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ous Cadastral Map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Autodesk Map 5을 이용한 연속지적도 접합에 대한 정확도 분석 (The accuracy analysis on continuance cadastral map matching with Autodesk Map 5)

  • 김감래;라용화;박준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54
    • /
    • 2003
  • As of date, the cadastral information which is the utility to be computerized have not been identical with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relational groups each other and updated real-time, therefore the relation group or the academic circles carried out in many researches on a cadastral map matching, but the cadastral maps have not been even occurre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o that the theory arrangement doesn't seem simple as to a cadastral map matching. As being take such reality into consideration, We have to be based on $\boxDr$construction ministry of the rules for continuous map$\boxUl$ for a continuous cadastral map with using PBLIS data; so the operators use Autodesk Map 5 which added applications and match the neat line by the identical scale, the different scale, the district boundary and the origin according to the judgement myself We have the purpose to minimize the problem as analyzing the accuracy between the parcel coordinates If the matched map and ones of moved map.

  • PDF

디지털 항공영상을 이용한 연속지적도 편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ous Cadastral Map Compilation with Digital Camera Image)

  • 이재원;이승복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9-261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and possibility of continuous cadastral map compilation with digital camera image. A high quality serial cadastral map can be produced and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with using digital aero-photogrammetry when edge matching method could be used to match digital cadastral map.

  • PDF

연속지적도 품질개선에 따른 용도지역지구도의 전환사례 분석 및 제도적 개선방안 (Case Analysis and Systematic Improvement Method of the Land Use Zoning Map Conversion according to the Quality Upgrade of Continuous Cadastral Map)

  • 정동훈;윤정환;임대석;양철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27-3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구축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연속지적도 품질개선 및 용도지역지구도 전환"의 성과를 분석하고 추진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본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범대상지역 중 안성시를 대상으로 전환 전후의 면적변화를 비교하고 연속지적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사업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토대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적도면의 도곽변위 보정과 고품질 연속도면 작성에 대한 기술적 접근 (Technical Approach to Modify Vertice Displacement of Cadastral Maps and Preparation of High-quality Continuous Map)

  • 양철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2호
    • /
    • pp.5-18
    • /
    • 2024
  • 지적도면의 세계측지계 변환에 있어 구역 또는 도면 단위의 좌표변환의 결과로서 연속하는 도면을 작성하기 위해 인접 구역 또는 도곽점 간의 차이를 최소로 하는 보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좌표변환계산에 있어서는 Affine 변환모델을 이용하되 지적측량의 특성을 감안하여 특정 공통점을 중요시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좌표변환의 결과로서 생기는 인접 4 도곽점 간의 좌표 차이를 없애기 위한 기술로서 원근투영변환방법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도곽점 변위의 보정 및 도곽접합은 필지 경계선의 변동을 수반하여 필지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필지면적의 변동을 가져온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등록면적과 좌표면적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경계점을 미세조정할 수 있는 작업방법으로서 최소제곱법에 의한 수치계산 방법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Affine 변환과 원근투영변환 그리고 경계점미세조정을 연계 활용하는 방법은 개별 도면으로 관리되어 온 지적도면을 정비함에 있어 도면의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연속도면으로 작성할 수 있게 한다.

국가공간정보인프라 활용향상을 위한 지적도 일필지 표현기법 모형 연구 (A Study on a Parcel Presentation Technique of Cadastral Map for Enhancing Utilization of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장용구;김종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0
    • /
    • 2008
  • 지적도는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 경계, 면적을 지적법에 근거하여 연속하는 일필지에 의해 구성되어진 공적장부이다. 수년 전까지 지적도는 7개의 일정한 축척을 가진 2차원 평면 종이지도로 관리되어졌다. 최근 컴퓨터 시스템이 발달함으로써 지적도는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고, 그것의 형태가 래스터 방식에서 벡터 방식으로 전환 된 것이다. 그 결과 벡터화된 지적도는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수치지적도는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에 의해 다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적도와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을 기본으로 지적도상의 토지 이용 현황 표시를 원래의 일필지보다 구체적으로 표시하고자 한다. 필지 단위로 구성되어 있는 지적도를 "지적도의 토지현황표시를 위한 일필지 표현기법 모형 연구"에 의해 새로운 표현 기법을 적용하였다. 지적도면의 기능을 소유권의 위치관계 및 지적법에 명시된 28가지 지목별 토지이용현황의 표현뿐만 아니라 GIS 구축 사업의 기초 자료 등으로도 쓰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로, 철도, 구거, 하천 등의 공공용지를 중심으로 각각의 필지와 지목에 대한 일필지 표현 기법을 개발하였다. 특히, 공공용지 중 도로를 대상으로 일필지 표현 기법 개발과 이에 따른 지적도 기능 향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지적 정보를 이용한 제주 밭담 길이 추정 (Estimating Length of Jeju Batdam Using Cadastral Information)

  • 박종준;권윤구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37-44
    • /
    • 2019
  • The value of Jeju Batdam has been reexamined as it is listed as a nation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and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However, it is already exposed to threats such as reduction of agricultural population and cultivation area. Despite efforts like the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to preserve traditional agriculture, there is few basic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us of Jeju Batd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ength of Jeju Batdam. We used the continuous cadastral map of Jeju area to extract the boundaries of the field lot. In the cadastral map, the farmland was selected by selecting dry fields, paddy fields and orchards. 300 sample site were selected from the extracted farmland,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Internet map and the parcels were superimposed and the differences were confirmed on the drawing. After that, field surve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boundary of the parcels and the existence of actual Batdam. It is estimated that the length estimated from this study is at least 23,983km and maximum 142,353km, which is at least 1,830km longer than 22,108km announced in 2007. Since Jeju Batdam is based on land parcel boundary, it is an objective and efficient method to utilize intellectual information. In addition, because it is subordinate to farmland, new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reflecting the change of land use and make the spatial database based on the cadastral maps.

항공사진 기반 하수 지하시설물도 시범구축 (A Demonstration Construction of Sewerage Underground Facilities Map Based on Aerial Photograph)

  • 민관식;최민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67-7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도 구축에 기존의 수치지도 및 편집지적도의 대안으로 가독성 및 일반인의 접근성을 높인 항공사진을 사용하여 하수 지하시설물도를 시범구축 하였다. 구축된 하수 지하 시설물도는 기존의 편집지적도기반 지하시설물도와 연계하여 그 활용 가능성 및 정합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적도와 항공사진을 융합하여 지하시설물도를 구축 활용하면 지하시설물에 대한 다양한 공간정보 분석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통합정보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도정보화 사회에서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하시설물도 작성은 관리기관별로 존재한 도면 및 기존 도면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통합관리를 위한 기본도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수 지하시설물도 구축 정보는 앞으로 도시정보시스템 구축에 연계하여 체계적인 도시계획의 수립 및 관리의 효율 성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필지 객체의 형상 정합을 이용한 건물 설계도면의 좌표 등록 (Map registr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plan drawing with shape matching of cadastral parcel polygon)

  • 허용;유기윤;양성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3-198
    • /
    • 2013
  • 본 연구는 객체 정합 기법을 적용하여 건물 인허가 과정에서 제출되는 설계도면에 실세계의 좌표를 등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설계도면에는 건물과 함께 건물이 위치할 필지 경계선이 포함되어 있다. 필지 경계선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곤과 KLIS 연속지적도 상의 필지 폴리곤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형상 정합 기법을 적용하여 좌표 등록에 필요한 변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설계도면에 존재하는 선형들의 기하학적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사 변환을 적용하였다. 이 변환에 필요한 평행 이동량, 축적 변화량 그리고 회전 변화량은 각각 건설도면과 연속지적도의 대응 폴리곤의 무게중심 차이, 면적비, 그리고 선회 함수를 이용한 형상 정합 과정에서 얻어지는 최적 회전 변화량으로 결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경기도 수원시를 대상으로 세움터에 제출된 건설도면에 적용하였으며, 좌표 등록의 위치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좌표 등록된 설계도면의 건물 객체와 항공사진을 중첩하여 건물 모서리의 좌표를 비교하였다. 평가 결과 좌표 등록에 참조한 연속지적도와 항공사진의 위치 오차의 크기에 따라 구도심지역에서는 RMSE 기준 2.37m의 정확도를, 신도심지역에서는 0.95m의 위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지적정보 기반의 강우빈도별 침수지역 분석 (Analysis of Flooded Areas for Cadastral Information-Based Rainfall Frequencies)

  • 민관식;이형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01-110
    • /
    • 2010
  • 태풍 및 국지성 폭우로 인한 침수 및 범람지역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재해 이력에 대한 체계적 구축과 침수 예측에 대한 정략적 분석을 통한 재해 예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피해지역의 수치영상을 기반으로 피해조사 범위 산정의 기반 자료와 속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체계 매핑 기술을 사용하여 수치영상과 피해지역 연속지적도의 속성정보 융합을 통해 현장 실사용 재해정보지도를 구축하였다. 또한, 재해정보의 고도화를 위해 홍수범람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상 지역의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여 돌발홍수 예측지역을 표시하였으며 지적 정보를 활용하여 빈도별 침수면적 및 침수피해율을 산출하였다. 따라서,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사전에 자연재해 예방 및 대책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자연재해관리 업무 효율성 및 대응능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