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t research

검색결과 1,005건 처리시간 0.025초

수학교과역량에 기반한 학습자의 토론 능력 향상 방안 탐색 (Exploring Student's Ability to Improve Debate Based on Mathematics Competencies)

  • 김수철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토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중학교 국어과 토론 수업에서 요구되는 수학교과역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리서치 활동에서는 창의성과 정보처리 능력을, 입안 활동에서는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정보처리 능력을, 반박 활동에서는 추론과 창의성, 정보처리 능력을, 요약 활동에서는 문제해결과 추론, 정보처리 능력을, 교차질의 활동에서는 문제해결과 추론, 정보처리, 그리고 창의성을, 마지막 초점에서는 창의성을, 판정 및 총평에서는 문제해결과 추론 능력을, 준비시간 활동에서는 문제해결, 추론, 정보처리 능력을 각각 요구하고 있다. 수학교과역량이 부족한 학생들은 토론 수업에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거나 상대방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논의된 내용들을 구조화시키고 쟁점을 도출하는 활동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토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제해결, 추론, 정보처리, 창의성 등과 같은 수학교과역량의 신장도 함께 요구된다고 하겠다.

과학분야 노벨상을 위한 준비 (Preparation for Nobel Prize in Science)

  • 박재환;안지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563-570
    • /
    • 2018
  • 1900년대부터 시작된 노벨상 제도를 통하여 세계적으로 천 명 이상의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그러나 한국은 과학 분야에서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노벨 과학상이 가능한 토양을 만들기 위하여 과학행정, 관료문화, 공교육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고민과 개선이 필요하다. 과학행정 분야에서는 성장주의 및 권위주의가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을 정책적 수단으로 성장시킬 수 있으며 과학기술의 성과는 바로 돈으로 연결된다는 생각은 노벨상을 위한 건강한 토양이 아니다. 단기성과 위주의 과학정책과 정량적 평가 중심의 연구지원 체계도 걸림돌이 된다. 창의성과 도전의 가치를 드높이는 학교 교육이 필요하다. 실패에 대해 관용하고 시행착오를 통해 얻은 경험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하다. 실패를 각오하고 연구를 해야 성공할 수 있다. 돈이 되지 않는 것을 연구하려고 해야 돈이 될 수 있다. 노벨상을 의식하지 않는 연구해야 노벨상에 접근할 수 있다.

중국어 교사로서의 역량에 관한 중국어 교사의 인식 (A Study on Chinese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mpetence for Teaching Foreigners Chinese in China)

  • 이효휘;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17-42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중국어 교사의 역량에 관한 현직 중국어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 Q시에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중국어 교사들 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국어 교사로서의 역량에 대해 그 중요정도는 중국어 교사들이 비교적인 높은 평균값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보유정도는 평균 점수가 비교적인 낮은 것으로 나타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중국어 교사의 역량이 시식, 기술, 소양 3가지 요소로 여길 수 있다. 중국어 교사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중국 문화에 관한 지식, 교수-학습 방법과 기능, 다문화 적응, 교학 연구 등 측면에 편중하게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중국어 교사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에서 중국 문화에 대한 지식 학습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언어 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학습을 중시해야 한다. 양호한 심리적 소양을 유지하면서 다문화 적응 능력도 향상시켜야 한다.

사회적 자본이 이동학습자의 지식공유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of mobile learners)

  • 진영;이경락;이상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647-658
    • /
    • 2018
  • 현대사회는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지식을 습득하고 창출하기 위해 지식 공유가 필요하다. 지식공유는 동료들과 협력하거나 이들을 돕기 위해 자신의 정보 지식, 노하우를 제공하는 행동이다. 본 연구는 가상커뮤니티 구성원의 모바일 지식공유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사회적 자본이론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했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사회적 자본이론을 구조적, 관계적 그리고 인지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구조적 측면의 척도로 사회적 유대, 인지적 측면의 척도로 공유 언어와 공유비전, 그리고 관계적 측면의 척도로 신뢰로 구성했다. 설문 자료를 수집한 후 SPSS 22를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세부 요인이 정보 공유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지식공유의 정도가 커뮤니티 촉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유대 관계, 공유된 언어, 공유된 비전, 신뢰가 지식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공유는 커뮤니티 촉진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대학생의 장기 목표 추구 과정에서 의미 부여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Making about Process of Achieving Long Term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Meaning in Life)

  • 조설애;정영숙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555-566
    • /
    • 2018
  • 본 연구는 장기 목표 추구 과정에서 의미 부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 소재 대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각자의 장기 목표가 무엇인지 개방형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도록 하고,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의 의미부여와 삶의 의미 및 주관적 안녕감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 분석 결과 의미 부여, 삶의 의미 및 행복은 서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회귀분석 및 Sobel test 결과, 장기 목표 추구 과정의 의미 부여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는 완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이 장기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의미 부여를 하는 것이 전반적인 삶의 의미를 증진시키는 것 뿐 아니라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또한 삶의 의미가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규제와 국가경쟁력간의 인과관계 (Examin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regulation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using system dynamics method)

  • 최영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37-147
    • /
    • 2018
  •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가운데에서도 정부규제의 수준이 가장 높은 나라들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규제가 강할수록 민간부문의 경제 및 각종 사회활동들이 위축되고 이러한 현상은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규제는 여러 가지 형태로 수행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정부규제는 정부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고 정부경쟁력은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규제와 국가경쟁력 간에 작용하는 많은 요소들을 인과관계론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시스템사고 관점에서 인과지도를 작성한다. 이를 통하여 정부규제와 국가경쟁력 간에 작용하는 피이드 백 루프를 탐색하고 향후 정부규제와 국가경쟁력이 균형을 이루면서 선 순환적으로 강화될 수 있는 정책적 제안을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강화루프 (Reinforcing Loop) 2개와 균형루프(Balancing Loop) 4개가 각각 발견되었다. 이러한 루프들은 규제와 국가경쟁력간의 관계에서 실질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관계라는 점이며, 정책결정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루프들을 잘 활용하여 양자간의 관계를 균형있게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Smart Tourism: A Study of Mobile Application Use by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 Brennan, Bradley S.;Koo, Chulmo;Bae, Kyung Mi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identify the mobile phone applications (apps) used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through a pilot study using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Concentrating on tourist mobile app use in a smart tourism environment and categorized through a taxonomy of mobile applications lays the framework and determines the factors boosting tourism smartphone app trends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ethnographic methods and analyzed i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o uncover major themes within the smart tourism app use phenomenon. The researchers coded, counted, analyzed, and then divided the findings gleaned from a pilot study and interviews into a taxonomy of seven logical smartphone app categories. The labeling and coding of all the data accounting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an be recognized and are logically discussed in the implications of the apps used by tourists to assist tourist destinations. More specifically these findings will assist smart tourism destinations by better understanding foreign tourist smartphone app use behavior.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interviewed in this study exhibited significant mastery of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craved free WiFi access, and utilized smartphone apps for all facets of their travel. Findings show major concentrations of app use in bookings of accommodations, tourist attractions, online shopping, navigation, wayfin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earching, language translation, gaming, and online dating while traveling in South Korea.

지역사회 보육공동체를 위한 다문화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Program for Local Childcare Community)

  • 임지혜;박봉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263-2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다문화 사회를 위해 지역 보육공동체의 다문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만족도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문화 보육공동체 프로그램은 집단 간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접촉의 조건들을 고려하여 설계되었고,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 총 5회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참여한 지역사회 구성원의 총 인원은 196명이었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다문화 보육공동체 프로그램은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다문화가정 부모들의 자존감 함양과 사회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다. 특히 다문화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외국인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가 완화되었고, 전 지구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등 세계시민성 함양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내용으로는 다양한 지역 사회 기관과의 연계 프로그램과 지속적인 지역사회 공동체 프로그램에 대한 니즈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다문화 공동체가 상호작용하고 소통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안함으로써, 타 지역에서 참고할 수 있는 다문화 보육공동체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앱 인벤터를 활용한 알코올 중독자 치료를 위한 콘텐츠 제공 앱 개발 (Application development that provide contents for Treatment of alcoholism using App Inventor)

  • 한영신;허원회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63-70
    • /
    • 2015
  • 우리나라는 경기 침체의 여파로 사회적 요인에 의한 알코올 중독 환자가 증가 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알코올 중독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알코올 중독 및 중독폐해는 다양한 사회, 경제, 문화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중독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알코올 중독은 그간 마약, 도박, 인터넷 등과 같은 다른 건강문제에 비해 연구투자가 부족했고 치료서비스 또한 제대로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환자에게 치료에 관한 집약된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맞춤형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인적 특성과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 이환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267-276
    • /
    • 2016
  • 인터넷의 영향으로 프라이버시에 대한 여러 관점 중 정보적 관점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사회과학 연구에서는 주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이에 따른 행태 변화에 주목해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거나 기업의 정보 수집 행태를 주로 논의하고 있어 개인적 성향 및 행태적 요인과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관계를 충분히 논의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제공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 연구들이 논의해 온 개인적 특성과 개인이 인지하고 있는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력과 소득 수준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미치는 영향은 유사한 반면 성별과 나이는 기존 연구들과 다른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논의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실증 분석 결과를 일반화하고 새로운 논의 주제를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