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per fungicid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Biological Control of Tea Anthracnose Using an Antagonistic Bacterium of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Tea Leaves

  • Kim, Gyoung-Hee;Lim, Myoung-Taek;Hur, Jae-Seoun;Yum, Kyu-Jin;Koh, You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99-102
    • /
    • 2009
  • An antagonistic bacterium of Bacillus subtilis BD0310 against Colletotrichum theae-sinensis was isolated from the phylloplane of tea trees at a tea plantation in Korea. SC (suspension concentrate)-type biofungicide was formulated with the antagonist. Cell viability and antifungal activity of B. subtilis were maintained in the formulation more than 12 months at room temperature. The antagonist was sensitive only to copper sulfate among the chemical pesticides currently registered for tea trees in Korea. Greenhouse application demonstrated that the biofungicide controlled more effectively the disease in a protective mode than in a curative mode. Field trial showed that alternate applications of the biofungicide and chemical fungicide were more effective in controlling tea anthracnose than single application of the biofungicide or chemical fungicide with less use of chemical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iofungicide of B. subtilis 8D0310 is an effective method for biological control of anthracnose in tea plantations.

Pythium myriotyrum에 의한 생강뿌리썩음병의 포장내 발병진전에 미치는 토양소독, 살균제 시용, 좁은 이랑재배 효과

  • 김충희;양성석;한기돈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3-259
    • /
    • 1998
  • Effects of soil disinfection, fungicide application, and narrow ridge cultivation on ginger rhizome rot development were examined in two naturally-infested fields at Seosan, Choongnam province. Soil disinfection treatments were assigned to main plots, and fungicide and ridge treatments to sub-plots in a 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rhizome rot started in late July, and progressed rapidly until late September with the peak incidence in mid-august to early September. Soil disinfection by dazomet application showed the most prominent inhibition effects in both fields, where the disease was reduced by the treatment from 17.5% to 4.8% in one field, and from 51.0% to 2.2% in the other field. Three to five applications of fungicide metalaxyl-copper during the growing season inhibited the disease by 89.7% in one field, but less effectively in the other field. Narrow ridge cultivation reduced the disease effectively by 78.1% and 63.9%, compared to the unridged control plots in each field, respectively. Germination rate of seed-rhizomes and growth of ginger plants were similar between treatments, except when the plots received improper aeration after applying dazomet, and then the germination rate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greatest yields were obtained in the disinfected plots, regardless of rhizome rot incidence, except one control plot with very little disease. Ginger yiel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sease severity. However, the yield of ridge plots averaged 58∼59% compared to those of the unridged plots, due mainly to the half planting rate of the ridge plots. In spatial progress, the disease in the disinfected plots started from a single focus of the inoculum, and spread into the adjacent areas only, whereas in the untreated plots, the disease started from many foci that were distributed over the plot, and rapidly progressed to make an epidemic during the season. The soil density of P. myriotylum in the disinfected plots was not changed or, if not, increased slightly during the season. However, in the untreated plots it increased rapidly to reach the density 3 to 5 times greater by the end of the season.

  • PDF

아인산염의 감자 역병 방제효과 (Control of Potato Late blight (Phytophthora infestans) with Postassium Phosphonate)

  • 홍순영;이광석;강영길;지형진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79-182
    • /
    • 2003
  • 아인산염을 이용하여 감자 역병방제 시험을 실시한 결과 해발 100m 의 해안지역에서 방제가는 82.5%로 dimethomorph + copper oxychloride 500배액 처리시 방제가 75.9%보다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해발 300 m의 중산간 지대에서는 높은 습도와 잦은 비 날씨로 방제가가 40.0%로 낮았으나 농약처리 효과와 비슷하였다. 감자 역병 방제를 위한 아인산염 살포 간격은 15일이 적합하였다.

Chemical Control of Gray Blight of Tea in Korea

  • Shin, Gil-Ho;Hur, Jae-Seoun;Koh, You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162-165
    • /
    • 2000
  • Screening of effective fungicides, determination of effective fungicide application time and investigation of the emergence of resistant isolates to fungicid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effective chemical control strategy of gray blight of tea (Camellia sinensis) in Korea. Systemic fungicides, such as bitertanol, were effective for controlling gray blight when the fungicides were sprayed within 3 days after cutting tea leaves for harvest. Sprayed immediately after cutting, contact fungicides such as chlorothalonil were also effective, but control efficacy rapidly decreased with lengthening of the intervals between cutting and spraying. Korean isolates of P. longiseta and P. theae were still sensitive to bitertanol or fluazinam. However, the isolates highly insensitive to copper hydroxide or thiophanate-methyl have already emerged in Korea. Therefore,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use of fungicides and spraying programs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gray blight of tea in Korea.

  • PDF

원자흡광법(原字吸光法)에 의(依)한 과수원(果樹園) 토양중(土壤中)의 동함량(銅含量) 분석(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Copper In the Soil s of Orchards)

  • 박승희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52-58
    • /
    • 1980
  • 농작물(農作物) 및 농경지(農耕地) 토양중(土壤中)의 유해중금속원소(有害重金屬元素)의 축적(蓄積)과 그 대책구명(對策究明)의 관(關)한 일환(一環)으로, 과수목(果樹木)(사과, 배, 감귤) 토양중(土壤中)에 축적(蓄積)된 동함량(銅含量)을 공해관계(公害關係) 공정분석법(公定分析法)으로 통용(通用)되는 원자흡광법(原字吸光法)에 의하여 주요산지별(主要産地別)(사과밭 : 대구(大邱), 예산((禮山), 충주(忠州) ; 배 밭 : 성환(成歡), 부천(富川), 양주(楊州) ; 감귤밭 : 서귀포(西歸浦)), 토심별(土深別)(0~10cm, 10~20cm 및 20~30cm), 및 수령(樹令)(경작년수(耕作年數)) 별(別)로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사과밭토양(土壤)의 경우(境遇), 수령(樹令)이 5년(年) 미만(未滿)인 때 동(銅)의 축적(蓄積)은 없었으나 10년(年) 이상(以上)부터는 오염(汚染)되기 시작(始作)하여 30년(年) 정도(程度)이면 100ppm 수준(水準)에 이르고, 50~60년(年) 정도(程度)의 토양(土壤)에서는 130~170ppm이 축적(蓄積)되었으며, 대부분(大部分) 표토(表土)(0~10cm)에 함유(含有)되고 그 오염도(汚染度)가 심(甚)하면 표토(表土)(10~20cm)까지 전이오염(轉移汚染)되나 그 정도(程度)는 매우 낮았다. 2. 배밭토양(土壤)에 있어서도 수령(樹令)이 많을수록 동(銅)의 축적량(蓄積量)은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고, 30년(年) 이상(以上)이면 20~30ppm 수준(水準)이었다. 지역별(地域別)로는 최고(最高) 36.8ppm으로 양주군(楊洲君)에 이어 성환(成歡), 부천(富川)의 순(順)으로 낮았고, 토심별(土深別) 수직분포(垂直分布)로는 역시(亦是) 표토(表土)에 대부분(大部分)이 집적(集積)되어 있었다. 3. 감귤밭에 있어서도 수령(樹令)에 따른 경향(傾向)은 전술(前述)한 바와 같았고, 35년(年)된 수원(樹園)의 표토(表土)에서 57ppm이 검출(檢出)되었으나, 15년(年) 미만(未滿)인 경우(境遇)에는 적용(適用)한 분석법(分析法)의 검출한계농도(檢出限界濃度)에 불과(不過)한 흔적(痕迹)만을 보였으며, 20년(年) 및 30년(年)인때 표토(表土)에 각각(各各) 23ppm 및 38ppm이 축적(蓄積)되었고, 심토(深土)에의 수직전이(垂直轉移)는 다른 과원토양(果園土壤)에 비(比)하여 적은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4. 조사지역(調査地域) 전반(全般)을 통(通)하여 살펴볼 때, 농작물(農作物)의 생육장해(生育障害)와 감수(減收)를 감안하여 외국(外國)에서 규제(規制)하고 있는 농경지(農耕地) 토양중(土壤中)의 동함량(銅含量) 허용기준농도(許容基準濃度) 125ppm(N/10-HCl 침출(浸出))에 비(比)하면 현격(懸隔)하게 미량(微量)이어서 농경상(農耕上)의 문제점(問題點)은 전혀 없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시설오이에서 azoxystrobin, 미끌애꽃노린재, 콜레마니진디벌을 이용한 꽃노랑총채벌레와 목화진딧물 종합관리 사례 (A Case Study for Intergrated Pest Management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Aphis gossypii by Simultaneously Using Orius laevigatus and Aphidius colemani with Azoxystrobin in Cucumber Plants)

  • 최용석;황인수;한익수;김영칠;최광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79-386
    • /
    • 2013
  • 오이에서 가장 피해가 심한 해충인 목화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에 방제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과 미끌애꽃노린재에 대하여 노균병과 흰가루병 약제의 저독성을 평가하여 살균제와 동시에 활용한 목화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천적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47종 살균제 중 DBEDC, hexaconazole, pyraclostrobin, tribasic copper sulfate, triflumizole, chlorothalonil, flusilazole, folpet, carbendazim+diethofencarb, cymoxanil+fenamidone, trifloxystrobin은 콜레마니진디벌 머미에 50% 이상의 독성을 보였고 저독성 살균제 중 azoxystrobin이 노균병과 흰가루병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어 천적과의 동시활용 약제로 선발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와 목화진딧물은 천안과 공주에서 4월 상순 동시에 급격히 밀도가 증가하였고, azoxystrobin 50% 액상수화제를 10일간격으로 계속 방제 하면서 콜레마니진디벌을 진딧물 발생초기 1주간격 3회, 미끌애꽃노린재를 발생초기 1주간격 3회 방사 후 천적 밀도를 조사한 결과 목화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를 억제하면서 콜레마니진디벌 머미는 하엽당 최대 18마리, 미끌애꽃노린재는 꽃당 0.5마리를 나타내어 azoxystrobin이 콜레마니진디벌과 미끌애꽃노린재의 밀도형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았다. 시설오이에서 콜레마니진디벌과 미끌애꽃노린재에 안전한 선택약제와 천적을 동시 이용할 경우 효과적인 진딧물과 총채벌레 방제가 가능할 것이다.

고농도 용액에서 Layered Copper Hydroxides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ayered Copper Hydroxides in Highly Concentrated Solution)

  • 남대현;최충렬;김광섭;서영진;박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72-879
    • /
    • 2010
  • LCHs는 높은 구리함량 뿐만 아니라 고결정도, 음이온교환능력 및 규칙적인 층상 구조 등을 가지고 있어 살균제로 활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고농에서 LCHs를 합성하였으며, 다양한 반응인자에 따른 결정학적 및 물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최적조건을 설정하였다. $Cu(NO_3)_2$ 용액에 NaOH 용액을 첨가하여 합성된 LCHs의 결정성은 후숙시간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나, 0.5시간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응온도에 따른 LCHs의 XRD 피크의 강도 및 패턴은 매우 유사하였으나, LCHs 현탁액의 안정성은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CHs의 결정성은 반응용액의 pH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pH 9.0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반응용액의 pH에 따라 LCHs 현탁액의 색상과 안정성이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Cu(NO_3)_2$ 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용액의 점성이 증가되었으며, LCHs의 결정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NaOH 용액 5.0 M에서 합성된 LCHs의 결정성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나, 현탁액의 안정성은 NaOH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LCHs의 최적 합성조건은 후숙 2시간, 반응온도 $25^{\circ}C$, 반응용액의 pH 6.0, $Cu(NO_3)_2$ 및 NaOH 용액의 농도는 3.0 M 이었다. 최적 반응조건에서 합성된 LCHs는 골격구조를 형성하는 OH, 층간의 $H_2O$$NO_3$로부터 기인하는 흡수 band가 FT-IR 분석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LCHs의 탈수 및 결정구조의 파괴는 $206{\sim}246^{\circ}C$의 매우 좁은 온도범위에서 발생하였으며, 무게감량이 31.8%로서 이론적인 값인 33.6%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25^{\circ}C$에서 합성된 LCHs는 0.2~0.8 ${\mu}m$ 크기의 plate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반응온도 및 반응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입자 크기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입자모양도 변화되었다. 무기 구리제의 병원균에 대한 작용기작은 식물체 표면에 처리된 구리제가 건조 후 엷은 막을 형성하고,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나 탄산을 함유한 빗물, 이슬, 식물체 또는 미생물의 분비물에 의해 가용성의 구리염으로 변화되어 방출된 구리이온이 병원균과 접촉하여 효과를 발현한다. 따라서 작물보호제 처리 시 식물체 표면 흡착이 증가할수록 방제효율은 증가되며, 일반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식물표면 흡착은 증가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합성된 HDCS는 합성공정이 간단하며, 고농도에서도 합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입자크기가 작고 현탁액의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구리 살균제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Biological Control of Strawberry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fragariae Using Bacillus velezensis BS87 and RK1 Formulation

  • Nam, Myeong-Hyeon;Park, Myung-Soo;Kim, Hong-Gi;Yoo, Sung-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5호
    • /
    • pp.520-524
    • /
    • 2009
  • Two isolates, Bacillus sp. BS87 and RK1, selected from soil in strawberry fields in Korea, showed high levels of antagonism towards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in vitro.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B. velezensis based on the homology of their gyrA sequences to reference strains. BS87 and RK1 were evaluated for control of Fusarium wilt in strawberries in pot trials and field trials conducted in Nonsan, Korea. In the pot trials, the optimum applied concentration of BS87 and RK1 for pre-plant root-dip application to control Fusarium wilt was $10^5$ and $10^6$ colony-forming units (CFU)/ml, respectively. Meanwhile, in the 2003 and 2005 field trials, the biological control efficacies of formulations of RK1 were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fungicide (copper hydroxide) when compared with a non-treated control. The RK1 formulation was also more effective than BS87 in suppressing Fusarium wilt under field condition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mulations of B. velezensis BS87 and RK1 may have potential to control Fusarium wilt in strawberries.

토마토 재배에서 점무늬병 및 잎곰팡이병 발생 예측 및 방제력 연구 (Forecasting Leaf Mold and Gray Leaf Spot Incidence in Tomato and Fungicide Spray Scheduling)

  • 이문행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6-383
    • /
    • 2022
  • 이번 연구는 토마토잎곰팡이병 및 점무늬병에 대한 방제력을 개발하고, 온도와 잎의 결로시간에 따른 발생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첫 번째 병발생 예측 실험에서는 토마토묘에 Fulvia fulva, Stemphylium lycopersici 분생포자를 각각 1 × 104 conidia·mL-1로 접종시키고 10-25℃(F. fulva) 및 10-30℃(S. lycopersici)에서 0-18시간 동안 이슬생육상에 두었다. 살균제를 이용한 방제 연구에서는 잎곰팡이병 방제를 위하여 트리미다졸, 폴리옥신 B, 이미녹타딘 트리스(Belkut)를 처리하였으며 점무늬병 방제를 위하여서는 에트리디아졸 + 티오파네이트(가지란)과 삼염기 황산구리(세빈나)를 처리하였다. 엽결로시간이 9시간 이상에서 잎곰팡이와 점무니병이 발생하였으며 결로시간이 길어질수록 병발생률이 높았다. 잎곰팡이병의 발생률은 20℃와 15℃에서 더 높았고, 점무늬병은 25℃와 20℃에서 발병률이 증가하였다. 포자 접종 14일 후에 잎곰팡이병 및 점무늬병이 발생하였으며 잠복기는 14-15일로 추정되었다. 잎곰팡이 및 점무늬병 포자가 처리된 식물체에 접종 후 0시간부터 240시까지 살균제 처리를 한 결과 살균제 종류와 상관없이 일찍 약제를 처리한 식물체에서 방제가가 높았으며 150시간이 지난 처리에서는 방제가가 급격히 떨어졌다. 이번연구에서 개발된 병예측모델과 방제력은 토마토의 잎곰팡이병과 점무늬병을 적기에 방제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토마토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유기농업자재의 억제효과 (Suppressive Effect of Organic Farming Materials on the Development of Tomato Gray Mold)

  • 홍성준;김용기;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지형진;김석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67-582
    • /
    • 2015
  • 잿빛곰팡이병은 Botrytis cinerea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로 잎, 줄기, 과실 등 토마토의 여러 부위에 감염되어 식물체를 죽이며 심각한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시킨다. 본 연구는 토마토 잿빛곰팡이병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식물추출물과 광물질 등이 포함된 22종의 유기농업자재를 대상으로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억제효과를 실내와 온실에서 검정하였다. 유기농업자재 중 유황, 구리, 황련 추출물, 대황 추출물이 주원료인 자재에서 51.7~90% 정도의 잿빛곰팡이병 병원균 포자발아억제능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토마토 줄기를 이용한 잿빛곰팡이병 생물검정에서 수용성 유황, 해조류 추출물, 대황뿌리 추출물, 황련 추출물 등이 주원료인 4종류의 유기농업자재에서 90% 이상 잿빛곰팡이병 발생을 감소시켰다. 선발된 4종류의 유기농업자재를 온실에서 잿빛곰팡이병 병원균을 토마토에 인공접종한 상태에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수용성 유황이 포함된 자재에서 87.9%의 방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화학농약인 diethofencarb+carbendazim 수화제와 유사한 방제효과였다. 위의 결과는 시설 내에서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방제 시 화학농약을 대신하여 수용성유황이 포함된 유기농업자재로 친환경적인 방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