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ked odor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18초

민꽃게 자숙취의 핵심 향기발현성분 (The Character Impact Compounds of Odor Evolved from Cooked Shore Swimming Crab Flesh)

  • 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2-129
    • /
    • 2002
  • 민꽃게를 시료로 하여 바람직한 갑각류 향기성분의 전구물질부가 되는 character impact compounds의 검색 및 게 자숙향기의 발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Methanol이 냄새성분의 전구물질 추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추출횟수는 3회 정도로 완전추출이 가능했으며, 이때 methanol의 농도는 $80\%$일 때가 냄새의 강도가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 게의 냄새성분의 전구물질부를 구명하기 위해 투석 및 이온 교환수지 방법 등을 이용해 냄새성분 전구물질부를 분획하고 관능검사한 결과, 게 자숙취의 전구물질은 수용성이고 투석성의 저분자 성분으로, 산성 및 양성성분의 물질을 주체로 하여 여러 가지 성분이 동시에 가열될 때 발생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게육 특유의 자숙취를 발현시킬 목적으로, 민꽃게 육의 $80\%$ methanol 추출성분의 조성에 근거한 합성 게육 엑스분의 조제하여 100$^{\circ}C$C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발생하는 냄새를 천연 게육의 자숙취와 비교하여 볼 때, 냄새의 조화성 면에서는 다소 떨어지나 양시료 사이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편, 천연 및 합성 게육의 자숙취를 GC로 분석하여 chromatogram의 pattern을 비교한 결과 저·중비점 물질의 경우 양자가 서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 자숙취의 발현에는 염기성아미노산을 비롯한 아미노산류의 역할이 컸으며, ribose와 염기성아미노산 간에 일어나는 Maillard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휘발성화합물, 그리고 4급 암모니움염기가 민꽃게 자숙취의 주요 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Lipoxygenase isonzyme이 콩나물의 조리시 냄새와 맛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poxygenase Isoenzynes on the Odor and Taste of Soybean Sprouts during Cooking)

  • 오정미;윤선;배영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7-64
    • /
    • 1988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lipoxygenase isoenzymes isolated from germinating soybean seeds to obstain pH profiles, carbonyl Production, carotene bleaching abilities, and stability to heat. The roles of these lipoxygenase isoenzymes in the generation of volatile carbonyl compounds were investigated to associate with off-flavor and odor of soybean sprouts cooked to different temperatures. Lipoxygenase isoenzymes were isolated from soybean sprouts using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gel filtration and ionexchange chromatography. Two main lipoxygenases exhibited maximum activity at pH 6.5 (lipoxygenase 2) and at pH 9.5 (lipoxygenase 1), respectively. Both lipoxygenase 1 and 2 produced 280 nm absorbing carbonlys and bleached carotene. The abilities of hydroperoxide formation, 280 nm absorbing carbonyl production and carotene bleaching of lipoxygenase isoenzyme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ooking temperature raised. Sensory evaluation data presented that raw and $50^{\circ}C$ cooked soybean sprou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rassy odor than $80^{\circ}C$and $100^{\circ}C$ cooked soybean sprouts. On the other hand beany od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50^{\circ}C$ and $80^{\circ}C$ cooked soybean sprouts than in raw and $100^{\circ}C$ cooked soybean sprou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poxygenase plays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off-odor and flavors in soybean sprouts under the condition of chewing and inadequate heating.

  • PDF

쌀과 취반백미의 고온성 세균 분포 및 이상취 발생 (Occurrence of Off-Odor and Distribution of Thermophilic Bacteria from Rice and Cooked Rice Stored at Electric Rice Cooker)

  • 박석규;고용덕;권선화;손미예;이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0-74
    • /
    • 2003
  • 벼의 산지 및 품종별로는 중온 및 고온성 세균의 분포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도정도가 낮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수록 각각의 균들이 많이 존재하였다. 전기밥솥에서 고온성 세균의 증식은 75$^{\circ}C$이하에서 보온온도가 낮을수록 빠르게 나타났으며, 보온 초기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8∼24시간 사이에 증식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기밥솥 밥의 고온성 세균수와 이상취 발생의 상관성은 있었으며, 고온성 세균수는 오븐내 밥의 표면중앙이 중심이나 밑바닥에 비하여 약간 많게 나타났다. 백미밥의 휘발성 성분은 보온초기에는 쌀로부터 유래되는 hexanal이 주성분이었으며, 장시간보온 후는 이상취를 나타내는 furan을 포함한 고비점 물질이 많았다.

새우 및 새우젓의 향기성분(香氣成分) (Cooked Odor Components of Sergia Lucens and Its Fermented Product)

  • 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7-163
    • /
    • 1987
  • 앵(櫻)새우와 이것을 이용(利用)한 새우젓갈에 대해 가열(加熱)에 의한 향기성분(香氣成分)의 변화(變化)를 GC와 GC-MS에 의해 분석(分析), 동정(同定)하였다. 연확증류추출법(連擴蒸溜抽出法)으로 얻은 향기농축물(香氣濃縮物)을 동정(同定)하고 내부표준물질(內部標準物質)을 넣어 정량(定量)을 행하였다. 그 결과(結果) 앵(櫻)새우와 이 젓갈에서 각각(各各) 47종류(種類)외 화합물(化合物)을 동정(同定)하였다. 앵(櫻)새우의 가열향기(加熱香氣) 화합물(化合物)로는 pyrazine류(類)와 thiolane, thialdine등의 함황화합물(含黃化合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 젓갈 숙성(熟成)에 따라 pyrazine류(類)는 현저하게 증가(增加)하고 발효취(醱酵臭)에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alchol류(類)도 다소(多少) 증가(增加)하였다. 합양화합물(合黃化合物)에 있어서는 Sulfide류(類)는 열성(熱成)에 따라 증가(增加)하고 thialdine은 감소(感少)하였다. 또, 앵(櫻)새우의 독특한 가열향기(加熱香氣)에 기여하는 key compound를 찾기 위해 연속증류추출법(連續蒸溜抽出法)에 의해 가열향기농축물(加熱香氣濃縮物)을 얻어 냄새맡기로 개조(改造)된 GC를 이용(利用)하여 관능적(官能的)으로 검토(檢討) 한 결과(結果) 앵(櫻)새우의 가열향기성분(加熱香氣成分) 중(中) 새우냄새 또는 배소(焙燒)의 고소한 냄새를 띄는 것은 2.5-di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과 2.3-dimethyl pyrazine의 3종류(種類)와 thiolane, thialdine 등의 함황함실(含黃含室) 소화합물(素化合物)이라는 것이 규명(糾明) 되었다.

  • PDF

Dimethyl Trisulfide Produced by Bacillus sp. in Cooked Soybean

  • Ji, Won-Dae;Lee, Sang-Jun;Kim, Jong-K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61-63
    • /
    • 1993
  • The neutral fraction of whole volatile flavor compounds produced by Bacillus licheniformis SSA3 and Bacillus subtilis PM3 in cooked soybean was identified by using GC/MS and Kovats retention index. The presence of dimethyl trisulfide, which emits characteristically Korean soy sauce-like odor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in identified volatile flavor components was confirmed. Dimethyl trisulfide may be produced by Bacillus licheniformis SSA3 and Bacillus subtilis PM3 in cooked soybean.

  • PDF

청국장 숙성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Flavor of Chungkookjang During Fermentation)

  • 최성희;지영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9-234
    • /
    • 1989
  • 균주에 따른 청국장 발효중의 향기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증자대두에 Bacillus subtilis 와 Bacillus natto균을 각각 접종시켜 청국장을 만들어 연속 증류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향기성분을 추출 농축하고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증자대두의 중요한 성분으로 3-methyl-1-butanol, 2-methylpropanoic acid 및 1-octen-3-ol 등이 밝혀졌고, B. subtilis균을 접종한 청국장은 숙성중에 이들 화합물들이 대체로 남아 있었으나, trimethylpyrazine, tetramethylpyrazine 등 7종류의 alkylpyrazine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B. natto균을 접종한 청국장은 증자대두의 중요한 성분들은 대체로 감소하고 alkylpyrazine 류 특히 tetramethylpyrazine 류는 숙성중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kylpyrazine 류는 대두 냄새를 masking 하고 청국장의 향기에 크게 기여함을 알았다. 또 이들 향기성분들의 함량차는 두 가지 균을 접종한 청국장이 각각 다른 향기를 내는 요인이 되는 것 같다.

  • PDF

IQF 굴(Crassostrea gigas) 복합엑스분을 이용한 굴 소스의 가열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of Cooked Oyster Sauce Prepared from Individually Quick-frozen Oyster Crassostrea gigas Extract)

  • 황영숙;김상현;신태선;조준현;이인석;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68-673
    • /
    • 2015
  •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has a desirable taste and flavor that differs from those of other fish and shellfish. In order to develop a high value-added product from individually quick-frozen oyster extract (IQFOE), we prepared an oyster sauce from IQFOE and characterized its volatile compounds using vacuum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 /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ash, salinity, pH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of the oyster sauce were 60.6%, 8.2%, 9.2%, 9.3%, 5.7 and 21.0 mg/100 g, respectively. Seventy-six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cooked odor of the oyster sauce. These volatile compounds included 14 esters, including ethyl acetate, 13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including 2,4,6-trimethyl pyridine, 13 acids, including hexadecanoic acid, 12 alcohols, including ethyl alcohol and 6-methyl heptanol, 6 alkanes, 5 aldehydes, including benzaldehyde, 5 ketones, including 1-(2-furanyl)-ethanone, 4 furans, including 2-furancarboxaldehyde and 2-furanmethanol, 3 aromatic compounds, including d-limonene, and 1 miscellaneous compound. Esters, acids and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and alcohols were the most abundant compounds in the odor of the cooked oyster sauce, with some aldehydes, ketones, and furans.

쌀 품종에 따른 쌀밥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연구 -I. 저장중 쌀밥의 풍미 및 겉모양의 변화- (Study on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Rices -I. Changes in Flavor and Appearance of Cooked Rices during Storge-)

  • 김종군;황진선;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09-117
    • /
    • 1987
  • 일반계(아끼바레)와 다수계(밀양 30, 태백)의 취반된 쌀밥이 온도별로 저장하는 동안 쌀밥의 풀어짐성과 냄새, 맛, 겉모양과 같은 관능적 성질이 변화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취반후의 쌀밥크기는 아끼바레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물속에서의 풀어짐성은 다수계가 아끼바레보다 높았다.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풀어짐성은 전반적으로 3시간 저장시 현저히 감소하였다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낮은온도$(4^{\circ}C)$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쌀밥의 냄새는 아끼바레가 단냄새와 구수한 냄새에서 다수계보다 높았으나 곰팡이냄새는 낮았다. 맛은 구수한 맛과 느끼한 맛에서는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단만은 아끼바레가 높은 강도를 보여주었다. 온도별 저장에 따른 변화는 전반적으로 구수한 냄새와 단냄새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곰팡이 냄새는 오히려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맛에서도 구수한 맛과 단맛의 현저한 감소가 평가되었다. 한편 겉모양에서는 아끼바레가 다수계보다 윤택하였으며 이러한 성질은 저장하면서 서서히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 PDF

취반기의 가열 방식별 취반미의 특성 비교 분석 (Quality Comparison of Rice Cooked on Heat Plate, Induction Heat, and Heat Plate with Pressure)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64-472
    • /
    • 2017
  • The qualities of rice cooked on heat plate, induction heat and heat plate with pressure, were investigated. The weight, volume, water soluble index (WSI), hydration by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gelatinization by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s well as the consumer acceptability of cooked rice were analyzed. The weight, volume and WSI of rice cooked on heat plate with pressure were higher than those of rice cooked on heat plate and induction heat. The rice cooked on heat plate with pressure also showed higher degree of hydration and gelatinization, and lower degree of enthalpy of gelatinization than the rice cooked on heat plate and induction heat for 5~15 min. The consumer acceptability revealed that the odor, appearance,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nce of rice cooked on induction heat were better than those of rice cooked on heat plate and heat plate with pressure. During storage in a cooker for 0~12 h, there was a decrease in the consumer acceptability of cooked ric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ies of rice cooked on induction heat and heat plate with pressure were higher than those of rice cooked on heat plat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s and Odorants Released from Grilling Mackerel and Pork Belly by Different Cooking Tools

  • Kim, Hyun-Jeong;Yu, Mee-Seon;Yang, Sung-Bo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763-1773
    • /
    • 2014
  • It is known that mackerel and pork belly release a strong odor in the process of roasting. We evaluated a dilution factor of odor arising during roasting mackerel or pork belly and the relative odor strength using several cooking tools and analyzed compounds causing odors with gas chromatograph/mass detector. Roasting pans used were grill with lid, electric grill without lid and general roasting pan, and a grill with lid can attach the activated carbon charcoal deodorant at the inside of lid. And all electric grills have a drip tray under the heater.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odor emissi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water and deodorants in these cooking tools. Study has shown that roasting mackerel produces approximately 36 time more odors than roasting pork belly, and the reduced odor emission when roast with water. And it shows the reduced deodorant effect when cooked with water after attaching activated carbon charcoal in the cooking pan. Major odor causing compounds arising when cooking mackerel and pork belly were aldehydes with high boiling point such as octyl aldehyde with a low odor threshold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