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Patent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5초

특허분석을 통한 기술혁신과 기업성과의 관계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based on Patent Analysis)

  • 박선영;박현우;조만형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5
    • /
    • 2006
  • 세계화, 다변화 경쟁 속에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혁신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쟁우위의 핵심역량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기술혁신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기존 연구는 이를 개념적이거나 정성적 수준에서 다루어 왔으며, 주로 혁신활동에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기술혁신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11년간 162개 국내 하이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횡단면 시계열자료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기업의 기술혁신 특성으로 규모효과를 제거한 특허강도, 연구개발강도, 무형자산강도를 대리지표로 사용하였고, 기업성과를 위해 순이익을 대리지표로 사용하였다. 11년간의 장기분석을 위해 변수를 실질가치화하여 분석한 결과 기업성과는 특허강도와 연구개발강도와 양의 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의 기술혁신 특성에 따라 분류한 8개 범주별 기업성과의 차이가 나타남을 밝혔다. 이를 통해 높은 특허강도와 연구개발강도를 보이는 기업일수록 높은 기업성과를 향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IPC 코드 분석에 의한 '사물인터넷(IoT)' 특허의 기술 융복합 분석 (Analysis of Technology Convergence of 'Internet of Things' Patents by IPC Code Analysis)

  • 심재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66-2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제특허분류(IPC) 코드를 활용하여 사물인터넷 특허 163건의 기술 융복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IPC 코드의 대표적인 주분류-부분류 조합은 G06Q 50/24-G06Q 50/22(6건), H04L 29/02-H04L 12/28(4건), G06F 15/16-G06F 3/048(3건), G06F 15/16-G06F 9/44(3건), G06Q 50/22-G06Q 50/24(3건)이다. 또한 사물인터넷 특허 중 '건강관리(G06Q 50/22)'와 '환자기록 관리(G06Q 50/24)'의 기술 융복합에 의해 '헬스 케어' 사업 분야의 특허 출원이 9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물인터넷 특허의 상호 연결망 분석에 의해 사물인터넷 특허의 핵심 IPC 코드는 G06F 15/16, G06Q 50/22, G06Q 50/24, H04L 12/28임을 확인하였다.

특허지표를 활용한 지역주력산업 유망기술 분석에 관한 연구 - 창원시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Promising Technology of Regional Main Industry Using Patent Indicators - Focusing on Changwon-si -)

  • 박장훈;옥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414-1419
    • /
    • 2019
  • 4차 산업시대의 기술 급변에 따른 공백기술을 도출하고 유망기술을 발굴하기 위한 지역산업의 움직임을 특허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창원시는 미래 지역주력산업으로 수소 전기차 기술을 중점 육성하여 미래 지역 유망기술로 발굴하고자 많은 기술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기술 정보 수집은 분류방법, 기술 동향, 유사기술 등으로 인해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술 정보의 체계적인 분류와 기술 동향을 쉽게 도출할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허지표를 통해 출원 성장률 측정 방법과 특허 출원 빈도 산정 과정을 통해 지역의 미래 주력산업에 대한 공백기술과 유망기술 동향을 분석하였다. 창원시의 미래 지역주력 산업인 수소 전기차의 기술 분류별, 국가별, 주요기업별 특허 동향을 조사하여, 특허 출원의 추세성과 기술의 혁신성 및 집중도인 기술성과 활동성을 분석하였다. 중복기술을 제거하고 기술 연관성을 고려하여 634건에 대해 특허 정보를 기반으로 기술 동향 분석한 결과 향후 지역산업을 위해 특허 출원을 확보하여 지역산업과 기업 경쟁력 제고가 필요한 시점으로 분석되었다.

수소연료전지 특허 동향 분석: 지식 지속성 기반 주경로 분석 및 텍스트 마이닝 방법 활용 (Hydrogen Fuel Cell Patent Analysis: Using Knowledge Persistence-based Main Path Analysis and Text Mining)

  • 윤세준;박현석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1호
    • /
    • pp.127-145
    • /
    • 2023
  • 본 논문은 친환경 연료 중 하나인 수소 원료를 바탕으로 미래의 에너지 문제와 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소연료전지 기술 도메인에 대해 특허 분석을 실시했다. 특허분석은 현재 기술 수준과 미래 발전 방향을 발견할 수 있어 기술로드맵 수립에 많이 활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특허분석은 정성적인 분석 및 간단한 통계분석으로 현재의 기술 환경을 반영하지 않은 분석 결과를 제안할 수 없다. 현재의 기술 환경은 기술의 융복합으로 발전을 나타내고 있고, 발전 속도는 매우 가파르게 성장하여 정성적인 분석은 시대적 분석 요건에 옳지 않다. 그래서 본 논문은 현재의 기술환경을 반영한 지식상속성(Knowledge Persistence, KP) 기반의 주경로 분석과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활용하여, 수소연로전지 기술도메인에서 핵심특허 발견, 중요 기술 발전, 유망기술을 조망한다.

CPC 코드 기반 사물인터넷(IoT) 특허의 기술 연관성 규칙 분석 (Analysis of Technology Association Rules Between CPC Codes of the 'Internet of Things(IoT)' Patent)

  • 심재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93-498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ICT 기반기술의 핵심인 사물인터넷 특허의 CPC 코드 기반 기술 연관성 규칙 분석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오픈 소스인 R을 이용하여 CPC 코드간 기술 연관성 규칙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7월까지 특허청에 출원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관련 특허 605건 중 복합 CPC 코드를 가지는 369건을 대상으로 서브클래스(Subclass)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기술 연관성 규칙 분석 결과 지지도가 높은 CPC 코드는 [H04W ${\rightarrow}$ H04L](18.2%), [H04L ${\rightarrow}$ H04W](18.2%), [G06Q ${\rightarrow}$ H04L](17.3%), [H04L ${\rightarrow}$ G06Q](17.3%), [H04W ${\rightarrow}$ G06Q](9.8%), [G06Q ${\rightarrow}$ H04W](9.8%), [G06F ${\rightarrow}$ H04L](7.9%), [H04L ${\rightarrow}$ G06F](7.9%), [G06F ${\rightarrow}$ G06Q](6.2%), [G06Q ${\rightarrow}$ G06F](6.2%), [G06F ${\rightarrow}$ G06Q](6.2%) 순이고, CPC 코드간 상호 연결망을 분석한 결과 기술 연관성 관련 핵심 CPC 코드는 G06Q와 H04L이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앞으로의 특허 경향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융합기술 개발전략 기획을 위한 특허 인용 네트워크 기반의 분석 방법론 : 스마트공장 ICT 기술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Methods Based on Patent Citation Networks for the Convergence Technologies Development Planning : A Case of Smart Factory's ICT Technologies)

  • 이현민;김선재;김홍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4-47
    • /
    • 2018
  • 융합기술 개발에 대한 선진국들의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융합기술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기술개발의 접근으로, 기술 및 산업분야에 미치는 후생적 파급효과가 큰 핵심융합기술을 발굴할 수 있는 방법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의 기술융합수준을 후생적으로 타기술분야들을 연계하는 파급효과 수준으로 정의하고, 스마트공장의 ICT 융합기술 분야 1,124개 미국출원특허를 이용한 특허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IPC 기술분야 네트워크로부터 산출한 IPC 기술분야 매개중심성 지수를 이용하여 해당 특허의 기술융합수준을 측정하는 이종분야 기술융합지수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종분야 기술융합지수와 중재자역할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른 지수들 (타분야비율지수 및 동종분야 기술융합지수) 대비 이종분야 기술융합지수가 후생적으로 다른 기술분야들을 연계하는 파급효과 차원의 융합특성을 측정하는 지수임이 확인되었다. 제안한 이종분야 기술융합지수를 이용하여 정부부처에서 제시한 스마트공장의 주요 ICT기술 전략분야들 중 핵심 ICT 융합기술분야들을 분석한 결과, '제조실행분석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6개의 핵심 ICT융합 기술분야들을 도출하였다. 추가로 '제조실행분석 애플리케이션'에 속한 특허들의 IPC들을 대상으로 블록모델링 분석한 결과, '전자통신기술'과 '전자 디지털데이터 처리기술'로 대표되는 블록들(블록 3&4)이 핵심기술과 융합 가능한 관련 기술분야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스마트공장의 융합기술 개발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특허분석을 통한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 분야의 유망 연구영역 탐색 (Exploring Prospective Research Areas in UI/UX through the Analysis of Patents)

  • 임채국;윤두섭;박인채;박광만;고순주;윤병운
    • 경영과학
    • /
    • 제32권4호
    • /
    • pp.1-18
    • /
    • 2015
  • On UX/UI fields, understanding emerging technology is important for preoccupancy of a future market. Most of emerging field searching methods are qualitative methods. However, it is suitable for large companies to adduce its milestone, not for small enterprises. Thus, this study aims at purposing the improvement of utilizability for research field searching processes. We draw core patents with modified patent citation data, apply the Girvan-Newman clustering method based on bibliographic coupling patent relationship and then, draw emerging technology research UX/UI fields. Finally, the results were validated in comparison with a report on emerging research.

특허정보 기반의 기술 모니터링을 통한 첨단 정보통신기술 기반 융합 신기술 탐색 연구 (Research on Exploring Novel Convergence Technologies Based on Advanced ICT via Technology Monitoring of Patents)

  • 진병삼;배영철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453-461
    • /
    • 2020
  • In this study, we conducted technology monitoring to search for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and new technologies targeting the core technologies selected as "convergence technologies based on advanced ICT". This technology group, selec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NRF) as one of the future-emerging technologies in 2018, consists of 'next-generation millimeter wav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ata-centric computing technology', and 'immersive media interface' that can be seen as important technolog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strategic research direction to the R&D-related stakeholders of countries or enterprise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newly emerged technologie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patent data on these technolog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technology for the convergence technologies based on advaned ICT group through patent data based on the newly emerged IPC code, and also suggested that it can suggest a strategic direction in planning R&D on related technologies.

TF-IDF와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특허 데이터 분석과 경쟁우위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ent Data Analysis and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y using TF-IDF and Network Analysis)

  • 윤석용;한경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29-535
    • /
    • 2018
  • 데이터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기업이 데이터 분석을 현황 설명(descriptive analysis)이나 진단 분석(diagnostic analysis)에만 활용하고 예측분석(predictive analysis)이나 기업의 기술전략 분석 등에는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오픈 되어 있는 특허의 IPC 코드, 발명자, 출원일 등의 정형데이터와 청구항 등의 비정형 데이터를 네트워크분석, TF-IDF 등의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경쟁기업의 확보 기술과 핵심 기술의 분포, 해외 진출 전략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를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증명하고자 한다.

광전기화학적 수소제조 기술 동향분석 (Trend of Photo-Electr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 한혜정;강경석;백진욱;문상진;김종욱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741-748
    • /
    • 2011
  • Hydrogen is clean and renewable, and recognized as a very promising energy resource to solve both depletion of petroleum and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fossil fuels. Extensive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worldwide on the production technologies of hydrogen. In this paper, the technology trend of photo-electrochemical (PEC) hydrogen production was scrutinized based on the patent and paper analysis. Open/registered patents of US, JP, EP, and KR and SCI Journals related to the PEC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between 1996~2010 were reviewed. Patents and papers were gathered by using the key-words searching method and filtered by desirable filtering criteria. The technology trend was discussed by classifying each patent and paper based on the publishing year, country, and organization, and analyzing the core patents and 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