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ntional Paddy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7초

용인과 안성 지역의 유기논 및 관행논에서 토양 화학 특성 및 중금속 함량 비교 (Comparison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Heavy Metal Content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of Yongin and Anseong)

  • 구본운;이태구;강구;홍성구;홍승길;장태일;김진호;박성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3호
    • /
    • pp.1-10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properties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oils in conventional and organic paddy. We sampled and analyzed topsoil (0~15 cm) and subsoil (15~30 cm) of conventional and organic paddy fields in Yongin and Anseong, South Kore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was determin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correlation between soil properties was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organic matter (OM) and T-N of conventional paddy soil were higher than those of organic paddy soil. However, higher T-P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organic paddy soil than conventional paddy soil. As, Pb, and Zn concentration in organic paddy soil were statistically lower than those in conventional paddy soil. The couple of water content (WC) & As, OM & T-N, T-P & $P_2O_5$, T-P & Zn, $P_2O_5$ & Zn, and Cr & Ni had a good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couple of WC & T-P, WC & Zn, T-P & As, and As & Zn ha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organic farming is beneficial to soil environment by reducing the amounts of organic matter, T-N, As, Pb, and Zn concentration in paddy soil when compared to conventional farming.

관행농업과 유기농업이 논둑에 서식하는 토양배회성 무척추동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ing on Ground-dwelling Invertebrates in Paddy Levees)

  • 김명현;최락중;한민수;최순군;나영은;강기경;어진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39-55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ground-dwelling invertebrates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paddy fields's levees. Ground-dwelling invertebrates were collected using a pitfall trap every month for two years (2010-2011) in levees of conventional and organic paddy fields. The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higher in organic paddy field than in conventional paddy field. For the pests, the treatment of insecticide and herbicide reduced the number of Delphacidae, and Chrysomelidae, but did not affect the other pests such as Chronomidae, Culicidae, Thripidae, and Aphididae. For the natural enemies, the treatment reduced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most of enemy's taxon (except only one taxonomic group, Ichneumonidae) in the levee of conventional paddy field.

토양 및 수질 특성 비교를 통한 유기논과 관행논의 환경 특성 분석 (Assessment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Paddy and Conventional Paddy by Comparing Their Soil Properties and Water Quality)

  • 이태구;구본운;박성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504-51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토양 및 수질 특성 모니터링을 통한 유기논과 관행논의 환경 영향을 조사하였다. 용인과 안성 지역의 유기논과 관행논에서 표층(0~15 cm) 및 심층(15~30 cm) 토양과 수질 시료를 채취 및 분석하였다. 집단 간의 유의성의 차이는 던컨의 다중검정으로 판별하였다. 실험 결과 T-P 농도는 표층 및 심층 토양 모두에서 안성 지역이 용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안성 논토양에서 유기논과 관행논의 T-P 농도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용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용인과 안성 지역 모두에서 유기논 토양의 T-N 농도는 관행논 보다 낮게 나타났다. 안성 유기논의 심층 토양의 수분함량은 다른 논에 비하여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silt-clay 함량 결과와 일치한다. 관행논 물의 pH와 EC는 유기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안성 지역에서 관행논의 COD, T-P, 그리고 $PO_4-P$가 유기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T-N을 제외하고 토양 특성과 수질 결과 간에 상관성이 없었다.

기비전 유기논과 관행논의 토양 화학 및 환경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oil Chemistr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Paddy and Conventional Paddy Before Basal Fertilizer Application)

  • 박정수;왕용;강구;구본운;김한중;홍성구;홍승길;박성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6호
    • /
    • pp.47-57
    • /
    • 2015
  • Organic farming system has been considered environmental friendly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 However, the influence of organic farming on soil quality and environment is not well informed and controversial. We sampled and analyzed 0~15 cm and 15~30 cm depth soils of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s in Yongin and Anseong.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 of organic paddy soil were significantly less (p = 0.0097, 0.0067, respectively) than those of conventional paddy soil. Available phosphate and total phosphorus in 0~15 cm depth of organic paddy soil were $211.1{\pm}135.3$, $872.4{\pm}286.3mg/kg$, respectively, less than those of conventional paddy soil. Available phosphate amount in conventional paddy was $358.8{\pm}246.7mg/kg$, which is higher than 300 mg/kg that can cause secondary environmental contamination by runoff. The amount of total nitrogen in organic paddy soil was less than that in conventional paddy while their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concentration of the heavy metals in organic paddy soil was also lower than that in conventional paddy soil but their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electric conductivity, organic matter, nutrients, and heavy metals in organic paddy soil were less than those in conventional paddy soil. However, additional monitoring of soil properties for longer period is necessary to certify such a conclusion.

Occurrenc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eed species in organic paddy fields

  • Hwang, Ki Seon;Jung, Sunghoon;Kim, Sung-Chul;Chung, Doug-Young;Park, Kee Wo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25-33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s. The organic paddy fields were maintained for organic farming for more than five years in Anseong, Gyeonggi province of Korea. According to the Braun-Blanquet method, 42 and 36 weed species were found in the organic paddy fields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while 38 and 36 weed species were found in the conventional paddy fields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wo years' survey, 53 species from 24 families in the organic paddy field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as 32 annuals, 3 biennials and 18 perennials. In conventional paddy fields, 51 species from 24 families (30 annuals, 6 biennials, and 15 perennial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family, the most abundant weed species were Compositae (9 species), followed by Poaceae (8 species) and Polygonaceae (6 species) in organic paddy fields. In conventional paddy fields, Compositae (9 species) were the most abundant weed species, followed by Cruciferae (6 species), Poaceae, Polygonaceae, and Cyperacea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difference in diversity of weeds in paddy fields was influenced more by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than the type of cultivation. Our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e data to control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the paddy fields.

논 재배방식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특성 및 군집안정성 분석 (Analysis of Community St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Macroinvertebrates in Paddy Fields by Cultivation Method)

  • 신이찬;김명현;어진우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1호
    • /
    • pp.15-23
    • /
    • 2022
  • 본 연구는 관행과 유기논에 서식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특성 및 군집안정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수원, 안성, 보은, 군산, 김제, 함양 등 6개 지역의 유기논과 관행논을 대상으로 1년에 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전 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추동물은 총 3문 6강 16목 47과 84종이었다. 서식기능군은 기어오르는무리 (Climbers), 헤엄치는무리 (Swimmers), 기는무리 (Sprawler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섭식기능군은 잡아먹는무리 (Predators)인 잠자리목 (Odonata), 딱정벌레목 (Coleoptera), 노린재목 (Hemiptera)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행과 유기논에서 군집구조의 확연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행논과 유기논에서의 군집안정성 분석에서는 관행논에 비해 유기논에서 I 그룹에 속하는 종인 애물땡땡이 (Sternolophus rufipes), 잔물땡땡이 (Hydrochara affinis), 좀물땡땡이 (Helochares nipponicus) 등 이동성이 강한 종과 자연생태계에서 서식하는 고추잠자리 (Crocothemis servilia)가 비교적 중요한 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차 소비자인 깔따구류 (Chironomidae spp.), 모기류 (Dixidae sp.) 등이 풍부한 유기논에서는 이를 먹이원으로 하는 딱정벌레류의 도입이 관행논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 생태계 내 유기농법 재배 지역과 관행농법 재배 지역의 저서무척추동물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enthic Invertebrat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

  • 한민수;남형규;강기경;김미란;나영은;김혜림;김명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23
    • /
    • 2013
  • 최근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소비자들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생산성 증대에서 환경 보전에 기여하는 농업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유기농법과 관행농법과 같은 재배 방식의 차이는 생물 서식지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실제 유기농업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두 농법에 따른 생물다양성 차이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기농법 지역과 관행농법 지역의 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기간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였고 11개 지역을 조사 대상지로 하였다. 영농방법에 따라 개체수, 종수, 종구성 특성을 비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은 유기농법 지역에서 훨씬 많은 개체수와 종수가 기록되었으며, 종수와 개체수의 범위도 관행농법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산림 지역으로 둘러싸인 지역에서 유기농법으로 재배할 경우 다른 경관적 요소로 둘러싸인 지역보다 저서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종다양성을 유지 또는 회복하기 위해서 농약과 같은 화학물질의 사용을 제한해야 하며, 특히, 산간 지역의 논생태계에서 유기농법으로 벼를 재배할 경우 저서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유기 및 관행벼 재배지 병해와 잡초 발생 및 방제에 관한 연구 (Diseases and Weeds Occurrence and Control in Organic and Conventional Rice Paddy Field)

  • 이상계;이용환;김지수;이병모;김미자;신재훈;김한명;최두회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1-300
    • /
    • 2005
  • 우리나라 벼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알려져 있는 병해 및 잡초 제어기술을 정립하기 위하여 강화 등 5개 지역의 벼 유기농재배지와 관행재배지에서 병해충의 발생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해 발생조사결과 도열병은 관행재배지보다 오리농법 재배지에서 발병이 많았고 품종별로는 추청벼 보다 일품벼에서 발병이 많았으며, 잎집무의마름병은 오리농법과 쌀겨농법재배지에서 발병이 많았고 품종별로는 추청벼 보다 일품벼에서 발병이 많았으며, 문고병도 관행재배지보다 오리농법과 쌀겨농법에서 발병이 많은 경향이었다. 2. 친환경 자재의 벼 종자소독 효과시험 결과 현미식초 1,000배액이 키다리병 방제에 효과가 있었으며 발아율도 양호하였고, 시중에 종자소독용으로 유통되고 있는 친환경자재의 도열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는 미미하였다. 3. 헤어리벳치 재배구의 헤어리벳치 건물 중이 이앙시기에 추천량의 1/40에 불과하여 헤어리벳치 재배에 의한 토양물리성의 변화는 없었다. 4. 헤어리베치 잎과 뿌리의 추출물질은 상추종자의 발아 억제효과를 보였다.

  • PDF

부분경운 건답직파기 개발 (Development of Dry Paddy Seeder of Strip Tillage)

  • 박석호;이동현;김학진;이채식;곽태용;조성찬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1호
    • /
    • pp.25-32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dry paddy seeder of strip tillage. The prototype is 8 rows drill seeder, which is composed of a strip tillage, sowing and fertilizing device, and pressing wheels to do the strip tillage, sowing, fertilizing, and draining ditch, simultaneously. The performances of prototype was evaluat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fuel consumption, tillage torque, ratio of soil breaking,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se of a dry paddy seeder that needs whole tillage. According to the USDA textural classification, the experiment field was composed of sandy loam which consisted of 56.8 of sand, 30.2 of silt and 13.0 % of clay, respectively. Its hardness ranged from 952 to 1,673 kPa depending on the soil depth, and its soil moisture content was 24.9%(d. b.) Fuel consumption of the prototype was 5,015g/hr at 2,000 rpm of engine, which was consequently 64%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dry paddy seeder. For the tillage torque, it ranged from 132 to 206N$.$m depending on the tillage pitch, which was 10∼30%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dry paddy seeder. The ratio of soil braking of the prototype was 87∼98%, whereas that of the conventional dry paddy seeder was 80∼97%. The working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was surveyed to be 3.8hours/ha, which was about 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dry paddy seeder. The cost reduction of 26.3% was obtained by using the prototype.

유기 및 관행벼 재배지 충해 발생 및 방제에 관한 연구 (Insect Pests Occurrence and Control in Organic and Conventional Rice Paddy Field)

  • 이상계;이용환;김지수;이병모;김미자;신재훈;김한명;최두회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1-314
    • /
    • 2005
  • 우리나라 벼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알려져 있는 병해충의 제어기술을 정립하기 위하여 강화 등 5개 지역의 벼 유기농재배지와 관행재배지에서 해충의 발생실태와 방제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생육시기별 해충발생은 강화지역의 오리농법과 쌀겨농법 재배지에서 본답 중기에 애멸구의 밀도가 높았으며 여주지역의 관행재배지에서 본답초기에 벼물바구미의 밀도가 높았다. 홍성지역에서는 본답초기에 관행방제구에 비하여 유기재배지에서 끝동매미충과 벼물바구미의 밀도가 높았다. 시기별 해충발생은 본답후기에 많았으며 지역 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기재배지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2. 홍성지역에서는 오리투입시기에는 발생이 적었으나 본답초기 및 후기에 발생이 많았다. 천적류도 본답후기에 발생이 많았고 지역별로 큰 차이는 없었으며 거미류와 기생봉류가 주류를 이루었다. 홍성지역에서는 유기재배지보다 관행재배지에서 꼬마거미와 접시거미의 발생이 많았다. 논거미의 분포는 대부분 조망성 거미인 꼬마거미과, 접시거미과, 갈거미과 등이 배회성 거미인 늑대거미, 염낭거미, 닷거미 등 보다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거미의 발생량은 지역간의 차이가 심하였고 농법간의 차이는 일관성이 없었다. 3. 일부 자재의 경우 방제효과가 높이 나타났으나, 유기농 자재에 대한 효과는 보다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한 상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