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rast agent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34초

Gadolinium Complex of 1,4,7,10-Tetraazacyclododecane-N,N',N'',N'''-1,4,7-trisacetic Acid (DO3A) Conjugate of Tranexamates: A Quest for a Liver-specif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ntrast Agent

  • Nam, Ki-Soo;Jeong, Hyun-Jeong;Kim, Hee-Kyung;Choi, Garam;Suh, Kyung-Jin;Chang, Yongmin;Kim, Tae-Je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호
    • /
    • pp.87-92
    • /
    • 2014
  • The work is directed toward the synthesis of a series of DO3A conjugates of tranexamates (1c-e) and their Gd complexes (2c-e) for use as a liver-specific MRI CA. All these complexes show thermodynamic and kinetic stabilities comparable to those of structurally related clinical agents such as Dotarem$^{(R)}$. Their $R_1$ relaxivities also compare well with those of commercial agent, ranging 3.68-4.84 $mM^{-1}s^{-1}$. In vivo MR images of mice with 2a-e reveal that only 2a exhibits liver-specificity. Although 2b and 2c show strong enhancement in liver, yet no bile-excretion is observed to be termed as a liver-specific agent. The rest behaves much like ordinary ECF CAs like Dotarem$^{(R)}$. The new series possess no toxicity to be employed in vivo.

Motility Contrast Imaging for Drug Screening Applications

  • Jeong, Kwa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4호
    • /
    • pp.382-389
    • /
    • 2015
  • Motility contrast imaging is a coherence-domain imaging technique that uses cellular motility as a fully endogenous imaging contrast agent. Motility is measured inside tissue using a digital holographic coherence gate that extracts dynamic speckle from fixed depths. The dynamic speckle arises from the normal organelle motion inside cells, and from the movement of the cellular membranes driven by the cytoskeleton. It measures cellular activity and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osmolarity. Motion is sensitive to cytoskeletal drugs, such as the antimitotic drugs used for cancer chemotherapy, and the effects of drug combinations also can be monitored. Motility contrast imaging is a potential tissue-based assay platform for highthroughput screening of pharmaceuticals.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디지탈 이미지의 바람직한 피부 색재현 (Preferred Skin Color Reproduction of Digital Image by Ink-jet Printer)

  • 서봉우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7-49
    • /
    • 1996
  • The practical lith developer is a hydroquinone solution of moderate alkalinity and low free-sulfite ion concentration with potassium bromide as the restraining agent. In the study on composition of ilth developer to promote high sensitivity, high contrast and long term preservation or use, a new composition of lith developer, namely PK lith developer, was developed and of was found that PK lith developer was superior to the lith developer which was commercially available in terms of contrast, speed and preservation. This paper also describes studies on the addition of hdydrazine to PK lith developer, which have led to further improvements in the system.

  • PDF

팬텀 내 조영제 농도에 따른 뇌 대사물질 Spectrum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Brain Metabolite Spectrum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rast Media in Phantom)

  • 신운재;강은보;천송이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7-53
    • /
    • 2015
  • 본 연구에서 3.0 T에서 조영제 몰 농도에 따른 뇌 대사물질의 MR spectrum을 Phantom에서 PRESS 펄스 파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뇌 대사물질인 N-Acetyl Asparatate(NAA), Choline(Cho), Creatine(Cr)의 spectrum은 획득할 수 있었지만, Lactate(Lac)는 획득할 수 없었다. 조영제가 없는 대조군의 TR 2000 ms가 NAA, Cho에서 TR 1700 ms와 TR 1500 ms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Cr에서는 TR 1500 ms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조영제가 희석된 TR 1700 ms에서 $0.1mmol/{\ell}$의 NAA 73%, Cho 249%, Cr 37%로 다른 TR 값보다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0.3mmol/{\ell}$에서도 신호크기가 증가하였다. $0.5mmol/{\ell}$에서는 뇌 대사물질들의 신호크기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TR 1500 ms과 TR 2000 ms에서는 대조군보다도 감소하였다. NAA/Cr, Cho/Cr에서도 조영제 농도가 $0.1mmol/{\ell}$, $0.3mmol/{\ell}$, $0.5mmol/{\ell}$로 증가할수록 신호크기가 감소하였다. 조영제에 의한 MRS PRESS 펄스파형의 적정화를 위하여 3.0T에서 TR 2000 ms 보다 조영제 농도가 낮은 $0.1mmol/{\ell}$$0.3mmol/{\ell}$에서 신호크기가 가장 높고, 조영제 농도가 높은 $0.5mmol/{\ell}$에서는 신호크기가 가장 적게 감소한 TR 1700 ms로 반복시간을 단축시켜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CT 조영제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방사선 차폐에 관한 연구 및 고찰 (Research and Consideration of Eco-friendly Radiation Shielding using CT Contrast Agent)

  • 김성길;지연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27-833
    • /
    • 2023
  • 방사선 촬영 조영제는 특수 조영을 필요로 하는 병원에서 인체 장기 및 특정한 부위 검사를 촬영할 때 흔히 쓰이고 있다. 특히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조영제는 요오드(Iodine)라는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데 이것이 방사선의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방사선 영상 이미지에서 하얀색으로 보이게 되어 영상의 화질을 더욱 개선시킨다. 또한, 혈관에서 혈액과 같이 움직이는 CT 조영제는 근육 및 물과 확연히 구분을 시켜주고 있어 조영제를 병원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조영제는 엑스레이를 흡수하지만, 엑스레이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밀도가 높거나 방사선 흡수계수가 높아야 한다. 조영제가 혈관에 투입되기 때문에 밀도가 높으면 혈관에 무리가 가서 환자는 쇼크 상태가 오기 때문에 물과 비슷한 밀도를 맞춰야 하고 부작용에 대해 항상 신경을 써야한다. 또한, CT 조영제의 양을 환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하면서 쓰고 남은 조영제를 폐기하는데 이것을 방사선 차폐재로 재활용을 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영제와 물을 혼합하는 방법에는 조영제 10%와 물 90%, 조영제 30%와 물 70%, 조영제 50%와 물 50%으로 3가지로 혼합하였다. CT 촬영은 광주광역시 U병원에서 GE사 4채널 CT를 사용하였으며 조영제와 물을 혼합하여 듀란병에 저장하였으며, 물 90%와 조영제 10% 혼합 액체의 밀도가 1.4 g/mL 정도일 때의 물질을 찾아보면 MYLAR라는 물질과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고, 물 70%와 조영제 30% 혼합 액체의 밀도가 1.76 g/mL일 때는 Polyvinylidene과 비슷한 물질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물 50%와 조영제 50%일 때 혼합 액체의 밀도는 2.3 g/mL일 때는 콘크리트(concrete) 밀도와 비슷한 밀도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서 물 50%와 조영제 50%를 혼합한 액체는 콘크리트 차폐와 비슷한 밀도를 가지고 방사선의 차폐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콘크리트 두께와 비교하여 조영제를 50% 이상 첨가한 두께를 이용한 차폐재를 만든다면 충분한 차폐재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이성 척추암 환자의 확산강조영상 검사 시 조영제 주입 전.후 ADC값의 변화에 대한 고찰 (SNR and ADC Valu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injection of contrast medium during DWI test on metastatic spinal cancer patients)

  • 김응찬;김기홍;박철수;이선엽;유흥준;조재환;장현철;김보희;한만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7-49
    • /
    • 2011
  • 전이성 척추암 환자를 대상으로 1.5 T MR 기기에서 조영제 주입 전 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가 된 요추의 신호대 잡음비, 대조도대 잡음비, 현성 확산 계수가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상의 정량적 분석에서는 전이성 척추암 그룹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와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등 세 부위의 신호대 잡음비는 척추암이 있는 부위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는 조영제 주입 전보다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등 두 부위 에서는 대조도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했다. ADC map영상에서는 조영제 주입 전에서 신호대 잡음비는 척추암이 있는 부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영제 주입 후에서는 조영제 주입 전보다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와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등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ADC map영상에서의 현성 확산 계수는 조영제 주입 전에서 현성 확산 계수는 척추암이 있는 부위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조영제 주입 후에서는 주입 전보다 세 부위 모두 현성 확산 계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정상 그룹의 경우 확산강조영상에서 요추체 3, 4, 5번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했고 ADC map영상에서는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ADC map영상에서의 현성 확산 계수는 세 부위 모두 현성 확산 계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영상의 정성적 분석에서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신호강도가 증가하였고 ADC map영상에서는 신호강도가 감소하였다.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와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 등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와 대조도대 잡음비가 증가하고 현성확산계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고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이 여러 가지 척추질환으로의 적용에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자기공명 담관췌장초영술에서 음성 경구 조영제로 사용한 초상자성 산화철 제재의 유용성 (Usefulness of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SPIO) as a Negative Oral Contrast Agent in MR Cholangiopancreatography)

  • 이정민;송원규;이종덕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5권1호
    • /
    • pp.49-56
    • /
    • 2001
  • 목적 자기공명 담관췌장조영술(MR Cholangiopancreatography, 이하 MRCP)에서 음성 경구 조영제로 사용한 초상자성 산화철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SPIO) 제제의 유용성을 영상 질의 향상 효과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소견, 이학적 검사 및 초음파 검사에서 담도와 췌장질환이 의심되었던 48명의 환자와 자원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성 경구 조영제로 사용한 SPIO 제재의 적정 농도의 선택을 위해 정주용 SPIO제재 0.5ml, 0.75m1, 1 ml, 1.5 ml 및 2ml을 500m1 물에 희석시켜 가상 실험을 통하여 72강조영상에서 물의 신호강도가 완전히 소실되는 최소농도를 산출하였다. MRCP영상은 1.57를 이용하여 지방억제 HASTE (half-courier acquisition single-shot turbo spin echo) 와 터보스핀에코(Turbo spin echo) 기법을 이용하여 얻었다. 조영 후 영상은 음성 경구 조영제 300m1를 경구 섭취하고 10분 후에 얻었고, 조영 전 후 영상을 최대 신호 투영법으로 재구성하였다. 영상 분석은 조영 전 영상에 비교하여 위 십이지장내의 액체의 고신호강도에 따른 총수담판 및 췌관의 묘출의 방해 정도 및 진단의 향상 정도를 두 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합의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가상 실험에서, 22.4 ugFe/ml 농도의 혼합액 (Feridex I ml 용액을 자유수 500m1에 희석하여 만든 농도)에서의 신호강도 소실 백분율의 증가가 가장 현저한 변화를 보였다. 영상분석에서는, 조영 후 영상이 조영 전 영상에 비해 영상의 질이 향상되었다. 또한 환자의 25% (12/48)에서 조영 전 영상에 비하여 더 정화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였다. 결론. MRCP영상 획득 시 음성 경구 조명제로서 사용된 초상자성 산화철 (SPIO) 제재는 영상질의 향상시켜 담도 및 췌장질환을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표지시간 변화에 의한 $^{99m}Tc$과 적혈구 표지효율 (Labeling Efficiency of $^{99m}Tc$-Labeled RBC Due to Labeling Time Change)

  • 동경래;김호성;최성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3호
    • /
    • pp.259-263
    • /
    • 2007
  • 본 연구는 $^{99m}Tc$과 방사성 의약품인 적혈구(Erythrocyte)의 표지를 이용하여 신속한 핵의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환자들에게 표지효율 저하를 방지하여 영상의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변형 체외 표지법을 이용한 방법에서 Stannous chloride($SnCl_2$) 양, 표지시간,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Hb) 수치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간혈관종 검사와 위장관출혈 검사를 시행한 전체 55명의 환자 중 정상으로 판명된 15명은 정상군, 이상소견으로 판명된 40명은 환자군으로 분리한 후, 환자군 중 적혈구 농도가 정상보다 낮은 환자와 헤모글로빈이 낮은 환자들의 표지시간 변화에 따른 표지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의 경우 Tin의 양이나 표지시간이 표지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자의 경우에는 표지시간(Incubation time)이 30분보다 60분이 표지효율이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수치, 헤마토크리트 수치가 낮은 환자를 검사할 때 표지시간을 30분보다는 60분에서 시행하여 표지효율을 높여 보다 정확하고 좋은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CT 조영제 농도에 따른 영상 대조도 차 보상을 위한 DECT 적용의 유용성 (Usefulness of DECT Application for Compensation of Image Contrast Difference According to CT Contrast Agent Density)

  • 김현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17-422
    • /
    • 2023
  • 본 연구는 CT 검사 시 조영제로 기인한 화질 저하와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식염수를 조영제에 일정 비율로 희석하였다. 이때 희석 정도에 따른 영상의 대조도 감소를 보상할 수 있는 DECT의 에너지 준위를 찾아 SNR, CNR, SSIM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통해 영상 대조도 차 보상을 위한 DECT 적용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희석률 4(조영제) : 6(생리식염수), DECT의 에너지 준위 65 keV적용 시 조영제 원액을 사용했을 때와 가장 유사한 대조도 차가 형성되었고, 이때 SNR은 813.71±37.6, CNR은 921.87±17.1로 가장 높았으며, SSIM index가 1에 가장 유사한 0.851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임상연구를 통해 검사부위별 적정 희석률과 에너지 레벨을 찾는 데 있어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으며 추가임상연구 결과를 임상에 적용한다면 조영제로 기인한 화질 저하와 부작용 문제를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