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검색결과 41,307건 처리시간 0.046초

융합산업 원천에 기반한 산업융합 유형 및 시장 성공요인 분석 (A Typology of Industry Convergences Based on Sources for Convergence Industries and Analysis of Critical Success Factors)

  • 김관호;정재윤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4-211
    • /
    • 2013
  •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typology of industry convergences which encourages to invent new types of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combining technologies across industries and identifying success factors of convergence industries which were resulted by industry convergences. In detail, the proposed typology of industry convergences is analyzed based on three viewpoints such as academic areas that provide the knowledge of convergence technologies, industry structures for the existing markets, and user experiences used for improving user friendliness. Such viewpoints can not only be considered as the sources for convergence industries but also be closely related with success factors of convergence industries. Based on the typology and the success factors of convergence industries, we suggest the implications about policies for the domestic industry converge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article can be widely applied to further activate industry convergences to overcome the recent global economic downturn.

기계학습을 위한 의료영상 데이터 표준화 및 응용 소프트웨어 (Medical Image Data Standardization for Machine Learning and Its Application Software)

  • 김지언;한성민;박민기;김승진;노시형;전홍영;이충섭;김태훈;정창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46-347
    • /
    • 2019
  • 의료영상은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의료영상을 인공지능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의 의료영상들을 학습시켜 질병과 상태를 정밀 진단할 뿐만 아니라 예측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의료영상은 DICOM 표준에 따르고 있지만 태그정보의 사용은 의료기기와 의료기관마다 상이하다. 따라서 의료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의 표준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의료영상 데이터를 표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표준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ETL 소프트웨어의 수행결과를 보이고, 조건에 따라 머신러닝 학습 데이터셋을 생성하는 결과를 제공한다. 향후 제안한 의료영상 표준화와 ETL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수요자 중심의 표준화된 데이터셋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주요기능으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산 경량 암호 PIPO에 대한 부채널 분석과 마스킹 기법 제안 (Side-Channel analysis and masking scheme for domestic lightweight cipher PIPO)

  • 심민주;김현준;권혁동;장경배;김현지;박재훈;엄시우;송경주;서화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71-174
    • /
    • 2021
  • 최근 사물인터넷(IoT) 환경에서 다양한 장비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여 이에 적절한 경량 블록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CISC 2020에서 새로 발표된 국산 경량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PIPO는 새로운 경량 S-Box를 조합한 unbalanced-Bridge 구조로 효율적인 비트슬라이싱 구현을 제공한다. IoT 환경에 PIPO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부채널 분석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IPO가 1차 CPA 공격에 취약함을 확인한다. 그리고 부채널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1차 마스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마스킹 기법은 1차 CPA 공격에 안전하였으며, 마스킹 적용 전보다 -375%의 성능을 보였다. 그리고 기존 기법보다 1287% 속도가 빨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재료용 흑연/종이 센서의 최적제조조건 및 감지능 평가 연구 (A New Study of Sensing and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s of Graphite/Different Paper Sensors for Composite Materials)

  • 박하승;신평수;김종현;백영민;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51-56
    • /
    • 2018
  • 종이에 연필을 이용하여 선을 그리는 연필 선 종이 센서(pencil drawing paper sensor, PDPS)를 센서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DPS의 특성에 기반을 두는 3가지 다른 종이에 대한 감지 효과를 비교하였다. 시편은 4B 연필을 평지(A4), 화선지, 한지에 선을 그어 제작하였으며 구리선과 연필 선간의 전기 접점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버 페이스트를 사용하였다. FT-IR 스펙트럼 분석으로 PDPS에 대한 3 종이의 화학적 구조가 유사하고 광학현미경으로 각 종이의 조밀도를 비교하였다. 3 종이의 인장 강도의 통계적 평가로부터, A4가 PDPS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을 그린 횟수에 따른 종이의 두께 변화를 통해 그리는 횟수의 최적 조건을 확인하였으며 복합재료의 반복 압축 실험을 통해 압축력의 변화를 PDPS로 관측하였다. PDPS를 이용하여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비교적 예측할 수 있었다.

모바일 복합 단말기 사용자 만족: 기대-불일치 접근 (User Satisfaction of Mobile Convergence Device: The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Approach)

  • 이승창;서응교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11호
    • /
    • pp.89-99
    • /
    • 2012
  • Purpose - Mobile devices, especially mobile terminals capable of telecommunication and wireless connectivity, are leading the advancements in consumer electronics. Digital convergence drives the functions of various devices, such as cellular phones, MP3 playe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gaming, into a single device. This trend would continue and applications such as digital audio and video streaming (including personalized content delivery mechanisms) would soon be on a handheld device. As customers want mobile convergence devices, manufacturers are driving new initiatives in the emerging mobile device market. Given the roles played by device design and service content in user satisfaction of a mobile convergence device,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and measuring the constructs for the process by which user satisfaction is achieved. This study synthesizes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paradigm with empirical theories in user satisfaction. Device and service levels are separated, and nine key constructs for user satisfaction of mobile convergence devices are proposed. Insight into this process could help web-based businesses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thus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e-commerce for sellers and buyer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draws on three users of mobile convergence devices as examples. To test there search model and hypotheses,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to 607 mobile device users. Mobile device users were initially identified from several members, and subjects were randomly drawn. Data from 577 survey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The unit of measurement and analysis in this research study is at a personal level. Results - The measurements for the constructs were developed and tested in a two-phase study. In the first phase, the device and service dimensions were identified, and instruments for measuring them were developed and tested. In the second phase, using the salient dimensions of the device and service as the formulating first-order factors, instruments were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to measure satisfaction of the device and service. In measuring satisfaction of mobile convergence devices, the critical tasks are to identify the key constructs of such user satisfaction and to develop validated instruments to measure them. H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mediate implications for businesses and for research in user satisfaction of mobile convergence devices.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reliable instruments for operationalizing key constructs in the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f mobile convergence devices within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paradigm. Hence, convergence device makers will be able to examine whether their websites meet their customers' expectations by examining the device aspect of the mobile convergence device customers, and the service aspect expectations and disconfirmation. Moreover, the introduction of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constructs brings the marketing aspect of convergence devices into focus for such retailers, an aspect crucial to the effective design of websites for online businesses. In addition,this study provides the metrics required to initiate future studies on user satisfaction of mobile convergence devices.

  • PDF

출연연구기관 융합기술 연구네트워크 구조 분석 (An Analysis on the Research Network Structure of Convergence Technologies i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 김홍영;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93-718
    • /
    • 2015
  • 본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구, 기초기술연구회 및 산업기술연구회) 산하 출연연 24개 기관이 출연금과 정부수탁과제로 집행한 최근 3개년간(2011~2013)의 연구과제중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의 중 분류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기술을 연구하는 융합기술 연구과제를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기술간에 어떠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출연연의 융합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체 융합연구와 비교할 때 더 활발하고,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부기관과 공동연구에 의한 융합연구보다 내부에서 더 활발히 융합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융합기술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파악하여 융합연구의 중심역할을 하는 기술이 내부중심형 기술과 외부중심형 기술로 분류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융합연구는 단순히 기술간의 융합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출연연은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해서 단순히 다기술 연구만을 수행하지 말고, 신기술,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융합연구 영역도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출연연의 융합연구 현황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출연연의 융합연구를 활성화를 위한 역할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융합독서교육이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 -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on the Convergence Literacy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 조수연;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51-178
    • /
    • 2023
  • 이 연구는 융합독서교육모형을 토대로 학교도서관 독서수업을 실시하여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및 문헌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역량을 위한 융합적 교육의 요소를 독서교육의 차원에서 도출하였고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융합적 소양 검사를 수행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22년 3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12차시에 걸쳐 독서수업 및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융합독서교육과 자율독서교육을 각각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의 증진에 있어 독서교육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융합독서교육은 융합력, 창의력, 자기주도성 및 소통능력 등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융합독서교육이 융합적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학습동기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한 결과, 학습동기는 융합독서교육과 융합적 소양 사이에서 창의력, 자기주도성, 소통능력에 대해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며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융합력에 대해서는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신규 융합형 방송서비스 속성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을 통한 미래 방송서비스 시장 예측 (Forecasting Future Broadcasting Service Market based on the Consumer Preferences for the Attribute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 고대영;김태유;이종수
    • 기술혁신연구
    • /
    • 제14권1호
    • /
    • pp.227-254
    • /
    • 2006
  • Under the recent trend of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much more various form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are being introduced than ever before. Owing to the unique advantages,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are expected to bring drastic changes to the current broadcasting service market. In this research, we attempt to examine what kind of attributes critically affect the competition among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and how much competitive they will be, based on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consumer preferences for the important attribute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Conjoint survey was used in order to obtain stated preference data of consumers. From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re obtained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have many unique advantages, still price is the most important for the consumers. Second, it is expected that considerable consumer valuation exists for the unique advantage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like mobility and dual-way interactivity, which will add the competitiveness of those services in the future. Third, since midterm advertising puts negative utility on consumers, broadcasting services with midterm advertising will not be preferred to those with neither advertising nor midterm advertising. Fourth, service coverage and the number of consumers using the same broadcasting service have a significant feedback effect on the competition between broadcasting services from the dynamic aspect. Lastly, the consumer preference can be affected by demographic variables like age and gender, and broadcasting service usage patterns such as channel switchover for escaping advertisement and frequency of using other recorded media. Main findings of our research might become useful information for both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mpanies, contents providers, advertisers, and policy and regulation makers to cope with the uncertain environment of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 PDF

융합연구에서의 도전과 성장: 연구자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근거이론 질적 분석 (Challenges and Growth in Convergence Research: A Grounded Theory Qualitative Analysis of Resear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 송인한;유정원;이은정;김지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67-281
    • /
    • 2017
  • 최근 강조되는 학제 간 융합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융합연구에서의 구체적인 경험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융합연구를 진행한 연구자의 실제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융합연구의 현실적 도전과 성장을 이해하고 융합연구 증진을 위한 제도를 제안하기 위하여, 국내 한 대학교 내 융합연구 및 융합연구행정 전문가 전임교원 16명을 심층면접하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융합연구자들이 경험한 중심현상은 '융합연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노력과 연구 환경 개선을 통해 융합연구의 성장을 경험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융합연구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현대 패션에서의 테크놀로지 컨버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ology Convergence in Contemporary Fashion)

  • 박낭희;이현정;최윤미;김윤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1호
    • /
    • pp.88-99
    • /
    • 200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oduct samples of convergence of fashion and technology, as convergence is a major trend in the age of digital paradigm, and to propose desirable directions of development for technology convergence in fashion design in the future. With bibliographic research as well as internet search of the cases of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convergence of fashion and technology from the 1960s, when wearable computers were first introduced as an early development form of convergence, to the present, it becomes possible to classify these cases into three groups: functionally oriented one, aesthetically oriented one, and one that combines function and aesthetics. The pros and cons of each group of these cases are discussed and an evolutionary trend is observed from the earlier stage of convergence with functionally oriented cases which tried to achieve specific purposes of the time to the later stage of convergence with emphasis on both function and aesthetics which reflects the sensitivity of the general wearers. When three groups are plotted in the positioning map with one axis of function-aesthetics and the other of industry-fashion designer, however, all three are located outside of the two axes, suggesting these elements are not very well combined. In order for the products of the fashion-technology convergence in the future to receive favorable response from the consumers, it is necessary for the fashion industry to develop a close collaboration with companies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convergence products not only will have to provide functional benefits of the new technology but also to satisfy the aesthetic demands of the wear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