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epod cultur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8초

기수산 요각류 Paracyclopina nana 의 섭식, 성장 및 생산력에 관한 먹이농도의 영향 (Effect of food concentration on grazing, growth and fecundity of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 이균우;강정훈;박흠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06-5210
    • /
    • 2012
  • 기수산 요각류 P. nana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 먹이공급량을 규명하기위해 먹이공급량에 따른 P. nana의 섭식량, 성장 및 성체암컷의 nauplius 생산수를 조사하였다. 실험을 위한 먹이생물로 해양 식물플랑크톤인 Tetraselmis suecica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은 발달 단계에 따라 6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먹이공급량은 각 단계 그룹마다 0.5, 1, 2, 5, 10, 20, 40, 60 및 $80{\times}10^4$ cells/mL로 설정하였고 P. nana 암컷의 nauplius 생산수 측정실험은 0.2, 0.5, 1, 2, 3 및 $4{\times}10^4$ cells/mL의 먹이공급실험구를 두어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먹이 공급량에 따른 P. nana 각 발달 단계의 시간 당 초식율은 모든 발달단계가 T. suecica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 nana는 nauplius 기간에서, 먹이량이 증가함에 따라 개체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copepodite 단계에서는 먹이량이 $1{\times}10^4{\sim}5{\times}10^4$ cells/mL을 기준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할 때, 개체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이 공급 농도에 따른 암컷의 일일 nauplius 생산은 먹이 공급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3 및 $4{\times}10^4$ cells/mL 실험구는 $2{\times}10^4$ cells/mL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P. nana의 대량배양을 위한 T. suecica 공급밀도는 nauplius 단계는 5,000 cells/mL, copepodite 단계와 성체수컷은 10,000 cells/mL, 성체암컷은 20,000 cells/mL이 가장 효율적인 먹이 공급 밀도라고 판단된다.

미세조류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기수산 cyclopoid 요각류 Paracyclopina nana의 섭식 (Grazing of Brackish Water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on Different Microalgae Species and Concentrations)

  • 민병희;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0-314
    • /
    • 2006
  • 본 연구는 기수산 cyclopoid 요각류인 Paracyclopina nana의 먹이 종류와 농도에 따른 섭식률을 조사하였다. 먹이 공급 24 시간 후 먹이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P. nana의 장내용물 함량과 섭취된 먹이의 양을 색소분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T. suecica는 30 ng chl a/ml, I. galbana와 D. tertiolecta는 40 ng chl a/ml, P. tricornutum는 45 ng chl a/ml 농도로 공급하였을 때 섭취된 먹이의 양과 P. nana의 장내용물 함량이 가장 높았다. T. suecica, I. galbana, P. tricornutum, 그리고 D. tertiolecta에 대한 P. nana 성체 1 개체의 시간당 최대 섭식률은 각 미세조류의 공급 농도가 각각 39.3, 44.7, 44.5와 49.8 ng chl a/ml일 때 각각 0.63, 0.60, 0.41 및 0.52 ng chl a로 나타났다. 따라서 P. nana의 대량배양시 가장 적합한 먹이생물은 공급 농도가 낮으면서도 섭식률이 가장 높은 T. suecica이며, 성체 1 개체당 1일 먹이 공급량은 약 $25{\sim}39$ ng chl a (약 $10{\sim}15{\times}10^4$ cells)가 가장 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A new culture system for in situ observation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Eucyclops serrulatus (Copepoda: Cyclopoida)

  • PARK Sung-Hee;CHANG Cheon-Young;SHIN Sung-Shi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141-147
    • /
    • 2005
  • A practical and convenient method of rearing Eucyclops serrulatus in a microculture environment is described. A complete life cycle of E. serrulatus was maintained in a narrow space on a microscope slide glass on which a cover glass of $22{\times}40mm$ in size was mounted at a height of 0.8mm. The culture medium was constituted by bottled mineral water boiled with grains of Glycine max (soybean). Chilomonas paramecium, a free-living protozoan organism, was provided as live food. Growth of nauplii hatched from eggs to the first stage of copepodite took an average of 7.7 days, and the growth of copepodite 1 to the egg-bearing adult female took an average of 20.1 days in the microculture cell with an average life time of 44.7 days. Continuous passage of cope pods was successfully maintained as long as sufficient medium and food were provided. The microculture method enables an in situ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helminth larvae experimentally infected to copepods as well as of copepod itself. Furthermore, it does not require anesthetization and, therefore, minimize the amount of stress exposed to cope pods during the handling process.

Tigripus japonicus의 세균 섭이 (Feeding of Bacteria by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정민민;노섬;김필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3-118
    • /
    • 1998
  • Tigriopus japonicus를 대량생산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무균 배양을 통한 nauplius 유생 단계와 성체의 식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무균 상태의 성체는 먹이로 공급한 RT 박테리아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순조로운 증식을 보였다. 먹이로 공급한 RT 균주의 증식은 포식자 T. japonicus의 섭식에 의해서 그 증식이 크게 억제되었다. RT 균주만을 먹이로 배양한 T. japonicus의 성체가 가지고 있는 난낭안에는 oil bead로 충만해 있었다. 그러나, 무균 상태의 N. oculata만을 먹이로 공급한 경우에는 oil bead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 무균 조건의 nauplius 유생의 경우에는 먹이로서 공급한 RT 박테리아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RT 박테리아주의 증식을 크게 억제하였다. 이 결과는 지금까지 T. japonicus가 잡식성인 것만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최소한 섭식기구가 미발달된 nauplius의 초기 유생은 사육수중에 세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발생이 불가능하였다. 즉, 부화 직후 또는 발생 초기의 T. japonicus의 nauplius 유생은 박테리아식성 (bacterivorous)이었다.

  • PDF

Cyclopoid 요각류, Paracyclopina nana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밀도 (Optimum Culture Density for the Intensive Mass Production in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 이균우;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5
    • /
    • 2005
  • 본 연구는 P. nana의 집약적인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 배양밀도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nauplius 생산과 성체생산의 두 가지 측면에서 조사되었다. 2 ml 배양규모에서 성체 암컷 밀도에 따른 성체 암컷의 nauplius 생산력은 성체 암컷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copepodid와 nauplius의 밀도는 성체 암컷의 생산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깃으로 나타났다 8 L배양 용량에서 일주일 동안 암컷의 일일 평균 생산량은 1, 3, 5, 7개체/ml실험구에서 각각 0.6, 1.1, 17, $2.3{\times}10^5$ 개체로 배양밀도가 증가할수록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나 10 개체 /ml로 배양한 실험구는 $1.3\times10^5$개체로 7 개체/ml로 배양한 실험구보다 낮은 생산량을 보였다. 5 L배양용기에서 15일 동안 P. nana nauplius의 접종 밀도에 따른 생존개체는 모든 실험구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5일째, C4-성체까지의 생존율은 50, 100, 150및 200개체/ml 실험구에서 각각 32.7, 307, 28.9 및 $23.0\%$로 배양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50 개체/ml와 300 개체/ml 로 배양한 실험구는 각각 $19.7\%$$18.4\%$로 50, 100, 150 개체/ml 실험구보다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P. nana성체의 nauplius에 대한 공식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먹이의 공급 시 공식이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P. nann는 성체 생산을 위한 nauplius의 최대 접종밀도가 200개체/ml인 점을 고려해 볼 때, 비교적 고밀도로 배양이 가능하며 어류 종묘생산장에서 먹이 생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election of Copepods as Live Food for Marine Fish Larvae Based on Their Size, Fecundity, and Nutritional Value

  • Yang, Sung Jin;Hur, Sung Bum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199-208
    • /
    • 2014
  • Copepods are a major food source for marine fish larvae in nature. Many studies on copepods culture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a new live food for the seedling production of marine fish larvae. But fish farmers still depend on rotifer and Artemia nauplii.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suitable copepods as live food for the larvae in hatchery. Eight species of copepods (1 calanoid, 2 cyclpoid, 5 harpacticoid) that were fed Isochrysis galbana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size of nauplii, fecundity, amino acids, and fatty acids contents. These species were divided into small (nauplii length 46-86 ${\mu}m$) and large (nauplii length 120-188 ${\mu}m$) size group. Nitokra spinipes in the small group and Tigriopus japonicus in the large group showed the highest fecundity with 151.1 and 139.6 nauplii production per gravid female, respectively. With regard to nutrients, essential amino acids were the highest with 21.2% in cyclopoid Paracyclopina nana in the small group and n-3 HUFA were the highest in calanoid Pseudodiaptomus inopinus (8.5 ${\mu}g/mg$) in the large group and P. nana (8.8 ${\mu}g/mg$). In terms of the size, fecundity, and nutritional value of copepods examined in this study, N. spinipes and P. nana seem to be suitable copepod species to develop as a new live food for small mouth fish larvae.

부유물질이 해산무척추동물 생존에 미치는 영향평가 (Assessment of the impact of suspended solids on the survival of marine invertebrates)

  • 박진혁;윤성진
    • 환경생물
    • /
    • 제40권3호
    • /
    • pp.275-280
    • /
    • 2022
  • 부유물질은 수생생물의 성장과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cyst에서 부화한 Artemia 유생(branchiopoda), 조간대에서 채집한 T. west (copepod)와 H. koreanus (amphipoda)를 사용하여 96시간 동안 부유물질에 노출된 생물의 생존 영향을 규명하였다. 실험 결과 Artemia 유생과 T. west의 생존율은 50.0mg L-1 이상의 부유물질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H. koreanus는 부유물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50.0mg L-1 이상의 부유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Artemia 유생과 T. west는 미세한 생태 스트레스의 영향을 받지만 H. koreanus는 생존 가능한 내성범위를 벗어나 사망한 개체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생태독성 평가용 표준시험생물로서 섬모충류 Mesodinium rubrum에 대한 연구 (Potential of Marine Ciliate Mesodinium rubrum as a Standard Test Species for Marine Ecotoxicological Study)

  • 안경호;박경수;이승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087-1093
    • /
    • 2011
  • The mixotrophic marine ciliate Mesodinium rubrum possesses a highly modified algal endosymbiont as a nutrition source for the species. Accordingly, we assumed that the species can reflect the ecotoxicity on marine producer (as phytoplankton) and consumer (as zooplankton) both.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the species as a standard test species for marine ecotoxicological study. The comparison of species sensitivity on reference toxic materials was made using potassium dichromate for phytoplankton and copper chloride for zooplankton. The ciliate revealed the highest sensitivity on both reference materials among the seven test species including phytoplankton, benthic copepod and rotifer species. The toxicity end point of the species was 72hr-$EC_{50}$=1.52 mg/L (as potassium dichromate) estimated by population growth inhibition (PGI), which is more sensitive than the most sensitive phytoplankton Skeletonema costatum (72hr-$EC_{50}$=3.05 mg/L). As comparison to rotifer, it also revealed higher sensitivity on copper chloride; 72hr-$EC_{50}$=0.38 mg/L for ciliate and 48hr-$EC_{50}$=0.48 mg/L for rotifer. Also, the elutriate toxicity test of various ocean disposal wast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ciliate toxicity test application using industrial waste sludges. The toxicity of leather processing waste sludge was highest on the ciliate, followed by dyeing waste sludge and dye production waste sludge as an increasing order of toxicity. 72h-$EC_{50}$ of ciliate PGI test was 1.83% and that of S. costatum 3.84% for leather waste sludge which showed highest toxicity. The toxicity test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highest sensitivity was observed on ciliate species on ocean disposed sludge wastes. Also, ciliate toxicity test well discriminated the degree of toxicity between sludge sources; 72h-$EC_{50}$ values were 1.83% for leather processing waste sludge, 16.75% for dye production waste sludge and 27.75% for textile production waste sludge. Even the laboratory culture methods of the species were not generally established yet, the species has high potential as the standard test species for marine toxicity test in terms of the dual reflection of phyto- and zooplankton toxicity from single test, sensitivity and test replicability.

해양생태독성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Standard Methods for Marine Ecotoxicological Test)

  • 박경수;이승민;한태준;이정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2호
    • /
    • pp.106-111
    • /
    • 2008
  • 해양생태독성평가를 위한 공정시험방법으로서 해양생태계의 분해자, 기초생산자 및 소비자를 대표하는 6개 생물군을 이용하여 각각의 생물에 대한 생태독성시험용 표준시험방법(standard methods)을 개발 또는 정립하였다. 본 시험방법은 미환경보호국, 국제기구 및 유럽국가의 표준시험방법을 참고하였으며, 독성시험에 사용되는 표준시험생물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해양성 또는 광염성 생물(euryhaline species)로 선정하였다. 각 시험방법은 표준시험생물의 배양 및 사육, 시험방법 및 과정, 시험의 재현성 및 적합도 기준 등을 포함한다. 표준시험생물은 총 9종으로서 해산발광박테리아(Vibrio fischeri), 해산규조류(Skeletonema costatum), 녹조구멍갈파래(Ulva pertusa), 해산윤충류(Brachionus plicatilis), 저서요각류(Tigriopus japonicus), 저서단각류 2종(Mandibulophoxus mai and Monocorophium acherusicum) 및 어류 2종(Oryzias latipes and Paralichthys olivaceus)을 포함한다. 표준시험생물은 해양생태계의 기초생산자, 분해자 및 소비자를 대표하며, 생태독성 시험시 각 영양 단계별 최소 1종을 포함하는 총 3종의 "battery test"를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