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rinellus micaceu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갈색먹물버섯 자실체의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항당뇨, 항콜린에스테라아제, 항티로시나아제 및 Nitric oxide의 저해 효과 (In vitro antioxidant, anti-diabetic, anti-cholinesterase, tyrosinase and nitric oxide inhibitory potential of fruiting bodies of Coprinellus micaceus)

  • ;이민웅;윤기남;김혜영;진가헌;최재혁;임경환;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0-3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메탄올과 열수를 이용해 갈색먹물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물질의 항산화, 항당뇨, 항콜린에스테라아제, 항티로시나제와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pr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naringin 등 총 4종류의 페놀성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항산화 효과 실험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에 비해 낮았지만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고, 철 이온을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는 메탄올과 열수 추출물이 양성대조군인 BHT에 비해 30% 높게 나타났으나 환원력은 양성대조군에 비해 43%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당뇨 실험에서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에 대한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저해효과는 2.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62.26%와 67.59%를 보여 양성대조군인 acarbose의 81.81%에 비해 낮았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에 대한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저해효과는 1.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94.64%와 74.19%를 보여 양성대조군인 galanthamine의 97.80%에 비해 낮았다.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저해효과는 2.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91.33%와 91.99%를 나타내 양성대조군인 kojic acid의 99.61%와 매우 유사한 효과를 얻었다. 염증저해 효과 실험에서는 RAW 264.7 대식세포가 배양되고 있는 배지에 갈색먹물버섯 자실체의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전 처리 한 후 염증매개 물질인 LPS를 투여하여 메탄올과 열수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된 NO의 양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갈색먹물버섯의 자실체에는 항산화, 항당뇨, 항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항티로시나아제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천연 건강식품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용버섯과 진균 교차 배양을 활용한 플라스틱 필름의 생물학적 분해효과 (Biodegradation effect of cross-cultivated fungi and edible mushrooms on plastic films)

  • 최두호;이은지;안기홍;이강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36
    • /
    • 2024
  •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분해를 위한 연구의 한 종류로 버섯균을 활용한 플라스틱 분해 유도를 위해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주변에서 구하기 쉽고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낮은 식용 버섯을 활용하여 인체 안정성을 더한 플라스틱 분해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31 종의 버섯균들을 대상으로 플라스틱 PE, PS, PET 필름에 대한 분해 효과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 4종의 버섯(종이비늘버섯, 영지버섯, 갈색먹물버섯, 느타리)에 의한 플라스틱 분해 효과를 관찰하였으며, 진균과의 교차 배양을 통해 플라스틱 분해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해당 확인 과정에서 PS에 대한 분해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진균 Asp. nidulans의 작용에 의한 것이었다. 그러나 Asp.nidulans가 가진 유해성 (Henriet et al., 2012)으로 인해 인체에 무해한 식용버섯균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비록 버섯균만을 활용한 분해 결과는 저조하나 진균과 버섯균을 교차 배양한 분해 효과는 Asp. nidulans에 의한 분해 효과에 근접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PET에 대해서는 오히려 PT_2822_nig의 사례와 같이 교차 배양한 샘플이 더 높은 수치의 플라스틱 분해 효과를 보였다. 비록 두 실험 결과값들이 유의성을 보이지 못해 추가적인 보완실험이 요구되고 있으나 해당 실험을 통해 버섯균을 활용한 플라스틱 분해 유도 또한 세균, 진균, 밀웜 등을 활용한 분해 유도 과정과 비교하여 경쟁성을 보이고 있다.

Experimental Analysis of Interactions Among Saprotrophic Fungi from A Phosphorous-Poor Desert Oasis in the Chihuahuan Desert

  • Marini-Macouzet, Constanza;Munoz, Luis;Gonzalez-Rubio, Aldo;Eguiarte, Luis E.;Souza, Valeria;Velez, Patricia
    • Mycobiology
    • /
    • 제48권5호
    • /
    • pp.410-417
    • /
    • 2020
  • Fungal ecological interactions play a key role in structuring community assemblages. These associations may involve both antagonistic and synergistic relationships, which are commonly influenced by abiotic factors such as nutrient conditions. However, information for extreme, oligotrophic systems remain poor. Herein, interactions among key members of the aquatic transient fungal community (Aspergillus niger, Cladosporium sp., and Coprinellus micaceus) of a low-nutrient freshwater system in the Cuatro Ci enegas Basin, Mexico were studied. Pairwise interaction bioassays were explored in vitro under different nutrient conditions, including carbohydrates-rich, carbohydrates and amino peptides-rich, and low nutrients. Our results indicated that antagonistic patterns prevail among the studied taxa. However, nutrient-dependent changes were observed in Cladosporium sp. shifting to synergy under carbohydrates-rich conditions, suggesting changes in the fungal community composition as a result of nutrient enrichment. Remarkably, our findings contrast with previous work demonstrating mainly synergistic interactions between our tested fungal isolates and co-occurring autochthonous bacteria (Aeromonas spp. and Vibrio sp.) under low-nutrient conditions. This observation may indicate that bacteria and fungi exhibit distinct community-level responses, driven by nutrient conditions. This contributes to the knowledge of fungal community dynamics and interspecific interactions in an oligotrophic ecosystem, highlighting the relevance of nutrient-based shifts and antagonistic interactions in ecosystem dyna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