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competence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36초

산학협력단 핵심역량이 기술이전과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e Competencies of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on Technology Transfer & Education Performances)

  • 권혁재;윤재홍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2호
    • /
    • pp.55-80
    • /
    • 2015
  • 본 연구는 산학협력단의 리더십역량, 전략역량 등 핵심역량이 기술이전과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우선, 산학협력단과 관련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전국 산학협력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단 주요 경영성과인 기술이전성과와 교육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로는 리더십역량, 전략역량, 인적자원역량, 연구개발 역량을 설정하고 각각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부여 하였다. 변수간 인과관계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설문대상 간의 차이 분석을 위해 국공립 대학과 사립대학을 조작변수로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독립변수로 적용한 리더십역량은 기술이전성과와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마찬가지로 전략역량은 교육성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인적자원역량의 경우에도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으며, 연구개발 역량의 경우에는 기술이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산학협력단의 경영성과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스포츠계열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평가에 따른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University Students in Sports Colleges by Evaluating Core Competencies)

  • 김진국;김수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95-206
    • /
    • 2019
  • 이 연구는 국내 스포츠계열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여 향후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스포츠계열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향과 방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09명의 스포츠계열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계열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핵심역량의 중요도에서는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의사 소통능력, 종합적 사고력, 자원정보 기술 활용역량, 글로벌 역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계열 대학생들이 평가하는 자신들의 핵심역량 보유 실행도는 대인관계역량, 자기관리역량, 의사소통능력, 종합적 사고력, 글로벌 역량, 자원정보 기술 활용역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차이가 큰 영역은 종합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자원정보 기술 활용역량, 자기관리역량, 글로벌 역량, 대인관계역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스포츠계열 대학생들은 대인관계역량과 자기관리역량, 의사소통능력은 상대적으로 높이 평가한 반면 종합적 사고력, 자원정보 기술 활용역량, 글로벌 역량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변화를 통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대학은 교육과정의 혁신과 교수자의 역량 강화를 통해 경쟁력 있는 스포츠계열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이 곧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연결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중소 제조기업의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자특성의 조절효과와 핵심역량의 매개효과 (Effects of SM-sized Manufacturing Firm Management Performance: Control Effect of CEO Characteristics and Mediating Effect of Core Competence)

  • 노영동;박상범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1호
    • /
    • pp.93-104
    • /
    • 2018
  • Purpose - For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CEO characteristics are main factor influencing firms' prosperity as well as performance. So it is quite natural that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factors of CEO that matters. In this research, CEO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apabilities and skill or special knowledge necessary to run the business are invested for manufacturing firms. Precedent studies reveal that CEO characteristics such as psychological factors including desire to succeed, tendency to take risks, personal factors including age, year of running business, and task related factors including managing capability, communication skills, network influence firm performance for manufacturing firms. However, these studies simply verify whether or not those factors affect firm's managing performance. This study, however, goes further to investigate how is the affecting process from CEO's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to firm's core competence, and from core competence to advantages, and from advantages to managing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make a questionnaire and surveyed manufacturing firm CEO's in Gyeonggi-do area.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ontrol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SPSS 2.0 Win, version was used. Results - The CEO characteristics including basic capability, task capability, leadership,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ffect core competence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core competence affect both price advantage and differentiation advantage at the significant level. Some unique finding is that while differentiation advantage affects both financial achievement and non-financial achievement, price advantage does not affect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achievement. And firm characteristics mainly measured by CEO characteristics of skills has control effects on the trace from core competence to price advantage. Conclusions - For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CEO characteristic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firm's prosperity. For manufacturing firms, whether CEO has the skill or special knowledge to run the firm is critical factor.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EO's for manufacturing firms put importance on price and price advantage which seems to be familiar to them. However, the price advantage does not influential to financial and non-financial achievem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firms' CEO's should make effort to improve other aspects of advantages to be more competitive.

CJ CGV의 VRIO 모델을 통한 핵심역량분석 (An Analysis on the Core Competence Through the VRIO Model of CJ CGV)

  • 김은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33-3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CJ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의 멀티플렉스 영화산업에 관한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경영전략관점에서 CJ CGV만의 혁신적인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컬쳐플렉스의 확대과정을 바탕으로 주요 성공요소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핵심역량 전략인 VRIO(Value, Rareness, Inimitability, Organization)모델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J CGV의 차별화된 가치로는 영화관의 문화놀이터인 컬쳐플렉스이고, 희소성에서는 영화관의 기술적 혁신을 통한 종합생활문화공간으로의 변신이며, 모방불가능성에는 사회공헌으로써 CGV의 사회적 브랜드파워 확립하였으며, 조직화하는데 전 세계의 CGV 글러벌화 등이 CJ CGV의 핵심역량으로 나왔음을 알 수 있다. 기존 영화관의 활용도를 넓혀 파격적이고 혁신적인 개발에 앞장서 CJ CGV는 문화 체험영화관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CJ CGV는 끊임없는 경쟁 지배력을 높여 CGV만의 핵심역량 기업 가치를 상승시키고 있는 것이다.

A Study on the Effect of Core Competence of Supervisor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s and Franchisor

  • Song, Ji-Hyun;Jo, Gye-Be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89-201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ore competence of supervisor on the satisfaction, loyalty,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or.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most problematic issues in franchise business such as poor sales of franchisee, inadequate measures for activating sluggish stores, closing rate increase of franchisee, dispute between a franchisee and franchis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data for the success of Franchisor's business operation and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franchise industry. In this study, 168 CEOs and employees in the franchise industry were survey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expert interviews, we designed the core competency factors of franchise supervisors into seven areas: check, consulting, coordination, promotion, counseling,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verifi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Key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ompetency of the supervisor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ranchisee's satisfaction. Second, the core competence of the supervisor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ranchisee's loyalty. Third, franchisee's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Fourth, franchisee's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 and franchisor. Fifth, franchisee's loyalty positively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 and franchisor.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이 간호학생의 수행능력 및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nvergence-Based Reeducation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e and Confidence)

  • 정명숙;권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295-302
    • /
    • 2015
  • 본 연구는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피하주사 및 유치도뇨) 재교육이 간호학생의 수행능력, 지식, 태도 및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일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3학년 34명이었다. 실험처치 및 자료 수집은 2013년 12월 14일부터 12월 29일까지 시행되었다. 재교육 전과 후에 간이혈당 검사를 포함한 피하주사 및 유치도뇨술 및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지식, 태도, 자신감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재교육 전에 비해 재교육 후의 피하주사 및 유치도뇨 수행능력(p<.001)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p<.001), 피하주사 및 유치도뇨 수행 자신감(p<.001)도 재교육 후 유의한 증가를 보여 융복합기반 재교육 프로그램이 졸업 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후속 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창업가역량과 창업보육 프로그램 지원이 기술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기업 역량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s on Corporat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 김진한;조진형;이세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2-142
    • /
    • 2020
  •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ursuing various support policies to foster start-ups national widely in order to secure new economic growth engin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diffusion strategy for the 2'nd round Start-up Boom in March 2019 and is promoting the support policies for start-up incubating by various programs. Many incubators and startup accelerators operate various kinds of programs to foster start-ups using government financial supp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technical capability of entrepreneurs as the internal factors of the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the effects of progra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s an external factor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a start-up compan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re competence of start-up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results show that the entrepreneurship, technical capability and the programs supported by incubators or accelerators had no direct effects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a start-up, but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mpany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addition, the type of program supported by the comprehensive accelerator programs or the marketing supports had effects on the core competence rather than simple financial supports. Lastly, the policy proposals for incubating program suppor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long with the limitation are suggested.

이미지 상상훈련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율실습시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magery Training on Outcomes of Clinical Competence, Voluntary Practice Time and Nursing Skills)

  • 김수연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6-85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imagery training on outcomes of clinical competence, voluntary practice time and basic nursing skills performance during a core basic nursing skills course. Methods: The design was a pre-post test design with two groups consisting of 88 nursing 3rd-year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was assessed with a pre-post test, and basic nursing skills' performance and voluntary practice time were assessed at the post-test point.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16 to June, 2016. Results: The pre-post differences of all subcategories of clinic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ing/coordinat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reas (p>.05). The experimental group practiced 1.33 hour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voluntary practice.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ic nursing skills' performance (p>.05). Conclusion: Imagery training during a core basic nursing skills course showed positive effects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improvement and increase of voluntary practice time.

융복합 기반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vergence-based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program on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 문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271-284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 기반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에 의한 실험연구로 연구대상은 C도 소재 일개 4년제 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64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6년 9월 5일부터 2016년 12월 6일까지였다. 연구결과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 운영 후 문제해결과정 (t=-3.052, p<.01), 임상수행능력(t=-4.279, p=.000),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t=-2.416, p<.05)의 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4학년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의 임상실습 수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운영하는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평가 도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과목별 시뮬레이션실습과목의 통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