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ous pile wall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주열식 벽체용 중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파일의 휨거동 평가 (Evaluation of Flexural Behavior of Hollow Prestressed Concrete Pile for Continuous Pile Wall)

  • 이영근;장민준;윤순종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0-27
    • /
    • 2014
  • 토목, 건축 현장에서 굴착부 배면의 지반 및 각종 구조물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법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인접한 건물 및 도로 등으로 인해 배면에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지중 연속벽 공법, 주열식 흙막이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법들은 콘크리트를 현장타설로 시공하여 품질관리의 어려움이 있고 양생기간으로 인한 시공기간의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위의 공법들은 대부분 임시시설로 사용되고 영구 구조체인 옹벽은 별도로 시공된다. 이 연구에서는 위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부재를 활용한 주열식 벽체용 중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파일의 휨에 대한 구조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긴장력 도입 실험과, 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설계에 따른 충분한 긴장력이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차수용 옹벽 또는 안벽 구조물로서 사용한계로 판단되는 균열모멘트 또한 설계시 계산된 균열모멘트에 비하여 약 34% 정도의 여유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극한한계상태인 최대모멘트는 실험을 통해 얻은 균열모멘트에 대해 59.2%의 추가적이 사용성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축 평면 연속형 SCW 흙막이 벽체의 개선 효과 (Effects of Functional Improvement of Multiaxis Flat Continuous Soil Cement Earth Retaining Wall)

  • 정중섭;유찬호;남호성;최인규;백승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11호
    • /
    • pp.7-22
    • /
    • 2023
  • 최근 지하안전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2022년 1월)되었으며, 지하안전영향평가를 통해 계획단계부터 지하안전에 관한 사전검토가 실시되고 있다. 지하굴착을 위해서는 가설 흙막이의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지하안전 검토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사지반에서 Soil-Cement 흙막이의 벽체 두께를 확대하고 H-pile의 선택과 설치간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MFS(Multi-axis Flat Continuous Soil Cement Earth Retaining Wall) 흙막이 벽체 공법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내모형실험을 통해 MFS 공법의 H-pile 설치간격에 따른 벽체에 작용하는 하중-변위 거동을 확인하였으며, MFS 흙막이 벽체의 두께별 H-pile 설치간격 및 크기 변화에 따른 하중-변위를 3차원 수치해석으로 분석하여 벽체에 작용하는 아칭효과 높이를 산정하였다. MFS 공법에서 산정한 최대 아칭높이를 기존의 부재력 검토 방법에 적용하여 벽체에 작용하는 축력, 전단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MFS 흙막이 벽체에 적용되는 H-pile 설치 간격 및 크기에 따른 축력 및 전단력이 24.6~62.9%가 저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민감도 분석을 통한 주열식벽체가 저토피 토사터널 거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luence analysis of continuous pile walls on the behavior of a soil tunnel at the shallow depth through a parametric study)

  • 유광호;윤우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5-89
    • /
    • 2014
  •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저심도 굴착의 경우 대부분 개착식 굴착공법을 적용하는데, 극심한 교통 체증 및 인접구조물의 불안정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저토피 토사구간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공사기간을 최소화하며 터널을 굴착할 수 있는 M-CAM공법(Modified Cellular Arch Method)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M-CAM공법 적용 시 주열식 수직연속벽체(Continuous Pile Wall, CPW)의 규격 및 지반조건이 터널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터널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로는 수직연속벽체의 근입깊이, 직경, 측압계수 그리고 지반상태를 선정하였다. 한편 수치해석을 위해서, 유한차분법에 기초를 둔 FLAC 2D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수직연속벽체의 규격 중 근입깊이가 터널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되었다.

콘크리트 가이드를 이용한 흙막이용 겹침연속말뚝 (Continuous Overlap Pile by Using Concrete Guide for Soil Sheeting Works)

  • 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13
    • /
    • 2021
  • As construction projects are gradually getting larger and focusing on building skyscraper with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cities, the choice of the soil sheeting works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securing safety and economic feasibility. Further research is planned on the developed concrete guide-based continuous over lap pile metho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that automates vertical management, continuous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so that the basement soil sheeting wall can be utilized as a building structure.

  • PDF

Stru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Foundation of TOKYO SKYTREE

  • Konishi, Atsuo;Emura, Masaru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249-259
    • /
    • 2015
  • This paper introduces the stru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foundation of the TOKYO SKYTREE, a new digital broadcasting tower in Tokyo, which has a height of 634 meters. The surface layer of the ground is occupied by soft soil, thus the foundation of this tower is an SRC continuous underground wall pile, designed and developed to have horizontal rigidity and pull-out resistance. The structural integr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wall pile was verified with an on-site full scale pull-out test concluding a maximum load of 40,000 kN.

앵커식 자유지지 널말뚝벽의 설계용 간편식 (Simplified Formulae for Free Earth Supported Anchored Sheet-Pile Wall)

  • 김기웅;권민석;백영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37-44
    • /
    • 2002
  • 널말뚝의 보다 편리한 설계를 위하여 지하수위가 굴착선 위에 있을 때 설계시 수계산을 하지 않고 근입깊이, 앵커장력, 그리고, 최대 휨모멘트를 구할 수 있는 설계용 도표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설계용 도표는 지하수위가 굴착선 위에 있을 경우와 앵커의 설치위치와 단위중량비가 제한적인 경우(Stock, 1992)에 한하여 개발되어 있어 설계에 많은 제약을 받는다. 다양한 설계조건에서도 설계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간편식을 개발하였다. 널말뚝의 기하학적 조건과 흙의 토성치를 변화시켜 근입깊이, 앵커장력 그리고 최대 휨모멘트 등의 결과값을 얻어 이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간편식을 개발하였다.

  • PDF

사질토와 점성토가 혼재하는 해안 매립지반에서 조합형 Sheet Pile의 거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 (The Numerical Analysis on the Behaviour of Combined Sheet Pile in the Reclaimed Ground Mixed by Sandy Soil and Clayey Soil)

  • 김병일;김영선;한상재;박언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9-2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와 점성토가 혼재하는 해안 매립지반에서 조합형 Sheet Pile 공법의 설계법을 고찰하였고 지반 굴착시의 거동을 해석하였다. 조합형 Sheet Pile 공법의 형태(Built up, Interlocking, Welding) 및 해석방법(엄지말뚝법, 연속벽법)에 따라 흙막이 가시설의 예측 거동이 상이함을 탄소성 해석으로부터 확인하였다. Sheet Pile(측면말뚝) 부재력의 경우 연속벽체 해석법의 결과가 가장 보수적인 결과를 예측하였다. 조합형 Sheet Pile 공법의 최대 부재력을 토대로 각 부재별 응력비(발생/허용)를 분석하면 측면말뚝의 경우 휨, 버팀보의 경우 조합응력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유한요소해석결과 측면말뚝의 부재력은 단기 유효응력 해석 조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 반면, 버팀보의 압축력은 압밀 해석에서 크게 나타났다. 탄소성 해석과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비교하면, 측면말뚝의 전단력과 버팀보의 축력은 탄소성 해석에서 크게 평가되었고, 측면말뚝의 휨은 유한요소해석의 단기 유효응력 조건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면말뚝의 변위는 탄소성 해석보다는 유한요소해석에서 더 크게 예측되었다.

APPLICATION OF WIRELESS INCLINOMETER FOR DISPLACEMENT MEASUREMENT OF TEMPORARY EARTH RETAINING PILE

  • Chi Hun In;Hong Chul Rh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18-223
    • /
    • 2009
  • During the process of excavation for substructures of buildings, precise and constant measurements of retaining wall displacement is crucial for construction to be complete and safe. Currently an inclinometer is used to measure displacement around the perimeter of an excavation site. The existing inclinometer system requires an instrument to be placed inside pre-bored holes for each measurement with an typical interval of two weeks. This makes it difficult to obtain continuous displacement data, especially during a critical time such as rainy season in summer. Also, the existing inclinometer is placed at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retaining wall system itself. Thus, exact measurement of retaining wall movement is compromised becaus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inclinometer.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clinometer system for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of retaining walls by being attached directly to the retaining wall.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systems are provided with advanced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system features. The USN technique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enables users to monitor movement data from wherever possible and convenient such as construction manager's office on site or any other places connected through internet. The research work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provide a basis to save construction time and cost by preventing safe-related unexpected delay of construction due to the failure or collapse of retaining walls.

  • PDF

철근콘크리트 깊은 보의 전단 내력에 대한 개구부 보강 효과 (Effect of Reinforcement for Web Opening on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 이종권;최윤철;이용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99-708
    • /
    • 2007
  • 일반적으로 깊은 보의 개구부 보강을 할 경우 개구부 주변의 부족한 내력에 대해 수직, 수평, 대각, 혹은 혼합된 배근 형태를 사용하게 되는데, 경제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각 배근 형태 및 방법에 따른 깊은 보의 거론 평가와 적절한 조합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구부 보강방법을 변수로 한 simulation 모델을 통해 수직, 수평 보강의 효과에 대해 해석적으로 검증을 한 후, 각 규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구부가 있는 깊은 보의 전단 내력식을 분석하고 해당 식을 보완하여 단순지지 1경간 및 연속 경간에 적용 가능한 전단 내력 산정식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