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needle biopsy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18초

Degenerating Thyroid Nodules: Ultrasound Diagnosis, Clinical Significance, and Management

  • Jie Ren;Jung Hwan Baek;Sae Rom Chung;Young Jun Choi;Chan Kwon Jung;Jeong Hyu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6호
    • /
    • pp.947-955
    • /
    • 2019
  • Degenerating nodules (DNs), which primarily manifest as benign thyroid nodules, are one of the main causes of discordance in ultrasonography (US) and cytological assessments. Intranodular hemorrhage is one of the mechanisms contributing to discordant nodules, and an impaired blood supply may explain further DN shrinkage and infarction. The surgical specimens can be divided into acute and chronic stages based on the histological changes, which usually mimic the US features of malignant tumors. Serial US follow-up should be recommended instead of other unnecessary procedures. However, repeated fine-needle aspiration, diagnostic surgery, or core-needle biopsy may still be necessary for indeterminable or highly suspicious DNs.

초음파 기관지 내시경 세침흡인을 이용하여 진단한 폐 사르코이드증 (Pulmonary Sarcoidosis Diagnosed by Endobronchial Ultrasound Fine Needle Aspiration)

  • 김원영;장유진;류지원;박영수;장세진;송진우;오연목;심태선;이상도;김우성;김동순;최창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5호
    • /
    • pp.267-272
    • /
    • 2010
  • Background: Pulmonary sarcoidosis often involves mediastinal or hilar lymph nodes in the lung parenchyma. Mediastinoscopy is the gold standard for diagnosis, but it is invasive and expensive.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using conventional bronchoscope is less invasive than mediastinoscopy, but its diagnostic accuracy is in question due to the blind approach to targeting lymph nodes.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TBNA) via endobronchial ultrasound (EBUS) has high diagnostic value due to direct visualization of lymph nodes and to its relatively saf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EBUS-TBNA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sarcoidosis. Methods: Twenty-five patients with symptoms of sarcoidosis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Core tissue was obtained for a definitive diagnosis. Endobronchial biopsy, transbronchial lung biopsy, and bronchoalveolar lavage were performed to verify diagnosis. For patients without a confirmed diagnosis after the above procedures were performed, the additional procedures of mediastinoscopy or video-associated thoracoscopic surgery were performed to confirm a final diagnosis. Results: A total 25 EBUS procedures were done and 50 lymph nodes were aspirated. Thirty-three (37) out of 50 lymph nodes were consistent with non-caseating granuloma, confirming sarcoidosis as the final diagnosis. Sarcoidosis was the final diagnosis for all 25 patients, and 21 required EBUS-TBNA for a final diagnosi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procedure. Conclusion: EBUS-TBNA is already a well-known procedure for diagnosing mediastinal or hilar lymphadenopathy. We used EBUS-TBNA for the diagnosis of pulmonary sarcoidosis and our results showed 84% diagnostic accuracy and no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rocedure. EBUS-TBNA is a reliable and practical diagnostic modality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sarcoidosis.

조직검사를 시행한 소아 경부 종류의 임상적 고찰 : 단일 기관 연구 (Clinical Evaluation of Tissue Biopsy for Children with Neck Mass; A Single Center Study)

  • 윤유숙;윤혜원;김선영;설지영;송창준;김진만;박경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839-845
    • /
    • 2005
  • 목 적 : 소아에서 경부 종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데 대부분이 양성 경과를 보이며, 감염에 의한 염증성 반응인 경우가 많지만 선천성 낭종이나 악성 종양의 가능성도 있어 주의를 요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부 종류를 주소로 내원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한 환아들에서 그 원인과 임상 양상, 치료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 경부 종류를 주소로 내원하여 조직검사를 시행 받았던 환아 28례의 진료 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조직검사 방법을 세침 흡인생검술, 심부생검술, 절제생검으로 나누어 연령, 성별, 임상 양상 및 조직검사 결과와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조직검사를 받은 환아들은 총 28례로 남아가 14례(50%), 여아가 14례(50%)였고 종류의 위치로 구분하면 목빗근 뒷부위가 19례(67.9%)로 가장 많았다. 말초혈액 검사나 혈청학적 검사 등의 검사실 검사 상 특이할만한 의미 있는 소견은 없었다. 세침 흡인생검술과 심부생검술을 먼저 시행 받은 환아들은 25례(89.3%) 있었는데 반응성 증식인 경우가 10례(40%)로 가장 많았고 육아종성 염증상태가 8례(32%), 괴사성 염증을 보였던 환아들은 4례(16%), 화농성 병변을 보였던 경우가 3례(12%) 있었다. 처음부터 절제생검을 하였던 환아들은 3례(10.7%)로 선천성 이상에 의한 갑상설관 낭과 표피 낭종이 있었으며 1례는 림프아구성 림프종으로 진단되었다. 결 론 : 소아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경부 종류는 그 원인이 다양하지만 대부분 양성 경과를 보이며 세침 흡인생검술과 심부생검술은 전신 마취를 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조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치료적 절제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부 종류의 조직을 얻어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침생검 조직검사에서 진단된 비정형 관상피증식증: 수술적 절제 생검에서 악성으로 진단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들 (Atypical Ductal Hyperplasia: Risk Factors for Predicting Pathologic Upgrade on Excisional Biopsy)

  • 박고운;한부경;이선정;조수연;고은영;고은숙;최지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632-644
    • /
    • 2022
  • 목적 조직생검으로 진단된 비정형 관상피증식증이 수술 후 악성으로 진단되는 과소평가율과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영상 소견이나 진단 방법에 따른 위험인자를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년 이상의 기간 동안 시행된 9660예의 침생검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영상 소견과 조직검사 방법에 따라 과소평가 군과 비 과소평가 군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결과 9660예의 침생검 중 169 (1.7%)예가 비정형 관상피증식증으로 진단되었다. 절제 생검을 한 112예와 2년 이상 추적검사를 한 30예를 합친 142예 중 35예에서 과소평가되었다 (24.6%, 35/142). 과소평가율의 차이는 조직생검 방법에 따라 의미 있었다; 초음파 유도 핵생검(40.7%, 22/54), 입체정위 진공 보조흡입생검(16.0%, 12/75), 초음파 유도 진공 보조흡입생검 (7.7%, 1/13) (p = 0.002). 다변량 분석에서는 초음파 유도 핵생검(교차비 5.19, 95% 신뢰구간 2.16-13.95, p < 0.001)이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다. 종괴로 보이는 병변이 초음파 유도 진공 보조흡입생검으로 진단된 경우는 과소평가가 보고되지 않았다( n = 7). 결론 비정형 관상피증식증이 1.7%로 진단되었고 과소평가율은 24.6%였다. 종괴로 보이는 병변이 초음파 유도 진공 보조흡입생검으로 제거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당한 과소평가율을 보이고 있으므로 수술적 절제를 고려해야 한다.

Incidence Data for Breast Cancer among Yemeni Female Patients with Palpable Breast Lumps

  • Alsanabani, Jamila Ali;Gilan, Waleed;Al Saadi, Azz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호
    • /
    • pp.191-194
    • /
    • 2015
  • Purpose: To estimate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 Yemeni female patients presenting with a breast mas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with 595 female patients with palpable breast lumps, attending to Alkuwait university hospital, Sana'a, Yemen. Triple assessment, including breast examination, mammography and biopsy (FNAC, core needle, or excision), for all patients were performed. Results: The incidences of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was calculated. Some 160 (26.9%) of 595 patients had malignancies; 213 (35.8%) were fibroadenomas; 12 (2.0%) were fibrocystic change; 143 (24.03%) were inflammatory lesions (including mastitis and ductectasia); 62 (10.4%) were simple cysts, while 5 (0.8%) were phyllodes tumors. The mean age of patients with malignant lumps was 44.3 years. Conclusions: Among Yemeni female patients with palpable breast lumps, the rate of breast cancer is high, with occurrence at an earlier age than in Western countries. Improving breast cancer awareness programs and increasing breast cancer screening centers inb different areas of Yemen are needed to establish early diagnosis and offer early and optimal treatment.

Histopathologic Diagnosis of Pleural Metastasis of Renal Cell Carcinoma Using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 Kang, Yeh-Rim;Jhun, Byung-Woo;Jeon, Kyeong-Man;Koh, Won-Jung;Suh, Gee-Young;Chung, Man-Pyo;Kim, Ho-Joong;Kwon, O-Jung;Han, Joung-Ho;Um, Sang-W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5호
    • /
    • pp.355-358
    • /
    • 2011
  •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EBUS-TBNA) is a useful, safe diagnostic modality for evaluating mediastinal and hilar lymphadenopathy. We report a 51-year-old male who presented with a left renal mass and multiple pleural masses without lung parenchymal lesions. The pleural masses were thought to be metastatic tumors or malignant mesothelioma. The patient underwent two percutaneous needle biopsies of the pleural mass, but the specimens were insufficient for a histopathological diagnosis. Because one pleural mass was adjacent to the right main bronchus, we decided to perform EBUS-TBNA for the pleural mass. As a result, sufficient core tissue was obtained with no complications, and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metastatic papillary renal cell carcinoma.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using EBUS-TBNA for a pleural mass.

경피적 폐생검의 진단성적 및 합병증 (The Diagnostic Yield and Complications of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for the Intrathoracic Lesions)

  • 장승훈;김철현;고원중;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16-924
    • /
    • 1996
  • 연구배경: 경피적 폐생검은 흉부 병소의 진단을 얻기위해 흔히 이용되는 검사 방법으로써, 축적된 경험, 검칩의 개발, 영상 유도 방법의 개선으로 진단 성적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논문들이 28 - 98%의 진단 성적을 보고하며 시술에 의한 합병증은 그 정도가 가벼워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병원에서 1년 동안 시행된 경피적 폐생검 결과를 검토하여 그의 진단 성적과 합병증의 빈도와 정도를 조사하고 진단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1994 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흉부병소를 가진 236명의 환자에게 시행된 287 회의 경피적 폐생검 결과를 검토하여 양성 및 악성 질환에 대한 진단 성적과 합병증의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다. 병소는 21- 23 G Chiba needle로 흡인하였고, 필요시 19 - 20 G Biopsy gun으로 생검을 실시 하여 미생물학적 검사, 세포진 검사,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및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병록지만을 참고하여 산출되었다. 병변의 형태와 크기에 따른 진단 성적은 chi square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여 비교하였다(P<0.05). 결과: 병변의 위치는 우상엽 26.3%, 우중엽 6.4%, 우하엽 21.2%, 좌상엽 16.8%, 좌하엽 10.6%, 2엽 이상의 부위에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17.4%, 종격동 1.3% 였다. 병변의 형태는 경화성 병변이 19.9%, 결절 또는 종괴성 병변이 80.1% 였다. 236명 중 양성 질환자는 74명, 악성질환자는 142명, 경피적 폐생검을 포함한 어떤 검사로도 진단이 밝혀지지 않은 환자는 22명 이었고, 2명은 폐암과 폐결핵을 같이 가지고 있었다. 236 명을 대상으로 총 287 회의 경피적 폐생검이 시행되었는데, 이것으로 확진된 경우가 양성 질환자의 경우 46명으로 62.2%, 악성 질환자의 경우 117명으로 82.4%의 진단 성적을 보였다. 경피적 폐생검을 1차로 시행하여 진단에 이르지 못한 경우 2차, 3차 재 시술 함으로써 양성 질환의 경우 44.6%, 60.8%, 62.2%로, 악성 질환의 경우 73.9%, 8 1.7%, 82.4%로 진단 성적을 높일 수 있었다. 악성 질환자 43 명과 양성 질환자 9명에서 개흉술을 실시하였는데 개흉술과 경피적 폐생검의 병리학적 검사 결과가 일치하였던 경우는 악성과 양성에서 각각 25 명과 4명 으로 58.1% 와 44.4 %의 일치율을 보였다. 또한 약성 질환자 4명과 양성 질환자 2명은 개흉술 후 악성과 양성의 진단이 바뀌었다. 287례의 시행 중 합병증은 각혈 3 례, 경미한 혈담 55 례, 기흉 36례, 발열 3례로 빈도는 각각 1.0%, 19.2%, 12.5%, 1.0 % 였다. 합병증 발생시 각혈과 혈당은 모두 치료를 요하지 않았고, 기흉은 8례에서 흉관 또는 픽테일 카테터를 삽입하였으며, 발열은 모두 48 시간 내에 자연 소실되었다. 병변의 형태와 크기에 따른 진단 성적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경피적 폐생검은 진단 성적이 비교적 높고 합병증의 정도가 낮아 흉부 영소의 진단에 유용하지만 병리 조직학적 진단의 정확도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유방의 다발성 결절로 발현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재발의 건: 증례 보고 (Relapsed Acute Myeloid Leukemia Presenting as Multiple Breast Masses: A Case Report)

  • 성지연;이종윤;추아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454-459
    • /
    • 2023
  • 유방을 침범하는 혈액종양은 굉장히 드물게 보고되었다. 우리는 유방의 다발성 결절로써 재발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77세 여자 환자가 양측 유방의 촉지되는 다발성 결절로 외래를 내원하였다. 환자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이하 AML)으로 진단받고 9차례의 항암치료 이후 완전 관해가 된 병력이 있었다. 유방 촬영과 유방 초음파에서 환자의 촉지성 병변이 영상의학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액와부 림프절 종대도 동반되었다. 총생검으로 얻은 검체는 면역화학염색을 통해 AML과 blastic plasmacytoid dendritic cell neoplasm의 형태를 보였으며 추후 진행한 골수 생검에서 AML로 확인되었다. 이렇듯 굉장히 드물지만, 혈액암의 병력을 가진 환자가 유방의 촉지성 종괴로 내원하였다면 담당의는 적절한 조직검사 및 면역화학검사로 정확한 진단을 하여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Ultrasonographic Indeterminate Lymph Nodes in Preoperative Thyroid Cancer Patients: Malignancy Risk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Predictive of Malignancy

  • Roh-Eul Yoo;Ji-hoon Kim;Jeong Mo Bae;Inpyeong Hwang;Koung Mi Kang;Tae Jin Yun;Seung Hong Choi;Chul-Ho Sohn;Jung Hyo Rhim;Sun-Won Park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5호
    • /
    • pp.598-604
    • /
    • 2020
  • Objective: Proper management of lymph nodes (LNs) with ultrasonographic (US) indeterminate features in thyroid cancer patients remains elusive. We aimed to evaluate the malignancy risk and US findings predictive of malignancy for US indeterminate LNs in preoperative thyroid cancer patients through node-by-node correl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48 LNs in 284 thyroid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fine-needle aspiration or core-needle biopsy between December 2006 and June 2015, were included. We determined the malignancy risks for US probably benign, indeterminate, and suspicious categories. For US indeterminate LNs, which had neither echogenic hilum nor hilar vascularity in the absence of any suspicious finding, US findings were compared between benign and metastatic LNs using Mann-Whitney U test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s: US imaging diagnoses were probably benign in 20.7% (n = 72) cases, indeterminate in 23.6% (n = 82), and suspicious in 55.7% (n = 194). Malignancy risk of US indeterminate LNs (19.5% [16/82]) differed from those of the US probably benign (2.8% [2/72]) (p = 0.002) and US suspicious LNs (78.4% [152/194]) (p < 0.001). Among US indeterminate L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rt, long, and long-to-short diameter (L/S) ratios between benign and metastatic LNs (3.9 vs. 3.8 mm, p = 0.619; 7.3 vs. 7.3 mm, p = 0.590; 1.9 vs. 1.9, p = 0.652). Conclusion: US indeterminate LNs were frequently encountered during preoperative evaluation and had intermediate malignancy risk. Given the lack of discriminative power of size criteria and L/S ratio, clinical factors such as surgical strategy and node size should be considered for proper triage of US indeterminate LNs in thyroid cancer.

유방의 양성 선근상피세포종: 영상 특징 (Benign Adenomyoepithelioma of the Breast: Imaging Characteristics)

  • 신소라;고은영;한부경;고은숙;최지수;김혜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398-408
    • /
    • 2023
  • 목적 유방의 양성 선근상피종의 영상 소견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최근 20년 동안, 본원에서 조직 확진된 120명의 환자의 유방에서의 선근상피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43명의 환자는 유방암으로 유방 전 절제술을 시행하면서 우연히 발견되어 제외하였으며, 28명의 환자는 절제생검을 하지 않고 경피적 생검만 시행하여 제외하였고, 8명의 환자는 생검에서 양성 선근상피종으로 확인되었으나 완전 절제술 후 다른 질환으로 확진되어 제외하였다. 결과적으로, 완전 절제술 후 조직 확진된 41명 환자의 양성 선근상피종에 대해 후향적으로 임상 정보와 영상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유방촬영술에서 병변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모양(56%), 경계가 좋지 않음(62%), 고밀도음영(53%), 종괴형(89%)을 보였으며, 미세석회회가 없었다(95%). 유방초음파에서 병변은 의심스러운 종괴(98%), 경계가 좋지 않음(66%), 저에코(43%), 그리고 종양내 혈관성(63%)을 보였다.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의심스러운 종괴(100%), 불분명한 경계(61%) 그리고 조영증강 시 지연기 소실(84%)을 보였다. 양성 선근상피종의 41개 병변 중 16개 병변은 처음 중심바늘생검에서 다른 질환으로 오진되었으며 2명의 환자는 유방암으로 오진되었다. 결론 유방의 양성 선근상피종은 유방촬영술, 유방초음파,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악성 종양과 유사한 의심스러운 특징을 보인다. 양성 선근상피종을 다른 질환과 감별하는 것은 중심바늘생검만으로는 어려우며, 올바른 진단을 위해서는 완전절제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