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ous message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7초

An Empirical Study on Emotional Intensity and the Influence of Product Involvement in the Context of the Integrative Framework

  • Pradip Hira, Sadarangani;Sanjaya S., Gaur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2권
    • /
    • pp.99-119
    • /
    • 2003
  • A model is proposed for the role of emotional intensity of a web site, and the moderating influence of product involvement, in the Integrative Framework of persuasion (Meyers-Levy and Malvaiya 1999). The model also appropriately operationalizes the constructs emotional intensity of a web site and product involvement The three routes to persuasion, Central, Peripheral, and Experiential correspond to high, moderate, and low involvement (Meyers-Levy and Malaviya 1999). The involvement construct is measured from message recipients using the Personal Product Inventory (Pill, which was developed to capture the concept of product involvement (Zaichkowsky 1985).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Personal Product Inventory is a contextrree measure that also has robust psychometric properties when applied to advertisements (Zaichkowsky 1994). The propositions highlight the expected importance of emotional intensity of a web site. The moderating influence of product involvement is also proposed. Specifically, what this work proposes is that the emotional intensity of a product site has a larger impact on attitude change under low product involvement, as opposed to moderate product involvement. Support for this reasoning can be found in the persuasion literature (Petty et al 1986). The Petty et al (1986) frame work is a dual process descriptive and predictive frame work in the area of altitude formation and change. Recently, Myers Levy and Malaviya (1999) have proposed a tri-process framework. This is in tum based on the dual process model of Petty et al. (1986). The study outlined in this paper aims to deepen the Meyers Levy and Malaviya (1999) and frame work. The propositions outlined in the model are empirically tested using a repeated measures experimental design. The emotional intensity is measured using a scale that is based on experts judgments. Using a paired comparison t-test two sites are determined to be of high and low emotional intensity. The model is tested using a repeated measures experimental design. The first independent variable Emotional Intensity of the site is manipulated. The Second independent variable, Personal Product Inventory is measured.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product altitude change will also be measured. Utiliz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data is analyzed using SPSS. The results suggest that besides the rational content of messages their emotional content can also influence attitude change. Specifically, it is proposed that the manipulation of emotional intensity of a product Web site has a greater impact on product altitudes under high and low product involvement conditions, rather than moderate product involvement. However, the results for product involvement as a continuous variable has a p value of 0.09. Further, the results for three levels of product involvement were far from significant. For two levels of product involvement also, the results were insignificant, the p value approached 0.20. This evidence indicates that it is premature to conclude that there are three routes to persuasion. A caveat, however, must be added, in that the manipulations may not have been strong enough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Further, undoubtedly, there is unequivocal evidence the emotional intensity of a product Web site, as measured here, has a direct impact on product attitudes.

  • PDF

메르스 위험정보유통의 사회적 확산에 관한 SMCRE 모형의 적용과 함의 (Applications of SMCRE Model on Social Amplification of MERS Risk Information and its Implications)

  • 최충익;배숙경;김철민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6호
    • /
    • pp.89-98
    • /
    • 2016
  • Purpose - This article tackles risk communication issues and aims to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MERS risk information distribution in South Korea, and secondly to examine the communicative behavior of the public health authority in terms of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strategies. Thirdly, the study attempts to figure out the risk communication to cope with MERS through the applications of SMCRE model in chronological order. We employ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framework for analyzing the emergent public response as one of the main approach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main framework of this study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which describes signals about risk transmitted and processed by individuals and social groups. The model also reflects the interactions between social groups and institutes about disaster-related risk issues, which are potential amplifiers or attenuators of communication signals. S-M-C-R-E Model is methodologically employed to examine the social amplification for MERS risk information in each period, which we defined operationally. The proposed methodology allows the assessment of effectiveness and ineffectiveness on risk communication to be conceptualize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disasters. The paper focuses on exploring how social risk amplification can be applied and organized in each stage. Results - The SMCRE model describes the exchange of risk information and is also applied to all forms of communication between stakeholders including public health authority, local government and media. Each factor of risk communication includes source, message, channel, receiver and effect. The results support that the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involves not only the improved reliability of public health authority as a key factor of risk communication, but also a close cooperation and good collabo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It does not seem to be possible that the government-initiated risk communication based on controllability and management cope effectively with infectious disease in early s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shared risks between local, regional and national authorities can enhance risk communication system. Conclusions - The study supports that the disparities in how disaster-related risk information is interpreted and coded, have made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sense-making impeded. Our findings support a more communicative discussion about the role of risk information sharing between governments for the improvement of emergency management and underline the importance of social elements in the risk communication, such as relationship and trust building. Findings suggest that trust building between stakeholders could be added to help explain the processes of social amplification and attenuation of risk. It would be recommended that the continuous risk communication with all the involved stakeholders will be able to help national health promotion policy to be improved regarding emergency management. Furthermore, risk communication has to be a scientific approach for the communication pertaining to potentially sensitive or controversial situations with public concerns and low public trust.

트리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질의 중계를 통한 이동 객체의 연속적인 위치 획득 방안 (Continuous Moving Object Tracking Using Query Relaying in Tree-Based Sensor Network)

  • 김상대;김천용;조현종;임용빈;김상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5호
    • /
    • pp.271-280
    • /
    • 2014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 객체를 감지하기 위해 질의를 통해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과 객체 감지 시 설정된 싱크로 보고받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질의/응답 형태의 네트워크는 후자에 비해 사용자의 질의/응답에 따른 오버헤드가 있지만, 불필요한 정보 전달이 없으므로 에너지 효율적이다. 최근 질의/응답 형태의 연구들은 가상의 트리를 구성하여 질의를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동객체가 움직이는 네트워크에서 가상의 트리는 이동객체의 정보만을 트리에 가지고 있으며, 질의가 발생하면 트리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객체의 위치정보를 반환한다. 하지만 빠르게 움직이는 객체를 연속적으로 추적하는 경우, 다량의 질의 발생으로 인한 에너지 문제와 이동 객체의 속도에 따라 질의/응답 과정의 시간 지연으로 추적 정밀도 하락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질의를 싱크에서만 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이동 객체 추적을 위하여 싱크에서 시작된 질의를 각 리프노드가 이동 객체의 예상 경로에 중계함으로써 질의 경로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더 나은 에너지 효율 및 정밀성을 가진다는 것을 증명한다.

고객 간 관계 네트워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기업 팬페이지를 중심으로 (Effects of Customers' Relationship Network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Facebook Fan Page)

  • 전수현;곽기영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2호
    • /
    • pp.57-79
    • /
    • 2016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소비자와의 관계 마케팅 확산 및 확장을 위한 중요한 채널로 인식되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업이 온라인 환경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고객 사이의 관계 구축뿐만 아니라 고객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팬 페이지에 참여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기업의 비즈니스 성과에 고객 간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데이터는 코스피 상장 기업 가운데 페이스북 팬 페이지에 100개 이상의 게시글을 올린 54개 기업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네트워크 데이터는 각 사용자를 노드로 하고 동일한 마케팅 활동에 대해 참여한 사용자간의 관계를 링크로 한 원모드 비방향 이진 네트워크(one-mode undirected binary network)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 데이터를 핸들링하여 사용자들 간의 활동 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지표(밀도, 글로벌 클러스터링 계수, 최단거리평균, 직경)를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고객 간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와 기업의 과거실적(순이익), 그리고 미래 예측성과(토빈의 Q)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적 관점에서 소셜 미디어 채널을 비즈니스 관점에서 연구하려는 연구자들에게 소셜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실무적인 관점에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려는 기업의 관리자들에게 네트워크의 지표를 이용한 지능형 마케팅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부산지역 양호교사의 업무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tivities of t?e 5.H.T. (5.H.T. in Pusan City))

  • 김이순;김복용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65-502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health teachers, the status of school health resources and the degrees of self-confident performance for the 124 school health teachers in Pusan City.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aires from Aug. 1986 to Mar. 1987. The data were analyzed by use of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Health Teachers (SHT) 1) The average of age of the SHT was 32.8 years old and 39.5% of them were from 30 to 34 years old. 2) The average for school nursing experience of the SHT was 7.9 years and 37.9% of them were from 5 to 9 years. 3) The 45.2% of them have not the clinical experience. 4) The 74.2% of them were graduated from the 3 years college of nursing. 2. Status of school health resources and nursing activities. 1) The average of student number was 2497.3 and class number was 45.2. 2) The average of school health budget was 1039000 won and 27.7% of school health budget expended on examination cost. 3) Only 29.0% of all schools have organization for school health. 4) The 84.7% of all schools have health clinic separately and 69.1% of schools have less than $33m^2$ sized. 5) The average of clinic visitor number was 2111.8 for 1 year. 6) Major problem was on digestive system. And other problems were skin, respiratory, musculo-skeletal system and dental problem. 7) The number of literal message was 14.4 times for 1 year. 3. The degree of the school health teachers' self-confidence. The school health teachers' self-confidence was deviced into 6 and the maximum degree was 4. 1)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2.8 2) Clinic management; 2.9 3) Health education, 3.0 4)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2.7 5) Health care services; 2.7 6)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2.4 4. Significances to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on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inical management and Religion (t=2.15 p<.05)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and level of school (F=3.588 p<.05) 3)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expending time for clinical management (r=-0.184 p<.05) expending time for health care services (r=0.273 p<.01) 4) Clinical management: use of separate health clinic (r=0.151 p<.05) 5) Health education: use of separate health clinic (r=0.170 p<0.5) 6) Health care services: No. of student (r=-0.144 p<0.5) No. of class (r=-0.160 p<.05) 5. The degree of the school health teachers' self-discipline. The school health teachers' self-discipline was devided into 2 and the maximum degree was 2. 1) Program planning & evaluation:1.8 2) Clinic management: 1.9 3) Health education: 1.9 4)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1.7 5) Health care services: 1.8 6)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1.3 6. Significances to the degree of self-discipline on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1)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Level of nursing education (F=4.309 p<.01) 2) Clinical management: Level of nursing education (F=3.587 p<.05) 3)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School health organization (t=-2.68 p<.01) 4) Health care services: School health organization (t=2,58 p<.05) 5) School health performance: School health organization (t=2.32 p<.05) 6)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School health experience (r=0.239 p<.01) Expending time for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r=-0.172 p<.05) 7) Clinic management: School health experience (r=0.249 p<.01) Expending time for dinic management (r=0.181 p<.05) No. of student (r=-0.158 p<.05) Expending time of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r=-0.199 p<0.5) 8) Health education: School health experience (r=0.234 p<0.1) Expending time of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r=-0.193 p<.05) 9)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Age of school health teacher (r=0.142 p<.05) School health experience (r=0.255 p<.01) 10)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Medicine Purchase (r=-0.163 p<.05) 11) Health care services: School health experience (r=0.148 p<.05) Medicine purchase (r=-0.229 p<.01) 12) Total school health performance: School health experience (r=0.200 p<.05) Medicine purchase(r=-0.168 p<.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As the SHT take charge of the reasonable number of student, the students will have benefit of the good health service in quality. 2)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health clinic separately and to arrange adequate place for good school health service. 3) It is necessary that the SHT participate budget for school health. 4) It is required to enhance self-confidence on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al programs.

  • PDF

우리 나라 식물병 발생예찰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f Plant Disease Forecasting System in Korea)

  • 김충회
    • 식물병연구
    • /
    • 제8권2호
    • /
    • pp.84-91
    • /
    • 2002
  • 우리 나라 식물병 예찰사업은 1947년 수원의 중앙농업기술원 기초연구과에서 수도 도열병균과 깨씨무늬병균의 분생포자 비산상황을 조사함으로써 비롯되었다. 국내 식물병 발생예찰은 국가에서 운용하는 200개 기본예찰포(벼 150, 원예작물 50)와 1,403개의 관찰포(벼 1,050, 원예작물 353)에서 얻어진 정보를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다. 기본예찰포 및 관찰포에서의 식물병 발생예찰 대상작물 및 병해수는 30작물 104 병해에 이른다. 기본예찰소 및 관찰포의 병해 발생상황 조사는 시·군 농업기술센터 소속의 2명의 예찰전담지도사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으며 조사된 자료는 인터넷을 통하여 즉시 농촌진홍청으로 전송되어 분석되며, 12명으로 구성된 예찰회의에 회부된다. 예찰회의는 농림부, 농촌진흥청, 관련시험연구기관, 농협, 유관대학, 기상청, 방송보도 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하며, 예찰회의 결과 병해의 발생정도에 따라 3가지의 예찰정보를 격주로 발표하는데, 이 정보는 언론보도기관 등 총245개 기관에 통보되어 농업기술센터를 비롯한 지역행정기관, 농협, 농업인들이 방제에 임하고 있다. 향후 식물병 예찰의 성공여부는 우수한 예찰 전문요원의 확보,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예찰능력의 향상, 우수한 예찰기기 확보 및 활용 등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나라 식물병 발생예찰은 벼 도열병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상당한 예찰정보가 누적되어 있으나, 다른 병해에 대한 예찰연구는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단편적인 연구에 치중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워지지 못하고 있다. 식물병의 예찰이 실용성이 없이는 그 가치를 상실함이 자명하므로 앞으로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시간적, 공간적 측면에서 예찰의 실용성을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예찰의 의의가 경제적인 이득에 직결되므로, 향후 예찰연구는 예찰정보를 기반으로 한, 방제의사 결정이나 합리적인 살균제 살포계획과 연계되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게임 이용자의 사회자본과 개인정보제공에 대한 우려가 플로우를 통해 SNG 재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ame User's Social Capital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 on SNGRe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rough Flow)

  • 이지현;김한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21-39
    • /
    • 2018
  • 오늘날 스마트폰 기술의 향상과 함께 모바일인스턴트메신저(MIM)는 많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었다. 그 중 카카오톡은 현재 국내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카카오게임은 대표적인 SNG 플랫폼으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카카오게임의 대중적 인기와 수익창출 기여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SNG이용자의 특성과 지속적인 게임 이용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SNG이용자가 지인들 간의 관계를 통해 형성하는 사회자본과 모바일 게임 이용 시 제공하는 개인정보에 대한 우려는 모두 개인적 특성이며 커뮤니티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이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양상과 개인정보제공과 관련된 우려가 게임의 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플로우가 SNG재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검증 결과, 응답자의 연결적 사회자본은 SNG에 대한 플로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결속적 사회자본은 SNG에 대한 플로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정보제공에 대한 인지성은 SNG에 대한 플로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나, 통제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NG에 대한 플로우는 SNG재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SNG 재이용의도 또한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의 폐쇄적 특성과 개방형 특성을 모두 갖춘 카카오 플랫폼을 중 카카오게임을 대상으로, SNG이용자의 사회자본이 플로우 경험을 통해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아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은 SNG이용자의 개인정보제공에 대한 우려와 플로우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SNG에 대한 게임몰입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용자의 특성을 기반으로 보다 유용한 마케팅전략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구약성서 '스가랴'서의 환상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연구 (A Study on the Visions of Zechariah in the Old Testament from a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한상익
    • 심성연구
    • /
    • 제29권1호
    • /
    • pp.1-45
    • /
    • 2014
  • 환상을 보는 것과 같은 종교적 신비체험은 종교에 있어서는 근원적 신비인 신과의 만남을 통해서 불가사의하고 포착하기 어려운 비범한 현존을 경험할 수 있게 되고, 분석심리학과 같은 무의식을 바탕으로 하는 심층심리학의 경우 건강의 발견과 회복을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주는 그 무엇이 될 수 있다. 심층심리학과 기독교에서 환상에 대한 접근방식은 다르나 이 둘 모두 우리가 원초적 경험이라고 가장 적절하게 말할 수 있는 특별한 종류의 경험에 대해 공동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성서에는 환상들이 여러 곳에 매우 풍부하게 등장한다. 많은 환상 중에 구약성경의 12 소 예언서의 하나인 스가랴서(Zechariah, Zachariah)에는 그 내용 중 1장에서 8장에 걸쳐 모두 여덟 개의 매우 풍부하고 다양한 환상들이 등장하나 구체적인 역사성이 결여되어 있고 묵시라는 장르로 인하여 모호성과 상징성이 주류를 이루다 그 해석이 몹시 난해하여 의미 파악 자체도 쉽지 않다. 이에 저자는 성서 안에 있지만 이제까지 기독교 신자들에게나 일반에게 큰 주목을 받지 못한 구약의 작은 예언서 스가랴서에 지금까지 숨겨져 온 듯 잘 알려지지 않은 신비한 환상들 여덟 가지 중에서 그 배열에 있어서 앞뒤가 서로 교차대구적 구조로 특별한 배치를 갖추고 전개되고 있는 것 등에 주목하여 첫 째와 둘째, 그리고 일곱째와 여덟 째 환상에 대한 분석심리학적인 해석을 시도를 하고자 한다. 첫 번째 환상에서는 천사들이 말에 직접타고 온 땅을 두루 다니면서 땅을 살펴보고 돌아와 온 땅이 조용하고 평안하다고 보고한다. 저녁이 시작 될 무렵 처음에 순찰을 나간 말들이 상황을 파악한 후 온 세상이 평안하다고 한 것은 당시의 정치적 상태에 비추어 해석할 때 아직 새로운 세계로 변화하려는 준비가 안된, 절망과 체념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심리학적으로는 변화를 향한 역동성이 없는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제 그런 상태를 벗어나야 한다는 메시지를 주고 있고, 미르투스 나무가 있는 골짜기에 붉은 말, 밤색 말, 흰 말을 타고 나타난 네 천사들은 이제 야훼 신, 즉 자기가 개입하여 개성화가 시작될 시간이 되었고 또한 잘 이루어 질수 있는 충분한 상태가 되었음을 알려 주고 있다. 두 번째 환상에서 출현하는 네 뿔과 네 대장장이는 그동안 이스라엘 민족이 이방나라, 즉 그림자에 사로잡힌 긴 세월이 있었고, 특히 네 뿔의 힘에 눌려 지낸 세월, 즉 부성에 압도당해 왔던 상태에서, 야훼 신, 즉 자기가 개입하여 자아가 다시 힘을 회복하고 자기와 합일이 되는 과정을 보여 주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일곱 번째 환상에서 뒤주에 갇힌 하늘여신을 두 여인이 원래 있던 바빌론의 성전에 갖다 놓는 것은, 모성에 과도하게 붙잡혀 있는 자아를 분리하고 원래의 자리에 놓아두어 자기실현의 길로 이끌어 가는 자기의 개입을 볼 수 있는 내용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여덟 번째 환상에서는 말들이 끄는 병거들이 사방에 흩어져 땅을 두루 돌아 다니고 나서 특히 북쪽 땅으로 나간 말들이 북쪽 땅에서 마음을 시원하게(쉬게) 하였다고 한다. 이후 두 놋쇠 산 사이에서 나온 말과 병거는 개성화 과정에 등장하였던 야훼 신, 즉 자기와 심혼의 다양하고 중첩되어 있는 모습을 한 장면으로 보여주면서 그 동안 진행되어 온 변환의 과정이 다 마무리되고 신과 인간, 자기와 자아가 합일이 되어 시원하게 쉴 수 있게 된 상태가 되었음을 전달하고 선포하는 의미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환상을 보고 그 뜻을 알아가는 스가랴의 여덟 가지 환상 이야기 구조 모두 스가랴와 신의 사자인 천사와의 대화로 이루어진다. 스가랴는 이스라엘 민족이 포로에서 귀환하여 나라를 다시 세우고 성전을 재건해야하는 역사적 상황에서 그것을 하루 빨리 이루고자 하는 염원 속에서 환상에 나타난 천사에게 적극적으로 환상의 의미를 묻고 있다. 의문이 있는 것에 대하여 남김없이 끝까지 묻고 대답을 구하는 스가랴와 묻는 대로 답하여 주는 천사, 그리고 주님과의 대화는 의식의 자아와 무의식의 집단적 원형인 심혼과의 대화이고 결국 무의식의 핵심, 자기실현을 이루고자 하는 자기 원형과의 대화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