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28CABG%29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6초

Outcome and Graft Patency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with Coronary Endarterectomy

  • Nemati, Mohammad Hassan;Astaneh, Behrooz;Khosropanah, Shahdad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1호
    • /
    • pp.13-24
    • /
    • 2015
  • Background: Controversy persists regarding the use of coronary endarterectomy (CE) in patients with severe coronary artery disease. We compared the comorbidities and perioperativ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with and without CE.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wo private hospitals in Shiraz, Iran from May 2010 to December 2011 on 967 patients who underwent CABG without CE and 84 patients who underwent CABG with CE (the CE+ group). After follow-up at $9.66{\pm}3.65$ months post-surgery, 28 patients from the CE+ group underwent angiography to evaluate the patency of grafts and native coronary vessels. Results: Patients in the CE+ group had a more prevalent history of diabetes (48% vs. 36%) and number of diseased vessels ($2.88{\pm}0.39$ vs. $2.70{\pm}0.85$). The overall hospital mortality was 1.8%,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28 patients who underwent reangiography, 113 vessels were bypassed and 29 endarterectomies were performed, mostly on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12 endarterectomies) and the right coronary artery (8 endarterectomies). In the endarterectomized vessels, a 66% patency rate was found in both the grafts and the native vessels. The native coronary vessels were more likely to be patent when the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was used as a conduit than when a saphenous vein bypass graft was used. Conclusion: The lack of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patients who underwent CABG with or without CE may indicate that CE does not expose patients to a higher risk of complications. Since most of the endarterectomized vessels were shown to be patent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 propose that endarterectomy is a viable option for patients with severely diseased vessels.

Outcomes and Patency of Complex Configurations of Composite Grafts Using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 Shih, Beatrice Chia-Hui;Chung, Suryeun;Kim, Hakju;Chang, Hyoung Woo;Kim, Dong Jung;Lim, Cheong;Park, Kay-Hyun;Kim, Jun S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2호
    • /
    • pp.64-72
    • /
    • 2020
  • Background: It is generally agreed that using a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y (BITA) composite graft improves long-term survival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Although the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LITA)-based Y-composite graft is widely adopted, technical or anatomical difficulties necessitate complex configurations.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BITA configuration impacts survival or patency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revascularization. Methods: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17, 1,161 patients underwent CAB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here the standard technique is a LITA-based Y-composite graft with the right internal thoracic artery (RITA) sequentially anastomosed to non-left anterior descending (LAD) targets. Total of 160 patients underwent CABG using BITA with modifications. Their medical records and imaging data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o investigate technical details, clinical outcomes, and graft patency. Results: Modifications of the typical Y-graft (group 1, n=90), LITA-based I-graft (group 2, n=39), and RITA-based composite graft (group 3, n=31) were used due to insufficient RITA length (47%), problems using LITA (28%), and target vessel anatomy (25%). The overall 30-day mortality rate was 1.9%. Among 116 patients who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or conventional angiography at a mean interval of 29.9±33.1 months postoperatively, the graft patency rates were 98.7%, 95.3%, and 83.6% for the LAD, left circumflex artery, and right coronary artery territories, respectively. Patency rates for the inflow, secondary, and tertiary grafts were 98.2%, 90.5%, and 80.4%, respectively. The RITA-based graft (group 3) had the lowest patency rate of the various configurations (p<0.011). Conclusion: LITA-based Y composite graft, showed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and patency whereas modifications of RITA- based composite graft had the lowest patency and 5-year survival rates. Therefore, when using RITA-based composite graft, other option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roceeding atypical configurations.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협착에서의 혈관성형술의 결과 (Outcome of Patch Angioplasty for Left Main Coronary Ostial Stenosis)

  • 강창현;나찬영;서홍주;김재현;이철;장윤희;황성욱;백만종;오삼세;김웅한;이영탁;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56-63
    • /
    • 2004
  • 배경: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협착에서의 혈관성형술은 기존의 관상동맥우회술 시행 시에 발생할 수 있는 혈류 경합과 역행성 혈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좌주관상동맥 혈관성형술의 수술 성적과 예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좌주관상동맥 혈관성형술의 수술적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7월부터 2003년 5월까지 부천세종병원에서 좌관상동맥 개구부 협착으로 혈관성형술을 시행 받은 2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수술 전 임상양상, 수술결과, 수술 후 관상동맥조영술과 심초음파 검사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53.1$\pm$12.5세였으며 남녀비는 8 : 21이었다. 여성 환자 중 12예에서는 뚜렷한 죽상 경화증의 위험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26예(89.7%)의 환자는 다른 원위부 관상동맥에 병변이 없는 단독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협착 소견을 보였다. 결과: 28예의 환자에서 전방접근법을 사용하였고, 1예의 환자에서 상방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주폐동맥의 절단을 1예에서 시행하였다. 4예의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사망은 1예(3.4%)에서 발생하였으며 장기 추적관찰 결과 1예에서 외상으로 인한 만기 사망이 발생하여 5년 생존율은 91.2$\pm$6.1%였다. 수술 후 13예(44.8%)의 환자에서 17차례의 관상동맥조영술이 시행되었으며, 이 중 2예에서 첩포 원위부 협착이 발생하였고 1예에서 우관상동맥 개구부의 새로운 협착이 발생하여 3예의 경피적 중재술이 시행되었다. 1예의 환자에서 첩포 근위부 협착이 발생하여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5년 재시술 회피율은 82.4$\pm$8.5%였다. 수술 후 1도 이하의 새로운 대동맥 폐쇄부전이 4예에서 그리고 수술 전 동반되었던 대동맥 폐쇄부전의 심화가 1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좌주관상동맥 혈관성형술은 좌주관상동맥 개구부의 협착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술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혈관성형술 부위의 협착과 대동맥 폐쇄부전에 대한 면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관상동맥 우회술의 최근성적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the Recent Result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한성호;김혁;이철범;정원상;지행옥;강정호;김영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23-529
    • /
    • 2002
  • 배경: 관상동맥 우회술은 수술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근래에 조기수술성적이 점차 향상됨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서 후향적 분석을 통하여 최근의 수술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한양대학병원에서 154명의 환자가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받았다. 전체 환자를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시행 받은 47명(제1기)과 그 이후에 시행 받은 107명 (제2기)으로 나누어 입원 기록을 근거로 술전진단, 수술방법, 사망률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성비는 제1기에 남자 35명, 여자 12명, 제2기에 남자 78명 여자 29명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평균 연령은 제1기 $55.9{\pm}62$세에서 제2기 $61.0{\pm}8.0$세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5). 평균 좌심실 구출률은 제1기에 $54.6{\pm}11.8$% 제2기에 $56.9{\pm}13.0$%였다. 수술 위험 인자의 분포 중 술전의 심근경색이 제1기에 13명 (27.7%), 제2기에 14명(13.1%)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수술은 전례에서 중등도 저체온의 체외순환 하에서 시행하였고, 심근 보호 방법으로는 제1기에는 심실세동 상태에서의 간헐적 대동맥 차단, 또는 결정질 냉심정지액이 주로 사용되었고 제2기에서는 냉혈 심정지액이 사용되었다. 체외순환시간은 제1기에서는 $149.2{\pm}48.7$분 제2기에서는 $113.1{\pm}30.6$분으로, 대동맥 차단시간은 제1기에서는 $81.3{\pm}26.5$분 제2기에서는 $72.2{\pm}23.9$분으로 각각 의미 있게 단축되었다(p<0.05). 내흉동맥의 사용율은 제1기에서는 42%(20/47), 제2기에서는 81%(87/107)로 증가하였으며 환자 1명당 문합수도 제1기 $2.5{\pm}0.6$개소에서 제2기 $3.0{\pm}1.1$개소로 의미 있게 증가 하였다(p<0.05). 대동맥내풍선 펌프는 제1기에 7명, 제2기에 17명에서 사용되었는데 술 전 사용율은 제1기에 28.6%(2/7) 제2기에 52.9%(9/17)로 증가하였고 좌심실 기능 부전(LVEF<40%), 또는 울혈성 심부전 소견이 있는 환자에서 광범위 하게 적용하였다. 수술 사망율은 제1기에 5명이 사망하여 10.6%(5/47)을 나타내었고 제2기에 1명이 사망하여 0.9%(1/107)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체외순환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은 근래에 더욱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수술의 보편화와 수술 경험의 축적에 따른 체외순환 과대동맥 차단 시간의 단축, 심근 보호의 발달 그리고 좌심실 기능 부전이나 심부전이 있는 환자의 적절한 관리, 특히 대동맥내 풍선펌프의 광범위한 적용이 수술 사망률을 줄이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개심술 시 냉혈성 심정지액 사용에 따른 허혈 전후 심근 미세구조의 변화 (Ultrastructrual Change of Myocardium in Open Cardiac Surgery with Cold Blood Cardioplegia)

  • 김병호;김대현;공준혁;조준용;손윤경;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9호
    • /
    • pp.638-64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혈성심정지용액에 의한 심근보호의 효과를 평가하고 심근보호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근 미세구조관찰의 유용성과 다른 검사방법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판막수술 및 관상동맥우회로술을 시행한 18명의 환자의 심전도, CK의 MB 동위효소, SGOT, LDH1과 LDH2의 비 등의 변화를 측정하고 반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심근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인공심폐기 가동 직전과 인공심폐기 가동 직후 우심방 부속지에 조직검사를 시행하였고, 심근관련 혈청효소치들과 심전도는 술 후 3일 동안 검사하여 최고치를 구하였으며 심전도에서는 새로운 Q파나 ST분절의 상승을 관찰하였다. 결과: 대상환자는 남자 8명, 여자 10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5.6$\pm$13세였다. 판막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8명 관상동맥우회로술을 시행한 환자는 10명이었고, 평균 체외순환시간은 119$\pm$29분이었고 평균 대동맥차단시간은 75.4$\pm$24분이었다 체외순환 직전의 1.28$\pm$0.53이었던 평균 사립체 변화점수가 체외순환이후에는 2.35$\pm$0.79로 의미있게 증가했으나 술 후 심근경색을 시사하는 심근관련 혈청효소치의 증가나 심전도상의 새로운 Q파의 발견이나 ST분절의 상승은 없었다. 그리고 체외순환인 직전 및 직후 심근 사립체 변화점수, 또한 이들의 차는 체외순환시간 및 대동맥차단시간과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술 후 CK-MB, SGOT, LDH1/LDH2 등의 최고치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외순환시간과 LDH1/LDH2수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혈성심정지용액을 사용한 이번 연구에서 심근관련혈청수치나 심전도상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지만 심근의 미세구조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보다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