내흉동맥은 95예(95%)에서 사용되었으며 요골동맥이 62예, 대복재정맥이 39예였고 양측 내흉동맥은 2예에서 시행되었으며, 100예 중 연속문합은 46예가 있었다. 각각의 관상동맥별 문합 수는 좌전하행지가 97개소, 둔각변연지가 63개소, 대각지가 53개소, 우관상동맥이 30개소, 중간분지가 11개소, 후하행동맥이 9개소, 그리고 후측방분지가 3개소였다. 수술 중 심폐바이패스로 전환한 경우는 4예 있었다. 전체 100예 중 72예에서 퇴원 전 관상동맥조영술 혹은 다중절편 컴퓨터 단층촬영술을 이용한 관상동맥영상술로 확인하였는데 198문합 중에 184문합(92.9%)에서 개통성이 유지되었다. 수술 후 1예에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으며, 뇌경색 1예와 창상 감염 1예가 있었고 술 후 부정맥과 심근경색증은 없었다. 수술 후 평균 인공호흡기보조시간은 $20{\pm}35$시간이었으며 중환자실 체류시간은 $68{\pm}47$시간이었다. 수술 중 평균 수혈양은 $4.0{\pm}2.6\;pack$이었다. 결론: 저자들은 100예의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여 좋은 성적을 얻었기에 관상동맥우회수술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술이라 제시할 수 있겠다.

Deep Vein Thrombosis Due to Hematoma as a Rare Complication after Femoral Arterial Catheterization

  • Kim, Minsoo;Lee, Jong-Young;Lee, Cheol Whan;Lee, Seung-Whan;Kang, Soo-Jin;Yoon, Yong Hoon;Om, Sang Yong;Kim, Young-Ha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31-35
    • /
    • 2013
  • Hematoma is quite a common complication of femoral arterial catheterization.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have been no previous studies regarding deep vein thrombosis (DVT) caused by compression of a vein due to a hematoma. We report a case of a hematoma developing after femoral arterial catheterization and causing extensive symptomatic DVT. A 59-year-old male was seen in our Emergency Department with right lower leg swelling 15 days after coronary stent implantation performed using right femoral artery access. Computed tomographic (CT) scanning revealed a large hematoma (45 mm in its longest diameter) compressing the common femoral vein and with DVT from the right external iliac vein to the popliteal vein. Due to the extensive DVT involvement, we decided to release the compressed common femoral vein by surgical evacuation of the large hematoma. However, even following evacuation of the hematoma, as the DVT did not resolve soon, further mechanical thrombectomy and catheter-directed thrombolysis were performed. Angiography then showed nearly resolved DVT, and the leg swelling was improved. The patient was discharged with the anticoagulation medication, warfar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