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ous Cropping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6초

Current Status of Ginseng Cultiv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in China

  • Park, Yang Ho;Kim, Jang Uk;Kim, Dong Hwi;Sonn, Yeon Kyu;Yun, Jin Ha;Moon, Huhn Pal;Cho, Soo Ye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95-80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continuous techniques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ginseng industry to Korea-China FTA negotiation and conclusion, an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ginseng industry development of Korea. It was carried out the visiting of th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Jilin, Liaoling and Heilongjang) in China for 3-year from 2014 to 2016 and observed the farmers' fields of ginseng cultivation with soil environmental status. The types of ginseng cultivation could be observed in small scales of 0.5~3.0 ha, in middle scales of 4.0~10.0 ha and in large scales of 30~700 ha with the kinds of imhasam, Chinese ginseng, Korean ginseng and western ginseng. Also ginseng was cultivated in newly reclaimed land of forest in two types of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of ginseng seedlings. The field beds of ginseng growing were covered with vinyl films in arch design of 100~130 cm height and vinyl was painted in spraying with blue, green and yellow colours for shading. It was investigated in statu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The physical information on the field soils were silt loam, loam and sandy loam in soil textures, and some plain in low slope, some alluvial fan or local valley in forest of land topography. Soil pH ranged within 5.0~5.2, soil EC was $0.93{\sim}3.78dS\;m^{-1}$, organic matter was $37{\sim}35g\;kg^{-1}$, nitrate nitrogen $63{\sim}490mg\;kg^{-1}$, available $P_2O_5$ $55{\sim}163mg\;kg^{-1}$, and in exchangeable cations, K was 0.30~0.98, Ca was 6.5~14.0, Mg was $1.1{\sim}5.3cmol_c\;kg^{-1}$ in ranges. Farmers used the fertilizer for ginseng cultivation in 10~11 t of compost, $200{\sim}400kg\;ha^{-1}$ of complex fertilizer and $750kg\;ha^{-1}$ of oil cakes. Th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of China can use the newly lands with large areas of ginseng cultivation in soil sickness by continuous cropping. and the soil basic fertility is batter than that of Korean in standard guide of ginseng cultivation soil.

신규 개간 유기농경지에서 가축분 퇴비와 녹비작물 연용에 따른 밭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for Change of Soil Characteristics by repeated Organic Supply of Comport and Green Manures in Newly reclaimed Organic Upland Field)

  • 옥정훈;조정래;이병모;안난희;신재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13-8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신규 개간 유기농경지에서 가축분 퇴비와 녹비작물을 3년간 연속으로 시용하였을 때 유기물 처리에 따른 밭 토양내의 이화학성과 물리성 변화를 관찰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축분 퇴비와 녹비작물을 연속으로 3년간 처리한 시험구는 무처리구, 화학비료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기물 함량,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등 대부분의 무기성분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밭 토양 최적범위에 근접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유기물 함량 증가의 경우,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중 장기적으로 유기물 함량의 변화에 주목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치환성 양이온의 경우에는 그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약 2년 이내에 밭 토양 화학성분의 최적범위에 적합한 수치에 도달하였으나 이를 3년간 연작할 경우 오히려 과잉 공급의 우려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가축분 퇴비와 녹비작물의 연용은 토양내의 용적밀도 감소와 공극율 증가 등의 물리성 개선에도 다소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가축분 퇴비와 녹비작물을 함께 활용하여 연용하게 된다면 비옥도가 낮은 척박한 신규 개간 유기농경지에서 토양의 양분을 확보하고 빠른 시일 내에 토양의 비옥도를 개선하는 조기숙전화 기술 개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결과는 신규 개간 유기농 밭에서 가축분 퇴비와 녹비작물을 반복적으로 시용함에 따른 시기별 토양내의 양분성분 변화를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양개량제시용에 따른 화산회토양 감자 연작지 더뎅이병 억제 효과 (Effect of Applying Soil Amendments on Potato Scab Prevention in Volcanic Ash Soil with Continuous Cropping System)

  • 좌재호;문두경;고상욱;손다니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19-730
    • /
    • 2014
  • 화산회토양 감자 연작지 토양 pH 수준별로 고토석회, 유황, 황산칼륨, 패화석, 규산질비료, 석회질소, 유안비료를 이용하여 감자 더뎅이병 발생을 경감시키고 토양건전성을 유지하는데 적절한 대체농자재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 pH가 낮은 황산칼륨 처리구(24 kg/10a)에서는 더뎅이병 발병률이 84.4%, 발병도가 28.4%로 가장 낮았다. 방제효과는 12.3%, 상품율은 93.2%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석회질소 처리구(60kg/10a)가 발병도 38.3%로 낮았고 방제효과 23.8%, 상품율 66.3%로 높았다. 토양 pH가 높은 시험구 중 더뎅이병 발병률은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가 38.3%로 가장 낮았고 유안 처리구(48 kg/10a)는 62.6%로 높았다. 더뎅이병 방제효과는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에서 23.8%로 유황 처리구의 6.1% 보다 4배 이상, 상품률은 6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자더뎅이병 병원균 Streptomyces acidiscabies과 Streptomyces scabiei를 석회질소 2.5, 5 g/L, 10 g/L에 접종시 생장량은 다른 토양개량제 보다 상대적으로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감자 파종 전에 토양 pH가 5 이하이면 황산칼륨을, 6 이상이면 석회질소를 시비하면 더뎅이병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답전윤환(畓田輪換) 체계(體系)에 따른 토양(土壤)의 층위별(層位別) 양분분포(養分分布) 및 양분수지(養分收支) (Effects of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on Nutrient Balance and Distribution in Soil Profile)

  • 안상배;본송휘구;이상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8-104
    • /
    • 1994
  • 1989~'93년(年)까지 5년(年)동안 답전수환시(畓田輸換時)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토양(土壤) 층위별(層位別) 양분분포(養分分布)와 양분수지(養分收支)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았다. 1. 질산태질소(窒酸態室素),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및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 EC는 표층(表層) 0~20cm에서 약간 높았을뿐 토층하부(土層下部)로 이동집적(移動集積)이 적었고,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표토중(表土中) 함량은 전이환(田轉換) 감자-배추>2년 수환(輸換) 감자-배추>전전환(田轉換) 대두(大豆)>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순(順)으로 높아 처리별(處理別) 시비량을 반영(反影)하였다. 2. 치환성(置換性) 석회(石灰)와 고토(苦土) 함량 및 pH는 심토(深土)로 갈수록 높아졌고, 이러한 경향은 특히,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서 현저(顯著)하였다.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라서는 전(全) 토층(土層)에서 전전환(田轉換) 대두(大豆)>전전환(田轉換) 감자배추>2년(年) 윤환(輪換) 감자-배추>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순(順)이었고 처리별 식물체 흡수량(吸收量) 차이가 크게 영향하였다. 3. 전전환(田轉換) 감자-배추구(區)에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양분수지(養分收支)는 투입량(投入量)보다 탈취량(奪取量)(흡수량)이 각각(各各) 21.5, 26.8, 9.2kg/10a 많았으나 투입량(投入量)중 화학비료량(化學肥料量)은 질소(室素)와 가리(加里)의 경우 탈취량(奪取量)에 비해 적었던 반면 인산(燐酸)은 많았다. 4. 전전환(田轉換) 대두구(大豆區)의 양분수지(養分收支)는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각각(各各) -12.8, 4.1, -1.0kg/10a로 질소(窒素)와 가리(加里)의 투입량(投入量)이 탈취량(奪取量)보다 적었으나 질소(窒素)는 근류균(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으로 결핍되지 않았던 반면 가리(加里)는 생육중기(生育中期)에 결핍증상(缺乏症狀)을 나타내었다.

  • PDF

윤작이 참깨의 생육과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p Rotation on the Growth of Sesame(Sesamum indicum L.) and Soil Properties)

  • 김동휘;서종호;김충국;최성호;고문환;허일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6-224
    • /
    • 1998
  • 윤작이 참깨의 생육과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3년간 옥수수, 콩, 보리, 호밀등을 도입하여 참깨 연 윤작 시험을 실시 하였다. 연 윤작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를 보면 토양내 유기물 함량과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참깨 연작구에 비하여 윤작구에서 높았다. 토양내 유효인산 함량은 호밀 보리+참깨 윤작구에서 높았으며, pH는 처리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토양 가밀도는 참깨 연작구에서 가장 높고, 호밀 보리+참깨 윤작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옥수수-참깨와 콩-참깨 윤작구에서는 중간 정도였다. 토양의 공극률은 가밀도와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토양내 Biomass-C, N 함량은 맥류+참깨 윤작구에서 그 양이 가장 많았으며, 옥수수-참깨와 콩-참깨 윤작구에서도 그 양이 참깨 연작구보다 많았다. 참깨 병해발생은 연작장해의 가장 큰 요인이나 본 시험에서는 윤작에 의해 병발생이 감소하지는 않았다. 참깨 생육은 옥수수-참깨와 콩-참깨 윤작구에서 가장 높고, 호밀 보리+참깨 윤작구가 그 다음 이었으며 참깨 연작구의 생육이 가장 낮았다. 참깨 종실수량은 윤작구에서 월등히 많아 참깨 연작구에 비하면 '96년도에는 각각 옥수수-참깨 윤작구는 68%, 호밀+참깨 윤작구는 63%, 콩-참깨 윤작구는 57%, 보리+참깨 윤작구는 55% 증수되었고, '97년도에는 증수율이 '96년에 비해서는 감소했지만 그래도 각각 24, 28, 20, 19% 증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년간의 성적을 평균해 보면 이들 윤작구의 수량은 41, 41, 34, 33% 정도 참깨 연작구에 비해서 증가하여 윤작에 의한 증수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고랭지 농업의 작물별 객토량 변화에 따른 토양유실 저감 분석 (Analysis of Soil Erosion Reduction Ratio with Changes in Soil Reconditioning Amount for Highland Agricultural Crops)

  • 허성구;전만식;박상헌;김기성;강성근;옥용식;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5-194
    • /
    • 2008
  • There is increased soil erosion potential at highland agricultural crop fields because of its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ite-specific agricultural management practices performed at these areas. The agricultural upland fields are usually located at the sloping areas, resulting in higher soil loss, pesticides, and nutrients in case of torrential rainfall events or typhoon, such as 2002 Rusa and 2003 MaeMi. At the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the soil reconditioning have been performed every year to decrease damage by continuous cropping and pests. Also it has been done to increase crop productivity and soil fertility. The increased amounts of soil used for soil reconditioning are increasing over the years, causing significant impacts on water quality at the receiving water bodies. In this study, the field investigation was done to check soil reconditioning status for potato, carrot, and cabbage at the Doam-dam watershed. With these data obtained from the field investigation, the Soil and Water Assesment Tool (SWAT)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soil loss reduc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and agronomically enough soil reconditioning. The average soil reconditioning depth for potato was 34.3 cm, 48.3 cm for carrot, and 31.2 cm for cabbage at the Doam-dam watershed. These data were used for SWAT model runs. Before the SWAT simulation, the SWAT ArcView GIS Patch, developed by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as applied because of proper simulation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yield at the sloping watershed, such as the Doam-dam watershed. With this patch applie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value was 0.85 and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EI) was 0.75 for flow calibration. The $R^2$ value was 0.87 and the EI was 0.85 for flow validation. For sediment simulation, the $R^2$ value was 0.91 and the EI was 0.70, indicating the SWAT model predicts the soil erosion processes and sediment yield at the Doam-dam watershed. With the calibrated and validated SWAT for the Doam-dam watershed, the soil erosion reduction was investigated for potato, carrot, and cabbage. For potato, around 19.3 cm of soil were over applied to the agricultural field, causing 146% of more soil erosion rate, approximately 33.3 cm, causing 146% of more soil erosion for carrot, and approximately 16.2 cm, causing 44% of more soil eros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excessive soil reconditioning are performed at the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causing severe muddy water issues and water quality degradation at the Doam-water watershed. Th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soil reconditioning standard policy for various crops at the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without causing problems agr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소맥근권(小麥根圈)에서 분리(分離)한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spp. 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luorescent Pseudomoηas isolated from the wheat rhizosphere)

  • 이명철;김용웅;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2-159
    • /
    • 1990
  • 밀의 근권(根圈)에서 병원성(病原性) 사상균(絲狀菌)에 대해 길항성(拮抗性)이 높은 균주(菌株)를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여 연작장해(連作障害)의 피해경감과 생물방제(生物防除)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삼고자 그 균이 생성(生成)하는 siderophore에 의한 사상균(絲狀菌)의 생육(生育) 저해력(沮害力)을 조사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밀의 근권(根圈)에서 형광성(螢光性) 세균(細菌)을 선별하여 R. solani, F. oxysperum, F. solani에 대한 생육저해(生育沮害)가 큰 (10mm이상) 균주(菌株)를 P. fluerescens Biovar I(Ps-1, Ps-2, Ps-5)과 Biovar II(Ps-3)로 동정(同定)되었다. 2. 선발균주(選拔菌株)가 생성(生成)하는 색소(色素)는 green-yellow 로 410nm에서 최대의 흡광도(吸光度)를 나타내었다. 3. Siderophore는 $Fe^{+3}$의 첨가시 생성량(生成量)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Fe^{+2}$의 첨가시에는 생성량(生成量)의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4. 선발균주(選拔菌株)중 Ps-5가 생성(生成)한 색소(色素)는 R. solani의 생육(生育)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FeSO_4$의 처리시 생육(生育)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균주(菌株) Ps-1, Ps-2, Ps-3가 생성(生成)한 색소(色素)는 R. solani, F. oxysperum, F. solani에 대한 생육저해(生育沮害)는 컷으며 $Fe^{+2}$의 첨가시 저해력(沮害力)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5. 암소재배법(暗所栽培法)을 이용한 오이의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에 오이를 파종하여 접종효과(接種效果)를 본 결과(結果) Ps-2>Ps-1>Ps-5>Ps-3의 순(順)으로 접종효과(接種效果)가 있었으며 Ps-1과 Ps-2는 captan 50ppm의 처리구 보다도 효과(效果)가 더 좋았다.

  • PDF

토마토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발생, 가해양상 및 살충제처리 효과 (Occurrence, Injury aspects and Effect of insecticide applications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on Tomato Cultivated in Plastic house)

  • 박종대;엄기백;유재기;김상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0-55
    • /
    • 2000
  • 토마토를 가해하는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발생과 가해양상 그리고 살충제처리에 의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방제가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전남지방의 플라스틱하우스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봄 재배에서 황색끈끈이트랩과 sweeping에 의한 조사 결과는 5월 하순부터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sweeping 보다는 끈끈이트랩 조사에 의한 밀도변동이 뚜렷하였다. 피해엽율은 5년 이상 계속하여 토마토를 재배한 포장에서는 년중 피해엽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4월 상순 이전에는 20%이하, 중순 30%, 하순 40%, 5월 상순에 60%, 하순이후에는 80%수준이었다. 반면 처녀재배지에서는 정식후 6주째부터 피해엽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피해엽율은 80%수준으로 급격히 높아졌다. 가을재배에서는 재배연수에 관계없이 정식때부터 피해엽율이 80%수준을 유지하였다. 성충과 유충의 발생소장은 봄재배의 경우 5월하순부터 성충이 유인되었고 6월하순에 포회량이 가장 많았으나 종령유충은 발생초기부터 주당 $6{\sim}8$마리로 수확기까지 거의 비슷한 밀도 수준을 유지하였다. 가을재배의 경우 정식직후부터 3주째까지는 성충과 유충의 밀도가 높게 유지되었으나 4주째인 9월상순부터는 밀도가 급격히 떨어졌다. 살충제처리에 의한 방제 효과는 클로르페나피르 유제, 싸이로마진 수화제, 아바멕틴 유제가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유충의 밀도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었다.

  • PDF

Towards Integrated Pest Management of Rice in Korea

  • Lee, Seung-Chan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5-240
    • /
    • 1992
  • In reality, it is a green revolution of the entire agricultural matrix in Korea that integrated pest control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ossible breakthrough in rice self-sufficiency. In paddy agroecosystem as man-modified environment, rice is newly established every year by transplantation under diverse water regimes which affect a microclimate. Standing water benefits rice by regulating the microclimate, but it favors the multiplication of certain pets through the amelioration of the microclimate. Further, the introduction of high yielding varieties with the changing of cultural practices results in changing occurrence pattern of certain pests. In general, japonica type varieties lack genes resistant to most of the important pests and insect-borne virus diseases, whereas indica type possesses more genes conferring varietal resistance. Thus, this differences among indica type, form the background of different approaches to pest management. The changes in rice cultivation such as double cropping, growing high-yielding varieties requiring heavy fertilization, earlier transplanting, intensvie-spacing transplanting, and intensive pesticide use as a consequence of the adoption of improves rice production technology, have intensified the pest problems rather than reduced them. The cultivation of resistant varieties are highly effective to the pest, their long term stability is threathened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new biotypes which can detroy these varieties. So far, three biotypes of N. lugens are reported in Korea. Since each resistant variety is expected to maintain several years the sequential release of another new variety with a different gene at intervals is practised as a gene rotation program. Another approach, breeding multilines that have more than two genes for resistance in a variety are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average annual rice losses during the last 15 years of 1977-’91 are 9.3% due to insect pests without chemical control undertaken, wehreas there is a average 2.4% despite farmers’insecticide application at the same period. In other words, the average annual losses are prvented by 6.9% when chemical control is properly employed. However, the continuous use of a same group of insecticides is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pest resistance. Resistant development of C. suppressalis, L. striatellus and N. cincticeps is observed to organophosphorous insecticides by the mid-1960s, and to carbamates by the early 1970s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Thus, it is apparent that a scheduled chemical control for rice production systems becomes uneconomical and that a reduction in energy input without impairing the rice yield, is necessarily improv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systems. Nationwide pest forecasting system conducted by the government organization is a unique network of investigation for purpose of making pest control timely in terms of economic thresholds. A wise plant protection is expected to establish pest management systems in appropriate integration of resistant varieties, biological agents, cultural practices and other measures in harmony with minimizing use of chemical applications as a last weapon relying on economic thresholds.

  • PDF

밀기울 토양 혐기발효 처리가 멜론의 뿌리혹선충 방제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aerobic Fermentation Treatment of Wheat bran on the Root-Knot Nematodes and the Quality of Melons in Plastic Film House Soil)

  • 박동금;김홍림;박경섭;허윤찬;이우문;이희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1-316
    • /
    • 2010
  • 본 연구는 10년 이상 과채류를 재배하여 뿌리혹선충 피해가 많이 발생되었던 시설재배 토양에서 친환경적인 뿌리혹선충방제를 위하여 밀기울 토양환원처리 효과를 구명하였다. 토양소독처리후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시험전과 비교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뿌리혹선충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특히 밀기울처리구에서는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처리후 90일경에도 밀기울처리구가 매우 낮게 유지되었으며 멜론의 생육도 가장 양호하였다. 수확기 멜론의 고사율을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 65%인데 비해 밀기울처리구, 3%로 현저히 낮았으며 과실의 크기와 품질도 밀기울처리구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밀기울 토양환원처리는 뿌리혹선충 발생포장에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멜론을 1작기 동안 안전하게 재배할 수 있는 유망한 소독방법일 뿐만 아니라 멜론의 품질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