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dietary effect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6초

청소년의 식생활 안전관리역량과 식생활 영역을 활용한 융합의 가치 인식 및 효능감, 역량과의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nd value recognition, efficacy, and competency of convergence using dietary area: a descriptive study)

  • 김윤화;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7-32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value recognition, efficacy, and competency of convergence using the dietary area (CUD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Gyeongbuk and Seoul, Gyeonggi using a self-administered five-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from May to July 2021. A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wareness of convergence, recognition of the benefits, efficacy, and competency of CUDA. Results: We conducted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25. The average scores for each factor were: dietary significance (3.68); dietary safety management knowledge (3.34); food selection and cooking (3.72); nutrition management (3.38); weight management (3.28); risk dietary management (3.13); CUDA interest (2.98); convergence necessity (3.50); benefits in specialized areas (3.31); benefits in everyday life (3.48); efficac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3.35); convergence efficacy with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arts (3.31); and CUDA competency (3.41). The score for interest in CUDA was lower than that for the recognition of CUDA benefi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ll factors except between risk dietary management and both nutrition and weight management (P < 0.01). Interest in CUDA and recognition of the need for convergence exhibite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s of the perception of CUDA benefits and efficacy. The subgroup factors of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nd the recognition of CUD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DA competency (P < 0.001, R2= 0.58). Conclusions: Strengthening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nd increasing the awareness of CUDA can enhance adolescents' convergence competency. Therefore, CUDA and targeted education must be actively promoted among adolescents.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이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dietary habits on their self-esteem by the medium of health-related behaviors and stress)

  • 이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45-352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이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이다. J도와 K도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90부의 설문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과 건강관련 행위, 식생활 습관과 스트레스, 식생활 습관과 자아존중감 간에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경로분석 결과 식생활 습관은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하여 올바른 식생활과 바람직한 건강관련 행위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시행과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백복령, 산약, 연육 및 검인의 동·서 융합적 섭취효능 및 항산화 활성 (Convergence Dietary Effec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ia cocos, Dioscorea opposita, Nelumbo nucifera and Euryale ferox)

  • 박성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583-590
    • /
    • 2016
  • 본 연구는 동양 식품학과 서양 식품학 원리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식품의 새로운 가치를 찾아보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백복령, 산약, 연육 및 검인 등 4가지 재료에 대해 기미(氣味)를 기초로 섭취효능을 정리하였고, 일반 영양성분, 무기질, 유리당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여 동 서 융합적 섭취효능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동양 식품학적으로 4가지 재료들은 소화기관인 비위(脾胃)를 건강하게 하는 섭취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서양 식품학적으로는 인의 함량이 높은 탄수화물 급원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자공여능에 의한 자유기 소거능, ABTS 자유기 소거능, SOD 유사활성을 통해 분석한 재료들의 항산화 활성은 검인의 활성이 다른 재료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성분 함량 또는 기미 분석만으로는 이 재료들의 특징을 온전히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여진다. 이에 따라 식품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특성을 접근해 보는 시도가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재료의 동 서 융합적 특성과 효능을 돌출하여 향후 이 재료들을 활용한 건강음식, 기능성 식품 등의 레시피 구성을 위한 근거자료 및 식품의 특성을 판단할 때 동 서 융합적 시각의 필요성을 인지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리라 사료된다.

Effects of dietary arginine in ameliorating the deleterious effects induced by mycotoxins on growth, immune system, body organs in growing pigs

  • Joseph, Moturi;SeYoung, Yoon;Abdolreza, Hosseindoust;SangHun, Ha;Habeeb, Tajudeen;JunYoung, Mun;SooJin, Sa;JinSoo,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4호
    • /
    • pp.727-739
    • /
    • 2022
  • Mycotoxin contamination in pig feeds has a negative impact on growth performance, the immune system, and major body organs. Arginine (Arg)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imals' body biochemistry and physiology.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Arg supplementation on mitigating the negative effects of mycotoxins in growing pigs. A total of 72 growing pigs (Landrace × Large white) with initial mean body weight (BW) = 55 ± 2.5 kg were allotted to four treatment groups with three replicates per group of six pigs per replicate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treatments included a non-toxin diet with 1.2% Arg (NT1.2) and mycotoxin-challenged treatments supplemented with 1.2% Arg (TX1.2), 1.3% Arg (TX1.3), and 1.4% Arg (TX1.4).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included the effects of dietary level of Arg.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ly higher BW (p < 0.05), average daily gain (p < 0.05), and gain-to-feed ratio (p < 0.05) in the NT1.2 group than in the TX1.2, TX1.3, and TX1.4 groups. The relative weight of the liver was higher (p < 0.05) in the TX1.2 compared to that of the NT1.2 group, although it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X1.3 and TX1.4. The level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p < 0.05) in the liver tissue of the TX1.2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treatments. Overall, dietary Arg supplementation remedied liver injury and alleviated the compromised immune system caused by mycotoxin toxicity.

청소년의 건강 체중관리를 위한 융합 인식 및 식행동과 창의·융합역량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convergence awareness for healthy weight management and eating behavi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of adolescents)

  • 김윤화;이영미;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3호
    • /
    • pp.376-389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 체중관리를 통한 창의·융합역량 강화를 위해 건강 체중관리 융합인식과 체중관리 관련 식행동 및 창의·융합역량 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대구·경북과 경기지역 청소년 43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에서 12월까지 5점척도의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건강 체중관리 융합인식, 창의성, 융합적 사고력, 자기효능감, 운동, 식이다양성 요인은 남학생의 평균점수가 여학생보다 높은 반면, 체중관리 관련 절제 식행동과 탈억제 식행동 점수, 체중감량 시도경험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체중관리 관련 절제 식행동과 탈억제 식행동 점수와 체중감량 시도경험은 비만 청소년이 저체중 청소년보다 높았지만, 식사량관리, 체중감량 신념과 관심은 저체중 청소년이 비만 청소년에 비해 높았다. 건강 체중관리 융합인식 요인에는 체중관리 관련 절제 식행동, 융합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운동, 식이다양성 요인이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관리 관련 절제 식행동 요인에는 건강 체중관리 융합인식, 운동, 식사량관리, 정크푸드관리, 체중감량 신념, 체중감량 시도경험 요인이 양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체중감량 관심 요인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관리 관련 탈억제 식행동 요인에는 융합적 사고력, 체중감량 시도경험, 비만도 요인이 양의 영향을 주는 반면, 자기효능감, 식사량관리, 정크푸드관리, 체중관리 지식요인은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지속가능한 건강 체중관리 교육은 체중관리 지식과 융합적 사고력 및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건강 체중관리라는 문제해결능력을 창의적으로 함양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성별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융합교육과 연결되어 이루어진다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미취학아동 대상 영양·식생활교육의 효과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Nutrition & Dietary Life Education for Preschoolers)

  • 김송희;김애정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2호
    • /
    • pp.153-17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jectively quantify the effects of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on preschoolers through meta-analysis. In addition,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systematic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of 27 papers was conducted that conformed to the selection criteria in the study conducted from January 2012 to August 2019 to derive objective data on the effects of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verall effective size of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for preschoolers was 0.829, which indicates a strong effect. According to the education method, the effect size of general education was 0.562, which indicates a medium effect size, the vegetable playing-based experience education was 0.685, which indicates a medium effect size, and cooking activity-based experience education was 1.101, which indicates a large effect size. Judging from this result, experience activity educ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nutrition education. In addition, the combined size of convergence education condu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general and experience educ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at 1.301.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size was 0.898 for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0.858 for improving dietary habits, 0.836 for improving unbalanced diet, and 0.756 for improving food preference and intake, and the sizes of effects were all found to be large. As frequency of educ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education participants decreased and the effect of education increased.

율무복령죽의 동·서 융합적 섭취효능 및 식이요법 활용에 관한 연구 (Oriental and Western Convergence Study and Alimentotherapy Application of Yulmubokyeoljuk)

  • 박성혜;박해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385-391
    • /
    • 2017
  • 본 연구는 동양의 기미론 원리에 입각하여 구성된 음식의 식품영양학적 가치를 인지하여 음식의 효능이나 합리적인 섭취방안에 대한 동 서 융합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계획되었다. 이에 따라 율무복령죽을 대상으로 기미론 원리에 따른 섭취효능을 분석하였고, 동시에 일반성분과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여 서양의 식품영양학적 영역에서의 섭취효능을 판단하여 융합적으로 율무복령죽의 특성 및 식이요법에 활용할 수 있는 음식으로써의 가치를 분석하였다. 율무복령죽은 인의 함량이 높은 산성식품으로 열량이 높은 음식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비(脾)에 정체된 수습(水濕)을 배출시켜 과도한 습(濕)이 제거되어 비(脾)의 운화(運化)기능을 강건히 함으로써 기(氣)형성의 기초가 되는 정미물질을 잘 만들 수 있는 음식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의 전통적 기미론에 입각한 식품의 특성 및 섭취효능 접근 필요성의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사료되며 향후 동 서 영역에서의 식품학적 가치를 융합적으로 판단하여 진정한 식품이나 음식의 효능접근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Anti-diabet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Bitter Melon in Mice Fed a High-fat Diet

  • Yoon, Nal Ae;Park, Juyeong;Lee, Jiyeon;Jeong, Joo Yeon;Kim, Hyun-Kyu;Lee, Hak Sung;Hwang, In Guk;Roh, Gu Seob;Kim, Hyun Joon;Cho, Gyeong Jae;Choi, Wan Sung;Lee, Dong Hoon;Kang, Sang So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3호
    • /
    • pp.259-267
    • /
    • 2017
  •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itter melon', a popularly used fruit in Bangladesh and several other Asian countries, on high-fat-diet-induced type 2 diabetes. To investigate the effect, ethanol extract from bitter melon (BME) as a dietary supplement with mouse chow was used. BME was found to significantly attenuate the high-fat diet (HFD) -induced body weight and total fat mass. BME also effectively reduced the insulin resistance induced by the HFD. Furthermore, dietary supplementation of BME was highly effective in increasing insulin sensitivity and reducing hepatic fat and obes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ME could be effective in attenuating type 2 diabetes and could therefore be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type 2 diabetes.

여대생의 생활패턴이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Effect of Life Pattern on the Dysmenorrhea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 김향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5-106
    • /
    • 2021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생활패턴이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생활패턴의 변화를 통한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2019년 11월 18일-29일까지 총 2주 동안 C도 J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중 월경곤란증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총 133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월경곤란증과 일반적 식습관(r=-.441,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보통의 역상관관계를, 나트륨 식행동(r=-.214, p=.013)과는 약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일반적 식습관(β=-.457)이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흡연(β=.175), 음성통화(2시간 초과)(β=.163)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29.3%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대생의 월경곤란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교육과 홍보를 통해 긍정적인 식습관, 금연생활 및 스마트폰 음성통화시간은 2시간 이내로 사용 할 것을 권장하는 등의 건강한 생활패턴으로의 변화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1인 가구의 식생활 변화와 식생활 만족 (Changes in Dietary Life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in One-Person Househol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이성림;허은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29-38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dietary life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in one-person househol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ing a sample of 916 one-person households from the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we applied ANOVA and a system of equations model for our analysis which produced four main results. First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ating homemade and delivered meals increased, whereas eating restaurant, group, and HMR meals decreased. Eating breakfast and regular eating habits also increased during the pandemic. Secondly, approximately 30% of the sample reported increased expenditure on fresh food and HMR meals. The proportion of positive changes in dietary life was also greater than negative changes,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was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it had been before the pandemic. Thirdly, having breakfast and regular eat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nding on fresh food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HMR purchases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Changes in expenditure on fresh food and HMR meals positively affected dietary life satisfaction through eating breakfast and regular eating. Fourthly, increased consumption of delivered food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education, occupation, and age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changes in dietary lif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