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aware Computing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43초

Context Aware System based on Bayesian Network driven Context Reasoning and Ontology Context Modeling

  • Ko, Kwang-Eun;Sim, Kwee-Bo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8권4호
    • /
    • pp.254-259
    • /
    • 2008
  • Uncertainty of result of context awareness always exists in any context-awareness computing. This falling-off in accuracy of context awareness result is mostly caused by the imperfectness and incompleteness of sensed data, because of this reasons, we must improve the accuracy of context awareness.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novel approach to model the uncertain context by using ontology and context reasoning method based on Bayesian Network. Our context aware processing is divided into two parts; context modeling and context reasoning. The context modeling is based on ontology for facilitating knowledge reuse and sharing. The ontology facilitates the share and reuse of information over similar domains of not only the logical knowledge but also the uncertain knowledge. Also the ontology can be used to structure learning for Bayesian network. The context reasoning is based on Bayesian Networks for probabilistic inference to solve the uncertain reasoning in context-aware processing problem in a flexible and adaptive situation.

상황인식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온톨로지 추론 엔진 선택을 위한 사례기반추론 접근법 (A Case-Based Reasoning Approach to Ontology Inference Engine Selection for Robust Context-Aware Services)

  • 심재문;권오병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7-44
    • /
    • 2008
  • Owl-based ontology is useful to realize the context-aware services which are composed of the distributed and self-configuring modules. Many ontology-based inference engines are developed to infer useful information from ontology. Since these engines show the uniqueness in terms of speed and information richness, it's difficult to ensure stable operation in providing dynamic context-aware services, especially when they should deal with the complex and big-size ontology. To provide a best inference servi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ovel methodology of context-aware engine selection in a contextually prompt manner Case-based reasoning is applied to identify the causality between context and inference engined to be selected. Finally, a series of experiments is performed with a novel evaluation methodology to what extent the methodology works better than competitive methods on an actual context-aware service.

jini 기반의 context-aware chatting program (A Jini-based context-aware chatting program)

  • 박한솔;최태욱;정기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1177-1180
    • /
    • 2003
  • 차세대 비젼 컴퓨팅 환경인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환경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상황(context)변화에 적응적(adaptive)으로 서비스 해줄 수 있는 응용이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Service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인 JINI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상황을 인식(context-aware)하기 위한 시스템 연구 역시 관심의 대상이라고 한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행동, 감정상태, 위치와 같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검색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 활동형태 등의 context들을 질의 할 수 있는 Context-aware 챗팅 프로그램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context 데이터의 표현과 질의를 위해 메타언어인 eXtensible Makup Language (XML)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context-aware system은 편재형 컴퓨팅환경 하에서 사용자에게 유효한 context를 생성 및 관리, 응용 서비스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상황인식적 서비스 관점의 스트레스 지수 모델 및 u-SMC(Stress Management Center)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Stress Index Model and u-SMC (Stress Management Center) Business Model from the Context-Aware Computing Perspective)

  • 김형진;이상훈;이호근
    • 지능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21-44
    • /
    • 2008
  •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등장하고 있는 각종 서비스들은 공통적으로 상황인식 컴퓨팅(context-aware computing)의 속성을 갖고 있다. 사용자를 둘러싼 다양한 상황(context)을 인식하여 다른 곳으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지능적인(intelligent)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을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의 기본 속성이라고 할 때,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는 웰빙케어(well-being care)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상황인식 컴퓨팅의 속성을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새로운 서비스에 적용해 봄으로써, 스트레스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개인화 된 항스트레스(personalized anti-stres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스트레스 지수 모델(stress index model)을 개발하고, 스트레스를 측정하여 그에 맞는 항스트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또한, 데모시스템의 테스트를 통해 스트레스 지수 모델의 기술적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방법들을 사업적 관점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서, 스트레스 측정과 관리를 주 목적으로 하는 u-SMC(Stress Management Center)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의 상용화 가능성도 살펴보았다.

  • PDF

동적인 사용자 서비스 요구를 지원하는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시스템 (A Context-Aware Workflow System for Supporting Users' Dynamic Service Demands)

  • 최종선;조용윤;최재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4권5_6호
    • /
    • pp.214-227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상황인지 서비스는 동적으로 발생하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지향한다. FollowMe와 uFlow와 같은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서비스의 분기 조건으로 표현한 워크플로우 기반의 상황인지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그들은 워크플로우의 실행 중에도 동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대해 진행 중인 워크플로우 시나리오에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행 중인 워크플로우 서비스의 중단없이 사용자가 입력하는 새로운 서비스 요구를 초기 워크플로우 시나리오에 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새로운 서비스 요구에 대해 실행중인 시나리오에서의 변경 위치를 점진적 파싱(Incremental Parsing)을 통해 정확히 인식하고 초기 시나리오에서 영향을 받는 부분만을 신속히 재구성함으로써 동적으로 발생하는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초기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으며, 워크플로우 흐름의 중단없이 계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원하는 서비스를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시나리오에 반영할 수 있으며, 기술된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상황인지 서비스의 실행을 보장받을 수 있다.

복합 워크플로우 서비스를 위한 CAWL 기반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시스템 (A CAWL-based Context-Aware Workflow System for Composite Workflow Services)

  • 최종선;조용윤;최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2호
    • /
    • pp.93-102
    • /
    • 2010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매우 다양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상황인지 기반 워크플로우 시스템들은 단일 워크플로우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워크플로우 조합을 통해 복합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제약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워크플로우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서비스 흐름을 하나의 워크플로우로 통합 표현할 수 있는 상황인지 기반의 워크플로우 언어인 CAWL(Context-Aware Workflow Language)를 기반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CAWL를 이용하여 작성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복합 워크플로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존재하는 다수의 워크플로우를 복합 워크플로우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일부로써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화 서비스 개발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Framework to Support a Common Way for Context-aware Applications

  • Baek, Jong-Kwun;Jung, Hae-Sun;Jeong, Chang-Sung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9-282
    • /
    • 2007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general way for producing context information to support context-aware applications. It can fetch raw data from the service environments, translate it to reasonable context information, and provide to multiple applications. It is designed originally for the ubiquitous computing middleware and based on the ontology processing model. Automated service applications can use this system as the form of libraries or of web services for deciding its semantic cause of action.

  • PDF

A Recommender System for Device Sharing Based on Context-Aware and Personalization

  • Park, Jong-Hy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4권2호
    • /
    • pp.174-190
    • /
    • 2010
  • In ubiquitous computing, invisible devices and software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to provide convenient services to users [1][2]. Users hope to obtain a personalized service which is composed of customized devices among sharable devices in a ubiquitous smart space (which is called USS in this paper). However, the situations of each user are different and user preferences also are various. Although users request the same service in the same USS, the most suitable devices for composing the service are different for each user. For these user requirements, this paper proposes a device recommender system which infers and recommends customized devices for composing a user required servic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s for recommending devices through context-aware inference in peer-to-peer environments. For this goal, this paper considers the context and user preference. Also I implement a prototype system and test performance on the real ubiquitous mobile object (UMO).

ubiHome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응용 서비스 모형 ((ubi-UCAM: an Unified Context-Aware Application Model for ubiHome))

  • 장세이;우운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5_6호
    • /
    • pp.550-558
    • /
    • 2003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의사 표현 뿐만이 아니라 사용자 및 사용자 주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서비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컨텍스트 기반 응용 서비스의 중요성이 증가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응용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컨텍스트 기반 응용 서비스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형에서는 5W1H 형태의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센서와 응용 서비스 사이의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한다. 또한, 응용 서비스가 5W1H의 컨텍스트를 변형하여 응용 서비스가 실제 동작할 때 필요한 컨텍스트를 직접 생성함으로써 정확도 높은 컨텍스트의 사용을 보장한다. 제안된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실에서 구축하고 있는 ‘유비홈 (ubiHome)’(가정 중심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실험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의 센서 및 응용 서비스 개발에 제안된 모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모형은 가까운 미래의 가정 학교, 사무실 등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갖춰진 일상 생활의 사용자에게 컨텍스트 기반의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