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perative learning model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1초

20세기의 국.내외에서 이루어졌던 수학에서 협동학습 모형에 관한 고찰 (The Study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Mathematics during the 20th Century at Home and abroad)

  • 서종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3-152
    • /
    • 2007
  • 본 연구는 협동학습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고, 협동학습의 효과성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 협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협동학습 모형의 특징 및 그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학 교수-학습에서 협동학습의 필요성, 협동학습이 수학 수업에서 성공할 수 있는 몇 가지 조건 및 수학 과목에서 주로 사용되는 협동학습 모형, 이러한 모형들에 대한 수학학습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Pair Check Cooperative Learning in Operating System Class

  • Shin, Wooch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1호
    • /
    • pp.104-110
    • /
    • 2020
  •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mpetitiveness of the software industry is important, and as a solution to fundamentally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oftware industry, education classes should be provided to educate high quality software personnel in educational institutions. Despite this social situation, software-related classes in universities are largely composed of competitive or individual learning structures. Cooperative learning is a learning model that can complement the problems of competitive and individual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than individual or competitive learning. In addition, most learners have the advantage of having a more desirable self-image by having a successful experience. In this paper, we apply a pair check model, which is a type of cooperative learning, in operating system classes. In addition, the class procedure and instruction plan are designed to apply the pair check model. We analyze the test result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수학교육방법 개선을 위한 협동학습 유형 연구 (A Study of Cooperative Learning Style to Improve Mathematics Teaching Methods)

  • 이중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4호
    • /
    • pp.493-505
    • /
    • 2006
  • This research studied learning model for the purpose of renovation of mathematics teaching methods. Especially,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types of cooperative lear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need of cooperative learning in school mathematic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and traditional small group learning, This research also suggested special feature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various types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s. The main types of cooperative learning which this research supported are TAI(Team-Assisted Individualization, JIGSAW cooperative learning,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JIGSAW III cooperative learning, STAD(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 cooperative learning, and TGT(Teams-Games-Tournament).

  • PDF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스토리텔링기반 협동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torytelling based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Preliminary childhood teachers)

  • 강문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5-135
    • /
    • 2011
  • 본 연구는 팀 구성원들과 관계를 형성하여 협동하는 능력을 길러주고, 자신과 타인에 대해 이해하고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하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협동학습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스토리텔링기반 협동학습 모형 초안을 구안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모형의 강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수정 보완하여 모형을 구안하였다. 도출된 모형의 초안은 P시 D대학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6주에 걸쳐 현장적용 하였다. 그 결과, 협동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과 협동학습에 대한 재인식하기, 팀 구성원의 역할분담 재구성에 대한 필요성이 도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을 수정 보완하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협동학습 모형의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이러닝 협동학습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Collaborative e-Learning Evaluation Model)

  • 오양가 체렝검버;이길흥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35-144
    • /
    • 2015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valuation model that enables cooperative learning using e-Learning system. Even i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re not in the same place at the same time, the team project deliverable submitted by the student to the online system can be viewed by the teacher, enabling the teacher to assess the student not only based on the project but also in many other aspects. The proposed e-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 allows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factors, using such factors in assessment of the student's activities which are performed through the e-learning system, and the feedback of the results to the student so that the student is further motivated for learning. The teacher perform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such factors, which is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student's assessment. Implementing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n various e-learning systems such as Moodle is expected to motivate the student for learning, produces better cooperative learning results, provides greater convenience of assessment to the teacher, and improves fairness of assessment by showing the student's activities in real time.

웹기반 구조중심 협동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 eb-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on Structural Approach)

  • 정규옥;양형정;최숙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11-121
    • /
    • 2004
  • 협동학습 모델 중에서 매우 간단하고 적용이 쉬운 구조중심 협동학습은 다양한 구조의 유기적 연결과 학습내용의 결합을 통해 교수학습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조중심의 협동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지원하는 웹기반 구조중심 협동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조중심 협동학습 모델에서는 교과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틀을 제시하여 협동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 내용과 형태에 따라 다른 구조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식 습득형, 탐구형, 기능 숙달형 구조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적용 모형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모형들을 기반으로 실제 협동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하여, 수업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 PDF

스마트 기반 협동학습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Study on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Smart-based Cooperative Learning)

  • 김정랑;노재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25-632
    • /
    • 2014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 기기와 앱, SNS, 미러링 등을 이용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여 최근 다양한 협업 상호작용을 강조한 스마트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스마트교육과 LT 협동학습 모형을 연계한 '스마트 기반 협동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수업에서 적용하고 스마트 기반 협동학습과 일반적인 협동학습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초등학생들보다 스마트 기반 협동학습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의 표현, 경청과 이해, 상호작용 등 의사소통능력의 모든 하위 영역이 신장되었다. 이는 스마트 기반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생각이나 의견을 말과 글로 명료하게 표현하게 하고, 다른 학생들의 말과 글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며 사회적 상황에서 목적에 맞게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준다고 할 수 있다.

수학 협동학습의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f Cooperative Learning for Mathematics)

  • 이중권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5-74
    • /
    • 2005
  • 본 논문은 수학 교육방법 개선을 위한 노력의 하나로 학습 모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중 특히 협동학습 유형을 역사적으로 종합 정리하고 협동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소집단 협동학습의 필요성 그리고 협동학습과 전통 조별학습의 차이점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협동학습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다양한 협동학습의 유형을 제시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수학교육학적 견지에서 의미 있는 협동학습 유형으로 팀보조개별학습(TAI: Team-Assisted Individualization), 직소우(JIGSAW) 협동 학습, 직소우II(JIGSAW II) 협동 학습, 직소우III(JIGSAW III) 협동 학습, STAD(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 협동학습, 팀경쟁 협동학습(TGT: Teams-Games-Tournament)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 PDF

확장된 TGT 모델을 이용한 웹기반 협동학습 시스템 (A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using Extended TGT Model)

  • 김경원;홍의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67-476
    • /
    • 2009
  • 웹 기술과 교육 환경의 급속한 발전으로 웹기반 협동학습 시스템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협동학습에 학습의 흥미와 능동적 참여를 높일 수 있는 게임을 접목하는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게임을 사용하는 TGT 학습 모델에 기반한 것들로 대부분 시스템 설계 제안 수준에 머물렀으며, 구현 연구도 순수 TGT 모델만을 구현해 여러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확장된 TGT 모델을 정의하고 이에 기반한 새로운 웹기반 협동학습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확장 부분은 Jigsaw II 모델의 전문가 학습, STAD 모델의 향상점수 아이디어, 피드백 학습을 위한 학습자의 게임 문제 출제 참여 등을 포함한다. 순수 TGT 모델 기반 시스템에 대한 제안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두 시스템을 실제 중학교 두 반에게 적용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 시스템이 비교 시스템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임을 보였다.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igsaw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 권경자;양정하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13-12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pplying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o basic nursing practicum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nd the subjects were nursing students. The study allocated 30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people in the control group, an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2 hours every week for a total of 8 weeks. The traditional educational method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26.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jigsaw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4.49, p=.038), self-efficacy (F=6.15, p=.016), and learning outcomes (F=19.48,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By applying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o basic nursing practicums, this study confirmed its effect not only on the effective domain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but also on learning outcomes in the practical domain. We propose future studies apply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o various practice classes to achieve learning outcomes that focus on cultivating students' practical cap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